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고추케찹 및 국내산 고추케찹의 생리활성 성분 및 관능특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ioactive Compounds and the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Chili (Capsicum annuum L.) Ketchup and American Chili Ketchup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1, 2014년, pp.105 - 111  

유경미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국인이 즐겨먹는 기능성 고추케찹과 한국산 고추케찹의 생리활성 특성을 비교하고, 한국산 고추케찹의 외국인 관능평가를 진행하여 고추케찹의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고부가 가치 고추가공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국산 고추케찹 4종과 한국산 고추케찹의 총당, 염도, 당도의 이화학적 분석과 ASTA 값, 총 캡사이시노이드, 총 카로티노이드, 총 페놀, 총 항산화력의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한국산 고추케찹은 미국 고추케찹보다 생리활성 성분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관능평가 결과, 미국 고추케찹에 비하여 단맛과 짠맛이 약하고, 종합적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생리활성 성분과 관능평가 결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ASTA 값, 총 캡사이시노이드,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과는 통계적으로 서로 양(positive)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 3가지 생리활성 성분은 종합적 기호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chili (Capsicum annuum L.) ketchup and American chili ketchup for their comparative bioactive components and then conduct a sensory evaluation. American chili ketchups are collected from Americans' local favorites, and then the American chili ketch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인이 즐겨먹는 고추가 함유된 고추 케찹을 개발하는데 있다. 또한, 개발된 국내산 고추케찹(Lee 등 2012a)과 미국산 고추케찹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고, 생리 활성 성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 미국인이 즐겨먹는 기능성 고추케찹과 한국산 고추케찹의 생리활성 특성을 비교하고, 한국산 고추케찹의 외국인 관능 평가를 진행하여 고추케찹의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고부가 가치 고추가공품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국산 고추케찹 4종과 한국산 고추케찹의 총당, 염도, 당도의 이화학적 분석과 ASTA 값, 총 캡사이시노 이드, 총 카로티노이드, 총 페놀, 총 항산화력의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 또한, 개발된 국내산 고추케찹(Lee 등 2012a)과 미국산 고추케찹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고, 생리 활성 성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것은 앞으로 미국 시장에 케찹 소스로의 수출 가능성을 예상할 때, 생리활성에 대한 차별성이 미국 고추케찹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All values are means±SD and values are triplicate determinati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식품시장 보고서는 무엇을 분석하는가? 주요 국가의 식품산업 흐름과 식생활 문화의 경향을 보여 주는 소비자 트렌드를 분석한 미국 식품시장 보고서(USDA Food Report, 2012)의 의하면 ‘건강’과 ‘웰빙’ 그리고 ‘기능성 식품’을 주요 키워드로 소개하고 있다. 세계적인 건강에 대한 관심과 인구 노령화, 삶의 질 향상이 부각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이런 트렌드의 경향은 “기능성 식품”과 같은 새로운 분류의 식품의 소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국내 고추의 연간 생산량과 일인당 연간 소비량은? 고추(Capsicum annuum L.)는 국내 건고추 생산량 기준으로 연간 13~15 만 톤, 생산액은 1조 원 규모이며, 일인당 연간 소비량은 4 ㎏ 정도에 달한다(Lee 등 2012). 국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중 높은 수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고추는 대부분고춧가루 형태로 소비가 되고 있어 고추의 소비량을 증가시키고, 수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고추를 이용한 고부가 가치 식품가공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산 고추케찹의 외국인 관능평가를 진행한 결과 미국 고추케찹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무엇이며 낮게 나타난 것은 무엇인가? 미국산 고추케찹 4종과 한국산 고추케찹의 총당, 염도, 당도의 이화학적 분석과 ASTA 값, 총 캡사이시노이드, 총 카로티노이드, 총 페놀, 총 항산화력의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한국산 고추케찹은 미국 고추케찹보다 생리활성 성분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관능평가 결과, 미국 고추케찹에 비하여 단맛과 짠맛이 약하고, 종합적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생리활성 성분과 관능평가 결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ASTA 값, 총 캡사이시노이드,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과는 통계적으로 서로 양(positive)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 3가지 생리활성 성분은 종합적 기호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nayfeed MH, Daood HG, Biacs PA, Alcaraz CF. 2001. Content of bioactive compounds in pungent spice red pepper (Paprika) as affected by ripening and genotype. J Sci Food Agic 81:1580-1585 

  2. KFIA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1997. Tomato Ketchup, Mayonnaise, Sauces. Korea Food Year Book 

  3. KFRI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001. Development of Global Sauces using Traditional Gochujang 

  4.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agri Food Chem 50:3713-3717 

  5. Kim S, Kim KS, Park JB. 2006. Changes of various chemical components by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of ripening and harvesting factors in two single-harvested peppers (Capsicum amm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8:615-620 

  6. Kwon DJ, Lee S, Kim YJ, Yoo JY, Kim HK, Chung KS. 1999. Quality changes in hot sauce with red pepper powder and/or Kochujang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433-440 

  7. Kwon DJ, Lee S, Yoon KD, Han NS, Yoo JY, Jung KS. 1996. Technical development of Korean type hot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1014-1020 

  8. Lee S, Yoo KM, Park JB, Hwang IK, 2012b. Development of value-added hot sauce products with Korean chilli peppers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257-263 

  9. Lee S, Yoo KM, Song SR, Park JB, Hwang IK, 2012a. Development of value-added ketchup products with Korean chilli peppers (Capsicum annuum L.) and their sensory evaluation. Korean J Food & Nut 25:9-16 

  10. Lim SI, Han KS, Burgess P, Kim JH, Seo KM. 2009. Assessing relative preference for hot/spicy sauces by conjount analysis, focusing on english consumers. Korean J Food Culture 24:51-57 

  11. Mi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426-428 

  12. NRA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2007. Chef Survey 

  13.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1980. Standard Methods of Analysis for Hygienic Chemists with Commentary. Kyumwon Pub., Tokyo. pp. 62-63 

  14. Singleton V,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erican J Enolo Viticul 16:144-158 

  15. Tim T. 2010. Condiments & sauces industry update - strength amidst a difficult economy. Tully & Holland MA. pp. 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