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주민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효과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Community Resi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2, 2014년, pp.875 - 882  

강종수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의 S시 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사회자본 수준이 주민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한 것으로 지역주민 27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역 사회 수준의 사회자본은 참여와 네트워크, 신뢰 및 규범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자본은 평균평점 $3.02{\pm}.52$로 나타났으며, 지역주민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사회자본의 참여(${\beta}$=.26, p<.001)와 네트워크(${\beta}$=.17, p<.01) 그리고 신뢰(${\beta}$=.16, p<.01)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2=.35).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인 참여와 신뢰 그리고 네트워크가 높을수록 지역주민의 생활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community residents. For the research, social capital was consisted of participation, network, trust and nor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279 citizens of S-c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지역사회 단위에서 사회자본이 지역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이 갖는 표본의 한계와 측정방식의 다양성을 감안하여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일개 지역사회 내의 사회자본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한 후에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여 지역사회 문제 해결 내지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제로서 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진술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강원도 S시 일반 주민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인 S시는 강원도 동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 1,185.
  • 본 연구는 강원도 S시 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수준이 주민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한 것으로 지역주민 27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지역사회 단위에서 사회자본이 지역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이 갖는 표본의 한계와 측정방식의 다양성을 감안하여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일개 지역사회 내의 사회자본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한 후에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여 지역사회 문제 해결 내지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제로서 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 국내에서도 박희봉과 김영환[6]은 네트워크와 호혜성 및 신뢰로 파악하였고, 특히 한국 사회에서 사회자본의 지표 개발을 연구한 소진광[8]은 신뢰와 네트워크, 규범, 참여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자본을 신뢰와 네트워크, 규범 및 참여로 구성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하위구성개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트워크(network)는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서, 개인이나 집단 등 행위자들간의 전반적인 연계형태를 의미하며 집단 내 관계와 유대를 돈독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으며 보다 다양한 변인들의 효과가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변화의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사회자본이 지역주민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또한 그 효과를 일정부분 확인하였으나, 정작 지역사회 단위에서 사회자본을 축정하는 실천적 방안은 연구되지 않았다. 후속연구를 통해서는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사회자본을 축정하기 위한 전략과, 또한 일부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과도한 네트워크 등이 가져오는 부정적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전략 등이 함께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자본이란 무엇인가? 사회자본은 경제자본이나 인적자본, 문화자본과는 달리 개인이 아닌 사회적 관계 속에서 파생되는 자본의 형태이다. 사회적 관계를 통해 신뢰와 결속을 창출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을 소유한 사람들이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이익을 창출하게 된다[1-3].
공공재로서의 사회자본의 특성은 무엇인가? 사회자본은 특히 다른 형태의 자본들과는 달리 행위자들이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본이 아니라 행위자들 사이의 관계 속에 내재하고 있는 자본이라는 점과 소유자에게만 배타적으로 이익이 돌아가지 않고 공유되는 특징이 있다. 즉 공공재로서의 사회자본의 특성은 특정 집단이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적으로 사회자본이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특징이 있다[4].
Mauss가 말하는 호혜성 내지 규범의 의미는 무엇인가? 호혜성 내지 규범(norm)은 주어야 하는 의무와 받아야 하는 의무 그리고 되돌려 주어야 할 의무가 상호 얽혀있다는 것으로, 개인들과 집단의 목적을 성취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이다. Mauss[23]은 호혜성은 받은 선물의 가치가 즉각적이든 아니면 시간적으로 후에 발생하게 되던 상대방에게 되돌려 주어야 하는 도덕적 의무를 수반하는 것으로, 단순히 경제적인 면뿐만 아니라 사회적이고 문화적으로 호혜성은 다시 재생산 된다고 보았다. 개인들은 호혜성을 내재화하고 사회적 의무에 기초하기 때문에 노력이라고 보았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R. Putnam,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2.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pp. 95-120, 1988. DOI: http://dx.doi.org/10.1086/228943 

  3. F. Fukuyama,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cts. New York: Free Press, 1995. 

  4. I. Light, "Social Capital's Unique Accessibility",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2), pp. 145-151, 2004. 

  5. H. B. Park, J. S. Kang and S. M. Kim, "The Creation of Social Capital and Intellectual Capital, and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12(1), pp. 3-35, 2003. 

  6. H. B, Park and M. H. Kim, "Social Capital and Governance Capacity in Local Community",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34(4), pp. 175-196, 2001. 

  7. S. C. Lew, "Good Government, Social Capital, and Trust: Korea, Japan, Denmark, and Sweden, East & West Studies conference, 14(1), pp. 63-75, 1998. 

  8. J. K. So, "Toward Developing Social Capital Indicators", 16(1), pp. 89-118, 2004. 

  9. S. M. Han,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Scale for Social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3, pp. 237-272, 2007. 

  10. J. H. Choi, T. S. Ahn and E. H. Lee,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Scale in Community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Network",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2(4), pp. 297-324, 2010. 

  11. S. Knack,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Governance: Evidence from the State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6(4): pp. 772-785, 2002. DOI: http://dx.doi.org/10.2307/3088433 

  12. B. R. Bae, "Influences of Interpersonal Trust in Organizations on Responsiveness to Residents by Public Officials: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9(3), pp. 67-86, 2005. 

  13. K. S. Pyo and J. H. Kim,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ocial Workers' job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0, pp. 69-92, 2009. 

  14. H. Y. Kim, "A study of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lif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participating in mobilization program of community resource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3(3), pp. 1-29. 2011. 

  15. S. H. Hong, J. S. Hwang, and J. S. Ryu, "A Study o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of Social Capital", Journal of Korean Northeast Asia Studies, 59, pp. 291-319, 2011. 

  16.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John Rich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Sociology of Education, pp. 241-258, 1986. 

  17. A. Portes,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Sociology, 24, pp. 1-24, 1998. DOI: http://dx.doi.org/10.1146/annurev.soc.24.1.1 

  18. M. E. Warren, Democracy and Associa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19. K. Polanyi, The economy as an instituted process, in Polanyi, K., Arensberg, C. and Pearson, H. (eds.), Trade and Market in the Early Empires: Economies in History and Theory, Chicago: Free Press, 1957. 

  20. W. H. Ahn, "Effects of Teacher-Students' Relations Social Capital on Student Achievement",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8(3), pp. 269-289, 2007. 

  21. A. Giddens, The Consequence of Modern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22. K. S. Park,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45(2), pp.109-139, 2002. 

  23. M. Mauss, The Gift: The Form and Reason for Exchange in Archaic Societies, N.Y: W. W. Norton, 1990. 

  24. S. C. Lew, "Good Government, Social Capital, and Trust: Korea, Japan, Denmark, and Sweden, East & West Studies conference, 14(1), pp. 63-75, 1998. 

  25. OECD, The Well-being of Nations" The Role of Human and Social Capital, 2001. 

  26. J. K. Lee, "Satisfaction with Life and Social Capital : Centered on the Effect of Civic Participation, Trust and Social Resources",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 pp. 5-40, 2009. 

  27.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of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pp.71-75, 1985. DOI: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28. R. Inglehart,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 cultural and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