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치성 낭종은 미맹출치의 치관을 둘러싸는 퇴축법랑상피로부터 기원한다. 대부분의 함치성 낭은 적출술 또는 조대술로 치료된다. 조대술을 통해 낭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고 골의 재생이 일어나면서 낭벽은 정상적인 점막으로 변하게 된다. 조대술은 적출술에 비해 인접 주요 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증례는 5세와 11세 남아의 상악 정중 과잉치와 치수 치료된 하악 유구치 부위에서 발견된 각각의 함치성 낭종을 치료한 증례로 모두 낭의 크기가 2개 이상의 인접 영구치의 변위를 발생시킬 정도로 크기가 매우 컸다. 환자의 나이가 어리고 낭의 크기가 커서 조대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고 그 결과 변위된 인접 영구치의 맹출 방향이 개선되고 방사선투과상의 크기가 점점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증례와 같이 크기가 매우 큰 함치성 낭의 경우에서 조대술을 이용하여 치료할 경우 위치가 변이된 인접치아를 보존하고 영구치의 자연 맹출을 유도할 수 있는 양호한 결과가 예상되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ntigerous cyst is the most common developmental odontogenic cyst of the jaw which is associated with unerupted teeth. Treatment modalities range from enucleation to marsupialization. Enucleation is the process in which the cyst is completely removed, and this is usually indicated for smaller le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삼성서울병원 소아치과 및 구강악안면외과에 내원한 환아들로 두 환아 모두 개인 의원에서 의뢰되었다.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미맹출치와 연관된 함치성 낭종으로 진단되어 조대술을 이용하여 치료하였고,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함치성 낭종의 치료법으로는 주로 조대술이나 적출술, 또는 조대술 후 적출술을 사용한다. 치료의 목적은 악골 내 비정상적인 상피이장을 제거하고 건전한 치아를 보존하면서 미맹출치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보존하는 것이다. 적출술의 경우, 낭종의 크기가 크지 않고, 인접 해부학적 구조물에 손상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 시행하며 낭종벽을 골과 완전히 분리해내어 낭종을 제거해낸다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치성 낭은 주로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이로 인해 치관은 낭의 내강 내에 위치하고, 치근은 바깥에 남게 된다. 함치성 낭은 주로 미맹출 하악, 상악 제3대구치 또는 상악 견치와 관련되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는 무증상이지만, 낭이 매우 크거나 염증까지 동반할 경우에는 종창이나 통증 또한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된다2).
함치성 낭이란 무엇인가? 함치성 낭은 퇴축법랑상피와 법랑질 표면 사이에 액체가 축적되어 매복치의 치관을 둘러싸는 치성낭으로, 치경부 경계에 낭이 부착된 형태로 되어있다1). 이로 인해 치관은 낭의 내강 내에 위치하고, 치근은 바깥에 남게 된다.
함치성 낭은 어떤 증상을 보이는가? 함치성 낭은 주로 미맹출 하악, 상악 제3대구치 또는 상악 견치와 관련되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는 무증상이지만, 낭이 매우 크거나 염증까지 동반할 경우에는 종창이나 통증 또한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app J, Eversole L, Wysocki G : Contemporary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Daehan Publishing, 49-51, 2005. 

  2. Neville B, Damm D, Allen C, Bouquot J : Oral & Maxillofacial Pathology. 2nd ed., Saunders, 590-592,2002. 

  3. Kirtaniya BC, Sachdev V, Singla A, Sharma AK : Marsupialization: A conservative approach for treating dentigerous cyst in children in the mixed dentition.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28:203-208,2010. 

  4. Delbem AC, Cunha RF, Afonso FL, Bianco KG, et al. : Dentigerous cysts in primary dentitions: Report of two cases. Pediatr Dent, 28:269-272, 2006. 

  5. Bozdogan E, Cankaya B, Gencay K, Aktoren O : Conservative management of a large dentigerous cyst in a 6-year-old girl: a case report. J Dent Child,78:163-167, 2011. 

  6. Benn A, Altini M : Dentigerous cysts of inflammatory origin. A clinicopathologic stud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81:203-209,1996. 

  7. Asia′n-Gonza′lez E, Pereira-Maestre M, Conde- Ferna′ndez D, Vilchez I, et al. : Dentigerous cyst associated with a formocresol pulpotomized deciduous molar. J Endod, 33:488-492, 2007. 

  8.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Tex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Medical and Dental Publishing Co, 395-396, 2005. 

  9. Ziccardi VB, Eggleston TI, Schneider RE : Using fenestration technique to treat a large dentigerous cyst. J Am Dent Assoc, 128:201-205, 1997. 

  10. Scariot R, da Costa DJ, Rebellato NL, Muller PR, et al. : Treatment of a large dentigerous cyst in a child. J Dent Child, 78:111-114, 2011. 

  11. Hupp JR, Ellis E, Tucker M : Contemporary Oral and Maxillofaical Surgery. 5th ed., Mosby Elsevier,455-456, 2008. 

  12. Lustmann J, Bodner L : Dentigerous cysts associated with supernumerary teeth. Int J Oral Maxillofac Surg, 17:100-102, 1988. 

  13. Most DS, Roy EP : A large dentigerous cyst associated with a supernumerary tooth. J Oral Maxillofac Surg, 40:119-120, 1982. 

  14. McCrea S : Adjacent dentigerous cysts with the ectopic displacement of a third mandibular molar and supernumerary (fourth) molar: a rare occurrenc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07:e15-20, 2009. 

  15. Lee IY, Kim TW, Kim YJ, Kim HJ et al. :Dentigerous cyst of a maxillary mesiodens: Case Repor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548-555,2008. 

  16. Shun Y : Dentigerous cyst associated with an impacted anterior maxillary supernumerary tooth. J Dent Child, 75:104-107, 2008. 

  17. Ahn BJ, Chang CH, Lee DH : Dentigerous cysts in the child. J Korean Soc Plast Reconstru Surg,20:597-603, 1993. 

  18. Serra e Silva FM, Sawazaki R, de Moraes M : Eruption of teeth associated with a dentigerous cyst by only marsupialization treatment: a case report. J Dent Child, 74:228-230, 2007. 

  19. Jun EM, Kim TW, Kim HJ, et al. : A case report of a dentigerous cyst treated by marsupialization. J Korean Acad Pediatr Dent, 34:473-480, 2007. 

  20. Song HJ, Kim JG, Yang YM, et al. : Spontaneous eruption of permanent teeth after marsupialization associated with dentigerous cys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8:194-201, 2011. 

  21. Berti Sde A, Pompermayer AB, Couto Souza PH, Tanaka OM, et al. : Spontaneous eruption of a canine after marsupialization of an infected dentigerous cys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137:690-693, 2010. 

  22. Kozelj V, Sotosek B : Inflammatory dentigerous cysts of children treated by tooth extraction and decompression-report of four cases. Br Dent J, 187:587-590, 1999. 

  23. Torres-Lagares D, Segura-Egea JJ, Rodrl′guez- Caballero A, Llamas-Carreras JM, et al.. : Treatment of a large maxillary cyst with marsupialization, decompression, surgical endodontic therapy and enucleation. J Can Dent Assoc, 77:b87, 2011. 

  24. Koca H, Esin A, Aycan K : Outcome of dentigerous cysts treated with marsupialization. J Clin Pediatr Dent, 34:165-16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