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자기법을 이용한 과채류 시설재배지 토양 내 분포하는 뿌리혹선충의 종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eloidogyne spp. in Soils from Fruit and Vegetable Greenhous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3 no.1, 2014년, pp.85 - 91  

김세종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  유용만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학과) ,  황경숙 (목원대학교 미생물나노소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과채류 시설재배지 토양 내 분포하는 뿌리혹선충의 계통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마토, 오이, 수박, 참외를 재배하는 12개 과채류 시설재배지 토양 내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시설재배지 토양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였으며 토양 300 g 당 평균 $72{\pm}6{\sim}2$, $898{\pm}468$마리로 검출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수집한 뿌리혹선충 2령 유충을 대상으로 PCR-RFLP 계통분석을 수행하였다.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분리한 12개 뿌리혹선충의 mtDNA PCR 증폭산물을 대상으로 제한효소 HinfI을 처리한 결과 900, 410, 290 및 170 bp의 DNA 절편 양상을 나타내는 Group A와 900, 700 및 170 bp의 DNA 절편 양상을 나타내는 Group B로 분류되었다. 각 그룹에 속하는 뿌리혹선충의 mtDNA 유전자 염기서열(1,483~1,521 bp)을 결정하여 계통분석한 결과, Group A에 속하는 9개의 뿌리혹선충은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과 99.73~99.93%의 상동성을 나타내었고 그리고 Group B에 속하는 3개의 뿌리혹선충은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과 99.54~99.73%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유사한 종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in soils from fruits and vegetables greenhouses in Korea.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2 greenhouse fields in which tomato, cucumber, watermelon, and Oriental melon were being cultivated. Me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채소류 재배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시설재배지 뿌리혹선충에 의한 피해에 대한 종합적인 방제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지역별 또는 작물별 시설재배지 단지에 분포하는 뿌리혹선충의 정확한 분류와 동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시설재배 작물인 토마토, 오이, 수박, 참외 시설재배지 토양에 분포하는 주요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의 계통분류를 위하여 각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뿌리혹선충을 PCR-RFLP 분자기법에 의거하여 계통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뿌리혹 선충은 언제 최초로 발견되었는가? 식물기생선충 중 피해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알려진 뿌리혹 선충(Meloidogyne spp.)은 1850년대 영국의 온실에서 재배중인 오이 뿌리혹에서 최초로 발견되어진 이래 현재 전 세계적으로 90종 이상이 보고되었다(Perry et al., 2009).
뿌리혹선충에 의해 피해가 심한 지방은 어디인가? , 2009). 뿌리혹선충은 온도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 분포가 매우 광범위하나 주로 한대 지방보다는 온도가 높은 아열대지방에서 피해가 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1998).
뿌리혹선충에 의해 뿌리에 혹이 형성된 식물은 어떤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가? 뿌리혹선충은 토양에 서식하면서 식물 뿌리에 침입하여 뿌리 내부에 기생하며 영양분을 흡수하고 혹(gall)을 형성한다. 뿌리에 혹이 형성된 식물은 토양으로부터 수분과 양분의 흡수가 저하되고 영양결핍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식물 지상부의 잎에서는 황화현상과 잎마름 증상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 고사되며 각종 토양 병해와의 상호작용 으로 2차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hurtleff and Averre,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rmann, G., 1917. Eine eifache methode zur auffindung von anklyostomum (Nematoden) larven in Erdproben. Geneesk. Tijdschr. Ned-Indie. 57, 131-137. 

  2. Blaxter, M.L., Ley, P.D., Garey, J.R., Liu, L.X., Scheldeman, P., Vierstraete, A., Vanfleteren, J.R., Mackey, L.Y., Dorris, M., Frisse, L.M., Vida, J.T., Thomas, W.K., 1998. A molecular evolutionary framework for the phylum nematode. Nature 392, 71-75. 

  3. Blok, V.C., Malloch, G., Harrower, B., Phillips, M.S., Vrain, T.C., 1998. Intraspecific variation in ribosomal DNA in populations of the potato cyst nematode Globodera pallida. J. Nematol. 30, 262-274. 

  4. Cherry, T., Szalenski, A.L., Todd, T.C., Powers, T.O., 1997.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of Belonolaimus (Nemata:Belonolaimidae). J. Nematol. 29, 23-29. 

  5. Cho, M.R., Lee, B.C., Kim, D.S., Jeon, H.Y., Yiem, M.S., Lee, J.O., 2000. Distribution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fruit vegetable production areas in Korea and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s by enzyme phenotypes. Korean J. Appl. Entomol. 39, 123-129. 

