$\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혈병 청소년의 회복력 영향 요인
Predictors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Leukem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4, 2015년, pp.595 - 603  

홍성실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박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ing to resilience for adolescents with leukemia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Methods: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4, 199 adolescents aged 11 to 21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they visited the out-patient c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백혈병 경험 청소년들의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신체, 정서, 사회 및 영적의 다각적 측면에서 확인함으로 백혈병 청소년들의 회복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백혈병 경험 청소년의 회복력에 대해 신체, 정서, 사회, 영적 측면을 포함한 다각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회복력 관련 요인들을 밝히고 요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규명함으로, 백혈병 경험 국내 청소년들의 회복력 강화를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백혈병 청소년의 회복력을 설명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한 예측 설계의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 도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지하는 가족, 친구 그리고 특별한 사람으로부터의 지지 정도를 측정하는 12문항의 7점 척도로 개발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한 사람에 의료진을 포함하여 백혈병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 정도를 측정하였다. Zimet 등[13]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
  • 백혈병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라는 위기상황에서 적응과 부적응을 경험하면서 회복력을 획득[19]하는 과정을 통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수동적 존재에서 질병을 긍정적 경험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능동적 존재가 된다[20].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회복력의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Haase 등[7]의 소아암 청소년 회복력 모델을 기반으로 국내 백혈병 청소년들의 회복력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소아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Haase 등[7]의 RIM을 국내 백혈병 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RIM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측정변수들을 추출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가정하여 개념적 기틀을 제시하였다(Figure 1).

가설 설정

  • 이를 위해 측정변수들을 추출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가정하여 개념적 기틀을 제시하였다(Figure 1). 개념적 기틀에서 나타난 것처럼 본 연구에서는 회복력 영향 요인들을 예측하여 청소년들이 지닌 자원들이 그들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의 반응들이 결과적으로 회복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청소년들이 지닌 자원들은 나이와 성별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의 개인 특성과 RIM의 변수들 중 불확실성과 증상 스트레스를 내포한 질병관련 스트레스, 가족, 친구 및 의료진들로부터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 및 영성에 대한 영적 관점을 포함하였다.
  • 청소년들이 지닌 자원들은 나이와 성별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의 개인 특성과 RIM의 변수들 중 불확실성과 증상 스트레스를 내포한 질병관련 스트레스, 가족, 친구 및 의료진들로부터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 및 영성에 대한 영적 관점을 포함하였다. 개인의 자원은 백혈병 청소년들의 반응에 영향을 주어 방어적 및 적극적 대처, 희망, 자기초월의 개인의 반응을 형성할 것이며 개인의 자원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 개인의 반응은 백혈병 청소년들의 회복력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 회복력 모델에서 회복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회복력 개념은 성인 뿐 아니라 스트레스와 위협 상황에 취약한 아동 및 청소년에게도 적용되어 Haase 등[5]은 청소년들이 암을 경험할 때 ‘용감하게 됨’을 통해 암을 극복해가고 나아가 삶의 질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반영하여 청소년 회복력 모델을 발표[6] 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회복력을 보호요인으로 언급하면서 개인의 용기 있는 대처반응과 희망, 가족 환경, 적절한 사회적 지지가 회복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후 Haase 등[7]은 두 차례의 연구[5,6] 자료들을 바탕으로 암 경험 청소년의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검증하여 수정된 청소년 회복력 모델(The Resilience in Illness Model [RIM])을 제시하였다.
어린 시절 백혈병의 진단과 힘든 치료 과정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소아 백혈병은 전체 소아암 발생 중 1위를 차지하지만 의학기술의 발달로 생존율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어린 시절 백혈병의 진단과 힘든 치료 과정은 성장 발달 과정에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신체적 문제들 뿐 아니라 정서사회적인 측면에서도 부적응 양상을 보여[2]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이에 따라 최근 관심은 백혈병 아동과 청소년이 치료 종료 후 건강을 회복하고 일상생활로 성공적으로 복귀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회복력은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지고 있다.
어린 시절 백혈병의 진단과 힘든 치료 과정으로 인한 영향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은? 어린 시절 백혈병의 진단과 힘든 치료 과정은 성장 발달 과정에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신체적 문제들 뿐 아니라 정서사회적인 측면에서도 부적응 양상을 보여[2]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이에 따라 최근 관심은 백혈병 아동과 청소년이 치료 종료 후 건강을 회복하고 일상생활로 성공적으로 복귀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회복력은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지고 있다. Garmezy[4]는 회복력을 스트레스 상황으로부터 회복하여 스트레스 이전 상황으로 돌아가려는 경향 또는 회복하는 능력으로 개인, 가족 그리고 사회적 지지 측면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1.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2. You MA. Content analysis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 survivors of leukem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6;12(3):304-313. 

