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도뇨관 크기 감소 및 정보제공이 수술 후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과 간호요구도에 미치는 효과: 회복실에 입실한 성인남자 환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 Decrease Indwelling Catheter Size and Preoperative Education on Bladder Discomfort and Patient's Nursing Need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1 no.2, 2014년, pp.120 - 126  

백현주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  이혜미 (분당서울대학교 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decrease in indwelling catheter size and preoperative education on bladder discomfort and nursing nee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in the recovery room after their surgery. Methods: This study is a randomized control tr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로 나누어 유치도뇨관 크기 감소와 수술 전 유치도뇨관에 대한 정보제공이 수술 후 회복실에서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과 간호요구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된 무작위 대조군 사후 설계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마취유도 후 유치도뇨관을 삽입하는 환자에게 유치도뇨관 크기 감소와 수술 전 정보제공이 회복실에서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과 간호요구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서 회복실은 수술이라는 큰 정서적, 신체적 변화를 겪는 환자들이 수술 후 처음 간호를 접하는 곳이기 때문에 수술 후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과 간호 요구 도가 높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유치도뇨관 크기 감소와 수술 전 정보제공이 수술실에서 마취 유도 후 유치도뇨관을 삽입 받은 환자가 수술후 회복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과 높은 간호요구도를 낮추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실험군 1과 실험군 2, 대조군의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과 간호요구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공동 연구자가 개발한 자료를 이용하여 수술실 입실 전 개별적으로 환자에게 실시하는 약 3분정도의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설명을 말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과 실험군 1에게 기존의 16Fr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실험군 2에게 14Fr 유치도뇨관으로 삽입하는 것을 말한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과 전문가 조언을 통해 유치도뇨관 삽입목적, 삽입시기, 긴박뇨 등의 자세한 불편감을 나타내는 삽화가 포함된 자료를 이용하여, 전처치실에서 진정제가 투여 되기 전 3분간 유치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정보제공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정보제공 후 문답을 통하여 이해 정도를 파악하였다.
  •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치도뇨관 크기 감소와 수술 전 정보제공이 회복실에서 유치도뇨관 삽입으로 인한 불편감과 간호요구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러한 증상은 수술후 통증을 더욱 증가시키고 수술부위와 간호사의 업무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나 회복실에서 유치도뇨관 삽입으로 인한 불편감과 간호요구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이에 유치도 뇨관 크기 감소와 수술 전 유치도뇨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후 회복실에서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과 간호요구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16Fr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 1과 14Fr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 2는 대조군에 비해 간호요구도가 감소할 것이다.
  • 16Fr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 1과 14Fr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수술 전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 2는 대조군에 비해 수술 후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이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은 무엇인가? , 2006), 마취 후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고 회복실에 입실한 환자 중 47%가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nhas, Motamed, Hawaji, Yiou, & Marti, 2011).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은 유치도뇨관이 괄약근을 자극하기 때문에 발생하며(Agarwal, Yadav, Gupta, Singh, & Singh, 2008), 그중 소변이 마려운 느낌과 강렬한 통증을 가장 흔히 호소한다 (Binhas et al., 2011).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을 줄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8). 하지만 이러한 약제들은 대부분 직접적인 평활근 이완 작용이나 항콜린 작용을 나타내는 약제로서 장기간 투여 시 효과의 반감이나 구갈, 요폐 등의 많은 부작용이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oon, Lee, & Lee, 1997).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의학적 연구에서는 약제를 사용하여 불편감을 감소시키고자 하였으며 간호학 연구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약한 것이 현실이다.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을 줄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을 치료하기 위해 유치도뇨관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 외에 의학 연구에서 마약, 방광근육 이완제, 항콜린제, 국소마취제를 사용하고 있으며(Chohedri, Shirazi, & Hossein, 2010), 수술시작 1시간 전 toltelodine, oxybutin, gabapentin을 경구투여 하였을 경우 회복실에서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불편감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Binhas et al., 2011). tolterodine, oxybutinin 등 항콜린성 약물의 효과(Agarwal et al., 2005, 2006) 외에도, ketamine은 유치 도뇨관의 불편감의 발생률을 낮추고 증상을 완화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Agarwal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garwal. A., Raza, M., singhal, V., Dhiraaj, S., Kapoor, R., Srivastava, A., Gupta, D. & Singh, P. K. (2005). The efficacy of tolterodine for prevention of catheter related bladder discomfort; A prospective,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Double-blind study, Anesthesia & Analgesia, 101, 1065-7. 

  2. Agarwal, A., Gupta, D., Kumar, M., Dhiraaj, S., Tandon M. & Singh. P. K. (2006). Ketamine for treatment of catheter related bladder discomfort: a prospective,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and double blind study. Br J Anasesth, 96(5), 587-9. 

  3. Agarwal. A., Yadav. G., Gupta, D., Singh, P. K. & Singh, U. (2008). Evaluation of intra-operative tramadol for prevention of catheter-related bladder discomfort: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Br J Anasesth, 101(4), 506-10. 

  4. Binhas. M., Motamed. C., Hawaji. N., yiou. R. & Marti. J. (2011). Predictor of catheter related bladder discomfort in the post-anesthesia care unit. Ann Fr Anesth Reanim, 4465, 1-4. 

  5. Chohedri. A. H., Shirazi. M. & Hossein. E. (2010). Comparision of ketamine and tolterodine; For reduction of catheter related bladder discomfort, Professional Med J, 17(3), 411-415. 

  6. Endacott, R. (1997). Clarifying the concept of need : a comparison of two approaches to co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3), 471-476. 

  7. Gray, M., Newman, D. K., Einhorn, D. J., & Reid czarapata, B. J. (2006). Best Practices in Managing the Indwelling Catheter, Perspectives Nursing, 7(1), 3-9. 

  8. Jan C. (2011). Clinical guidelines for adult urethral catheterisation and suprapubic re cathterisation. UK: NHS. 

  9. Kim, E. K., Chae, S. O., Kwon, K. S., Kim, Y. J., Hong, M. H., Kim, M. H., et al. (2002). A study on nursing needs of patients in th recovery roo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sing, 9(1), 87-99. 

  10. Kim, H. J. (2011). The effects of the provision of preoperative information, afterth operation; anxiety, pain and nursing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lji university, Daejeon. 

  11. Kim, K. S. (2006). Fundamental of Nursing Practice (5th ed). Seoul :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2. Kim, J. Y. (2007). A study on nusing needs of patients and nursing practice of nurses in th recovery 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3. Shorrab. A. A., Abol-Enein. H., Shabana. A., Elhanbly, S. &Abdel-Mohaymen, H. (2008). Discomfort following transurethral cystoscopy and catheterization: effect of gender and topical steroids. European Society of Anesthesiology. 615-616. 

  14. Tauzin-Fin. P., Sesay. M., Svartz. L., Krol-Houdek. M. C. &Maurette. P. (2007). Sublingual oxybutinin reduces postoperative pain related to indwelling bladder catheter after radical retropubic prostatectomy. Br J Ansesth, 99, 572-5. 

  15. Tauzin-Fin, P., Stecken, L., & Sztark, F. (2013). Catheter-related bladder discomfort in post-anaesthesia care unit. Urology Nursing, 33(6), 289-298 

  16. Yoon, C. Y., Lee, D. S., Lee, J. G. (1997). Inhibitory effects of Tiropramide and prospiverine HCL against smooth muscle contraction of rat urinary bladder; In-vitro muscle strip study, Korean J Urol, 38(5), 455-46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