  6. Choo, H.Y., Kim, H.K., Park, J.C., Lee, S.M., Lee, J.I., 1987. Studies on the patterns of plastic film house, their growing conditions, and diseases and pests occurrence on horticultural crops in southern part of Korea. Insects and nematodes associated with horticultural crops and effect of nursery soil conditions on the infection of root-knot nematode. Korean J. Plant. Prot. 26, 195-201. 

  7. Fallas, G.A., Hahn, M.L., Fargette, M., Burrows, P.R., Sarah, J.L., 1996. Molecular and biochemical diversity among isolates of Radopholus spp. from different areas of the world. J. Nematol. 28, 422-430. 

  8. Ferris, V.R., Ferris, J.M., Faghihi, J., 1993. Variation in spacer ribosomal DNA in some cyst-forming species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Fundam. Appl. Nematol. 16, 177-184. 

  9. Han, H.R., Cho, M.R., Jeon, H.Y., Lim, C.K., Jang, H.I., 2004. PCR-RFLP identification of three major Meloidogyne species in Korea. J. Asia-Pacific Entomol. 7, 171-175. 

  10. Harris, T.S., Sandall, L.J., Powers, T.O., 1990. Identification of single Meloidogyne juvenil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of mitochondrial DNA. J. Nematol. 22, 518-524. 

  11. Hooper, D.J., 1990. Extraction and processing of plant and soil nematodes, In: Luc, M., Sikora, R.A., Bridge, J. (Eds.),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subtropical and tropical agriculture.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London, pp. 45-68. 

  12. Hyman, B.C., 1996. Molecular systematic and population biology of phytonematodes: some unifying principles. Fundam. Appl. Nematol. 19, 309-313. 

  13. Iwahori, H., Kanzaki, N., Futai, K., 2000. A simple,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ided diagnosis method for pine wilt disease. For. Pathol. 30, 157-164. 

  14. Joyce, S.A., Burnell, A.M., Powers, T.O., 1994. Characterization of Heterorhabditis isolates by PCR amplification of segments of mtDNA and rDNA genes. J. Nematol. 26, 260-270. 

  15. Kang, S.J., Park, B.Y., Choi, D.R., Han, S.C., 2002. First report of Meloidogyne marylandi (Tylenchida : Heteroderidae) in Korea. Korean J. Soil Zool. 7, 45-49. 

  16. Kim, H.H., Choo, H.Y., Park, C.G., Lee, J.J., Jeong, D.Y., 1998. Antagonistic plant survey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in greenhouses. Korean J. Appl. Entomol. 37, 91-95. 

  17. Lim, J.R., Hwang, C.Y., Kim, J.Y., Park, C.B., Kim, D.H., Choi, J.S., Choo, B.K., 2005. Occurrence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Codonopsis lanceolata field and its damaged by Meloidogyne hapla. Korean J. Appl. Entomol. 44, 317-323. 

  18.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e Science, 2001. An illustrated plant parasite nematode book. RDA, Suwon, Korea. 

  19. Orui, Y., 1996. Discrimination of the main Pratylenchus species (Nematoda: Pratylenchidae) in Japan by PCR-RFLP analysis. Appl. Entomol. Zool. 31, 505-514. 

  20. Orui, Y., 1998. Identification of japanese species of the genus Meloidogyne (Nematoda: Meloidogynidae) by PCR-RFLP analysis. Appl. Entomol. Zool. 33, 43-51. 

  21. Perry, R.N., Moeus, M., Starr, J.C., 2009. Root-knot nematode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London, pp. 488. 

  22. Powers, T.O., Harris, T.S., 1993. A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five major Meloidogyne species. J. Nematol. 25, 1-6. 

  23. Powers, T.O., Todd, T.C., Burnell, A.M., Murray, P.C.B., Fleming, C.C., Szalanski, A.L., Adams, B.A., Harris, T.S., 1997. The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as a taxonomic marker for nematodes. J. Nematol. 29, 441-450. 

  24. Powers, T.O., Szalenski, A.L., Mullin, P.G., Harris, T.S., Bertozzi, T., Griesbach, J.A., 2001. Identification of seed gall nematodes of agronomic and regulatory concern with PCR-RFLP of ITS1. J. Nematol. 33, 191-194. 

  25. Saitou, N., Nei, M., 1987. The neighbor-join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26. Shurtleff, M.C., Averre, C.W., 2000. Diagnosing plant diseases caused by nematodes. APS Press, St Paul, Minnesota, USA, pp. 187. 

  27. Szalenski, A.L., Sui, D.D., Harris, T.S., Powers, T.O., 1997. Identification of cyst nematodes of agronomic and regulatory concern with PCR-RFLP of ITS1. J. Nematol. 29, 255-267. 

  28. Thomson, J.D., Higgins, D.G., Gibson, T.J., 1994. CLUSTAL W: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 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 4673-46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