  3. Lof CM, Winiarski J, Giesecke A, Ljungman P, Forinder U.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 survivors after paediatric allo-SCT.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009;43(6):461-468. http://dx.doi.org/10.1038/bmt.2008.338 

  4. Garmezy N. Resilience in children's adaptation to negative life events and stressed environments. Pediatric Annals. 1991;20(9): 459-460, 463-466. 

  5. Haase JE, Heiney SP, Ruccione KS, Stutzer C. Research triangulation to derive meaning-based quality-of-life theory: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nd instrument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Supplement. 1999;12:125-131. 

  6. Haase JE.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s a guide to interventions.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004;21(5):289-304. http://dx.doi.org/10.1177/1043454204267922 

  7. Haase JE, Kintner EK, Monahan PO, Robb SL. The resilience in illness model, part 1: Exploratory evaluation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ancer. Cancer Nursing. 2014;37(3):E1-E12. http://dx.doi.org/10.1097/NCC.0b013e31828941bb 

  8. Park YO, Son Hong GR, Tak YR. Predictors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ancer.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3): 177-186. 

  9. Kim DH, Yoo IY.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2):236-246.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236 

  10.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 175-191. 

  11. Stewart JL, Lynn MR, Mishel MH.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new instrument to measure uncertain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Nursing Research. 2010;59(2):119-126. http://dx.doi.org/10.1097/NNR.0b013e3181d1a8d5 

  12. Hinds PS, Quargnenti AG, Wentz TJ. Measuring symptom distress in adolescents with cancer.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1992;9(2):84-86. 

  13.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14. Reed PG. Spirituality and well-being in terminally ill hospitalized adult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87;10(5):335-344. 

  15. Kim SS, Reed PG, Kang Y, Oh J. Translation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Korean versions of the spiritual perspective scale and the self-transcendence scale in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7):974-983. http://dx.doi.org/10.4040/jkan.2012.42.7.974 

  16. Jalowiec A. The Jalowiec coping scale. In: Strickland OL, Dilorio C, editors. Measurement of nursing outcomes. Vol. 3: Self care and coping. 2nd ed. New York, NY: Springer; 2003. p. 71-87. 

  17. Herth K. Abbreviated instrument to measure hop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2; 17(10):1251-1259. 

  18. Reed PG. Religiousness among terminally ill and healthy adult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86;9(1):35-41. 

  19. Woodgate RL. Conceptu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in the adolescent with cancer: Part I.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1999;16(1):35-43. 

  20. Son SY. Illness experience of adolesc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603-61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603 

  21. Fortier MA, Batista ML, Wahi A, Kain A, Strom S, Sender LS. Illness uncertainty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cancer. Journal of Pediatric Hematology Oncology. 2013;35(5):366-370. http://dx.doi.org/10.1097/MPH.0b013e318290cfdb 

  22. Oh SM, Lee HJ, Kim GS, Park KD. Factors affecting social adjustment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3):238-245. 

  23. Enskar K, von Essen L. Prevalence of aspects of distress, coping, support and car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undergoing and being off cancer treatment.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7;11(5):400-408. http://dx.doi.org/10.1016/j.ejon.2007.01.003 

  24. Mandleco BL, Peery JC. An organizational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resilience in childre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Nursing. 2000;13(3):99-111. 

  25. Hockenberry MJ, Wilson D.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8th ed. St. Louis, MO: Mosby; 2008. 

  26. Trask PC, Paterson AG, Trask CL, Bares CB, Birt J, Maan C. Parent and adolescent adjustment to pediatric cancer: Associations with coping,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003;20(1):36-47. http://dx.doi.org/10.1053/jpon.2003.5 

  27. Wu LM, Chin CC, Chen CH, Lai FC, Tseng Y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ediatric cancer coping sca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1;67(5):1142-115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0.05567.x 

  28. Wu LM, Sheen JM, Shu HL, Chang SC, Hsiao CC. Predictors of anxiety and resilience in adolescents undergoing cancer treat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3;69(1):158-16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2.06003.x 

  29. Ho SM, Ho JW, Bonanno GA, Chu AT, Chan EM. Hopefulness predicts resilience after hereditary colorectal cancer genetic testing: A prospective outcome trajectories study. BMC Cancer. 2010;10:279. http://dx.doi.org/10.1186/1471-2407-10-279 

  30. Fegg MJ, Wasner M, Neudert C, Borasio GD. Personal values and individual quality of life in palliative care 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5;30(2):154-159.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5.0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