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비교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1, 2014년, pp.66 - 74  

김남희 (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미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This data will address the effective plans and suggest furth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가 어떠한지, 교사와 학부모 간 인식 및 요구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아 대상 영양교육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와 학부모 대상 영양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초 자료를 토대로 향후 유아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이를 통해 유아교사와 학부모가 올바른 영양지식과 태도 및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유아의 전인적 성장·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영양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그리고 교사와 학부모 간 인식 및 요구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00명, 학부모 174명 총 3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식보다는 외식이나 인스턴트 식품 섭취가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취업모 증가와 가족 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과거에 비해 가정식보다는 외식이나 인스턴트 식품 섭취가증가하였으며, 최근에는 소아 비만, 결식 아동 증가, 아토피 피부염 등 불균형적인 영양 섭취로 인한 신체적, 사회․정서적 문제들이 유아기에 흔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식생활 양식의 변화, 영양 불균형 등으로 인한 소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고(Yu 등 2010),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으며(Jang 등 2011), 사회적 거부나 낮은 자존감 등을 유발하는 심리사회적 위험과 신체적 위험 둘 다를 동반한다(Lanigan JD 2012).
취업모 증가와 유아교육기관의 종일제 운영으로 유아교육기관이 더욱 신경 써야 하는 교육은? 또한 취업모 증가와 유아교육기관의 종일제 운영 등으로 인해 많은 유아들이 장시간 유아교육기관에 머물게 되었고, 하루중 한 번 이상의 급․간식을 먹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유아들의 건강과 전인적 발달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 하는 영양교육의 역할이 과거에 비해 중요한 임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유아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는 영양교육 실시나 영양교육내용 및 방법 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유아기에 가정식보다는 외식이나 인스턴트 식품 섭취가증가하여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취업모 증가와 가족 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과거에 비해 가정식보다는 외식이나 인스턴트 식품 섭취가증가하였으며, 최근에는 소아 비만, 결식 아동 증가, 아토피 피부염 등 불균형적인 영양 섭취로 인한 신체적, 사회․정서적 문제들이 유아기에 흔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식생활 양식의 변화, 영양 불균형 등으로 인한 소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고(Yu 등 2010),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으며(Jang 등 2011), 사회적 거부나 낮은 자존감 등을 유발하는 심리사회적 위험과 신체적 위험 둘 다를 동반한다(Lanigan JD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ker JA, Dilly LJ, Aupperlee JL, Patil SA. 2003 The developmental context of school satisfaction: Schools as psychologically healthy environment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8:206-221 

  2. Britten P, Lai MK. 1998.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teschers' training, self-efficacy and time spent teaching nutrition. J Nutr Educ 30:218-224 

  3. Ding D, Sallis JF, Norman GJ, Saelens BE, Harris SK, Kerr J, Rosenberg D, Durant N, Glanz K. 2012. Community food environment, home food environment,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 Nutr Educ Behav 44:634-638 

  4. Jang HB, Park JY, Lee HJ, Kang JH, Park KH, Song JH. 2011.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level, overweight, and eating habits with diet quality in Korean sixth 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44:416-427 

  5. Jeong MS, Kim NH. 2011. A survey on nutrition education realities and nee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J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10:131-154 

  6. Jeong YJ. 2007.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on nutrition education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at Suwon area. MS Thesis, Suwon Uni. Suwon. pp. 53-60 

  7. Kang EH. 2009. Child care teachers' recognition 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early childhood nutrition education. MS Thesis, Konkuk Uni. Seoul. pp. 116-122 

  8. Kim JA. 2010. The effects of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on the knowledge in nutrients and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 Gwangju. pp. 46-48 

  9. Kim YH. 2009. American elementary teachers' attitude toward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Practical Arts Educ 22:213-234 

  10. Lanigan JD.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s and child care providers' beliefs related to child feeding and obesity prevention. J Nutr Educ Behav 44:521-529 

  11. Lee GH. 2009. An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of the realities of nutri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3:69-96 

  12. Lee JS, Kim KS. 1999. A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 of the house wives in Pusan by nutrition knowledge, purpose value of meals and monthly food expenditure. Korean J Food Nutr 12:300-305 

  13. Lim HJ. 1999.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th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P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369-1379 

  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A Guide of Nuri Program for 5 Year Old Children. pp. 32-3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inistry of Health & Welfare 

  15. Murashima M, Hoerr SL, Hughes SO, Kattelmann KK, Phillips BW. 2012.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during childhood relate to weight status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of college students. J Nutr Educ Behav 44:556-563 

  16. Ohm JA, Lee SH. 2004.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early childhood nutrition and their knowledge of nutrition. Korean J Early Childhood Educ 24:5-21 

  17. Park KA, Lee JH. 2001. Child car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nutrition for infants, toddlers & young children. J Korea Open Assoc Early Childhood Educ 5:51-65 

  18. Park KM. 2005. A survey of teachers' recognition on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education at day-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920-929 

  19. Shin DJ. 1997. Preschool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ttitude to nutri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nutrition knowledge-Centered on the Kyongnam area-. Korean J Food & Nutr 10:219-227 

  20. Stang J, Story M, Kalina B. 1998. Nutrition education in Minnesota public school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eachers. J Nutr Educ 30:396-404 

  21. Watts SO, Pinero DJ, Alter MM, Lancaster K. 2012. An assessment of nutrition education in selected counties in New York state elementary schools (kindergarten through fifth grade). J Nutr Educ Behav 44:474-480 

  22. Yu OK, Rhee YK, Sohn HS, Cha YS. 2010.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Chonbuk area -Focus on food habit, eating behaviors, dietary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ents int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286-12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