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년제 간호교육기관의 기초간호학 4개 교과목(인체 구조와 기능, 병원미생물학, 병태생리학, 약물의 기전과 효과) 운영 현황
Survey of Curriculum for 4 Subjects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Clinical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 Mechanism and Effect of Drugs) of Biological Nursing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1, 2014년, pp.17 - 25  

이경숙 (강릉원주대학교 원주캠퍼스 간호학과) ,  최은옥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정재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전문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iculum on biological nursing: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clinical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and function and effect of drugs. Methods: Data was collected by searching and reviewing internet websites of 102 nursing school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4년제 간호교육기관의 기초간호학 교과목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러한 연구는 매우 시의적절하고 중요한 연구라고 하겠다.
  • , 1999)의 네 가지 교과목의 명칭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초간호학 교과 내용 표준화를 목표로 지식체를 개발하고자 임상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학부과정과 전문간호사 과정의 기초간호학 교과목에 대한 요구도 및 실태를 조사하였다. 즉 학부과정의 인체구조와 기능(Choe et al.
  • 기초간호교과목의 표준화를 위하여 기초간호학회에서 제안한 교과목명과 표준 강의계획서를 더 널리 활용하는 방안 모색을 제안한다. 또한 구제적인 운영 현황의 파악과 개선 방안 적용을 위하여 기초간호학을 담당하는 교수 현황과 이들의 요구사항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 2007; Yi & Cho, 2011)과 약물의 기전과 효과(Yi & Cho, 2011)에 대한 요구도와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기초간호학 교과목의 학습목표와 표준 강의계획서를 개발하여(Lee et al., 2013) 4년제 간호교육기관의 기초간호학 교과목의 지침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초간호학회에서는 제2주기 간호교육인증평가를 대비하여 기초간호학 교과목에 대한 성과기반 교과과정을 구성하고자 2012-2013년의 학술대회와 정책연구를 통하여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초간호학이 중요한 교과목인 이유는 무엇인가? 기초간호학(biological nursing)은 간호 실무를 위한 기초적인 이론을 제공하는 생명과학(life science)으로(Arkinsanya, 1984), 간호사가 전문적 의사결정을 할 때 간호직무를 수행하는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에(Casey, 1996)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다. 간호과학은 대상자의 건강과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면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기초간호학의 네가지 교과목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간호교육에서 기본이 되고 중요한 기초간호학은 기초의학과는 구별되는 교과목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에 기초간호학회에서는 인체구조와 기능(기초간호학 I), 병원미생물학(기초간호학 II), 병태생리학(기초간호학 III), 약물의 기전과 효과(기초간호학 IV) (Choe et al., 1999)의 네 가지 교과목의 명칭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초간호학 교과 내용 표준화를 목표로 지식체를 개발하고자 임상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학부과정과 전문간호사 과정의 기초간호학 교과목에 대한 요구도 및 실태를 조사하였다.
기초간호학 교육의 표준화를 위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예전 기초의학 과목명을 사용하는 대학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기초간호학 교육의 표준화를 위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대학에서는 기초간호학회가 제시한 교과목명을 사용하기보다는 예전부터 사용해 오던 기초의학과목명인 해부학, 생리학, 미생물학, 병리학, 약리학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은 기초간호학 담당 교수의 잦은 변동과(Choe & Shin, 1997) 의과대학 교수나 외래 교수에 의해 강의가 이루어지고 (Choe & Shin, 1999) 있기 때문에 최근에 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최근 많은 4년제 간호교육기관의 증설과 3년제 대학의 4년제로의 전환 등으로 기초간호학을 교육할 수 있는 준비된 간호학 전공 교원의 부족으로 이러한 상황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rkinsanya, J. A. (1984). Development of a nursing knowledge base in the life sciences: problems and prosp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1(3), 221-227. http://dx.doi.org/10.1016/0020-7489(84)90043-9 

  2. Casey, G. (1996). Analysis of Akinsanya's model of bio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3, 1065-1070.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6.07311.x 

  3. Choe, M. A., Byun, Y. S., Seo, Y. S., Hwang, A. R., Kim, H. S., Hong, H. S., et al. (1999). A study on the degree of need of human structure and function knowledg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1(1), 1-24. 

  4. Choe, M. A., Byun, Y. S., Seo, Y. S., Hwang, A. R., Kim, H. S., Hong, H. S., et al. (2000). A study on the degree of need of the knowledge of pathophysiology, clinical microbiology and mechanism and effects of drug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2(1), 1-19. 

  5. Choe, M. A., & Shin, G. S. (1997).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peration of the basic medical science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975-987. 

  6. Choe, M. A., & Shin, G. S. (1999). Objectives and contents of basic medical sciences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1455-1468. 

  7. Chung, Y. S. (2012). Biological science in nursing practice. Winter Conference Proceedings of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85-96. 

  8. Davies, S., Murphy, F., & Jordan, S. (2000). Bioscience in the pre-registration curriculum: Finding the right teaching strategy. Nurse Education Today, 20(2), 123-135. http://dx.doi.org/10.1054/nedt.1999.0375 

  9. Davis, G. M. (2010). What is provided and what the registered nurse needs - bioscience learning through the pre-registration curriculum. Nurse Education Today, 30(8), 707-712. http://dx.doi.org/10.1016/j.nedt.2010.01.008 

  10. Kim, H. S. (2013, July). Program outcome based curriculum designing and development in nursing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workshop of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on the outcome based curriculum management and evaluation for faculties in nursing educ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1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3). Program outcome of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from Korean Accer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3). http://kabon.or.kr/kabon02/120120319133351.pdf 

  12. Lee, K. S., Jeong, J. S., Choe, M. A., Kim, J. H., An, G. J., Kim, J. H., et al. (2013). Development of standard syllabuses for 4 subjects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pathogenic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 of bionursing.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1), 33-42.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1.33 

  13. McKee, G. (2002). Why is biological science difficult for first-year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Today, 22, 251-257. http://dx.doi.org/10.1054/nedt.2001.0700 

  14. Park, M. J., An, K. J., Jeong, J. S., Kim, H. S., Hong H. S., & Choe, M. A. (2007). Educational need assessment of advanced practice nurses on the pathophysiolog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9(1), 85-102. 

  15. Rudy, E., & Grady, P. (2005). Biological researchers: building nursing science. Nursing Outlook, 53(2), 88-94.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4.09.006 

  16. Suh, H. S. (1995). An Analysis of Requisite Knowledge Body of Physiology for Nurs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 Nursing, 2(2), 229-237. 

  17. Yi, Y. J., & Cho, K. S. (2011). Survey on the students's evaluation and the administrational status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subjects in advanced practice nursing program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3), 193-203. 

  18. Yoo, J. S., Ahn, J. A., Yeo, K. S., & Chu, S. H. (2008). The study to reorganize the course of basic nursing science in a college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0(2), 162-1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