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종사자의 주사침 손상 사고 후 감염예방처치와 혈액매개바이러스 혈청양성전환
Post-exposure Treatment and Seroconversion to Blood-borne Viruses after Needlestick Injuries among Healthcare Personn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1, 2014년, pp.26 - 32  

정재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전문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Needlestick injuries (NSI) is the most frequent occupational hazard for healthcare personnel (HCP), and immediate report and adequate post-exposure prophylaxis (PEP) is essential in preventing occupational transmission of blood-borne pathogens. Methods: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0, 544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발적으로 참여한 의료기관에서 보고된 의료종사자의 주사침 손상 후 주요 혈액매개질환에 대한 감염예방처치 현황과 실제 감염 발생 상황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주사침 손상관련 자료는 발생 직후 보고(initial report)와 추적(최종) 보고(발생 6개월 후)로 나누어 두 단계로 보고하도록 하였다. 주사침 손상 발생 직후에는 발생일자, 직종, 노출 체액의 종류, 손상의 정도, 장갑 착용 상태와 같은 주사침 손상 사고 당시의 상황을 보고하도록하였다. 손상사고후 6개월까지의 추적조사 결과 보고시에는 손상 날짜, 노출 후 추적검사 및 감염예방처치의 내용과 시행 빈도, 감염예방처치의 완료 여부, 감염발생 여부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 주사침 손상관련 자료는 발생 직후 보고(initial report)와 추적(최종) 보고(발생 6개월 후)로 나누어 두 단계로 보고하도록 하였다. 주사침 손상 발생 직후에는 발생일자, 직종, 노출 체액의 종류, 손상의 정도, 장갑 착용 상태와 같은 주사침 손상 사고 당시의 상황을 보고하도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막 노출의 특징은 무엇인가? 8%,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은약 1% 미만에서실제감염이발생할수있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01). 점막 노출의 경우 경피적 사고보다는 감염위험성이 낮으나 점막에는 혈관이 표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다량의 혈액이나 체액과 접촉하는 경우 감염원이 인체내로 침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손상된 피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경로이며, 감염가능성은 앞의 두 경우에 비하여 미약하여 드물게 감염발생이 가능하다(CDC, 2001).
의료종사자가 혈액매개감염원에 노출되는 경로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의료종사자가 혈액매개감염원에 노출되는 경로는 다양하지만 크게 구분하면, 경피적 손상, 점막노출, 손상된 피부에 대한 노출로 구분된다. 미국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의 보고에 의하면 주사바늘과 같은 날카로운 기구에 손상을 당하는 경우가 82%로가장많았으며, 그 이외에 코, 눈, 입등의 점막이 노출되는 경우가 14%, 손상된 피부 노출이 3%, 환자에게 물리는 경우가 1%이었다(NIOSH, 2012).
NIOSH에 따르면 의료종사자가 혈액매개감염원에 노출되는 경우는 어떠한 때인가? 의료종사자가 혈액매개감염원에 노출되는 경로는 다양하지만 크게 구분하면, 경피적 손상, 점막노출, 손상된 피부에 대한 노출로 구분된다. 미국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의 보고에 의하면 주사바늘과 같은 날카로운 기구에 손상을 당하는 경우가 82%로가장많았으며, 그 이외에 코, 눈, 입등의 점막이 노출되는 경우가 14%, 손상된 피부 노출이 3%, 환자에게 물리는 경우가 1%이었다(NIOSH, 2012).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이 경피적 손상으로 hepatitis B virus (HBV)에 노출될경우 hepatitis B e antigen (HBeAg)의 상태에 따라 다르나 23-62%에서 혈청양성전환(seroconversion)이 발생할 수 있으며(Beltrami & Perz, 2009), hepatitis C virus (HCV)는 약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rgentero, P. A., Zotti, C. M., Abbona, F., Mamo, C., Castella, A., Vallino, A., et al. (2007). Regional surveillance of occupational percutaneous and mucocutaneous exposure to blood-borne pathogens in health care workers: strategies for prevention. La Medicina del lavoro, 98(2), 145-55. (Article in Italian, abstract) 

  2. Beltrami, E. M., & Perz, J. F. (2009). Occupational exposures to bloodborne pathogens. In Carrico, R. (Ed.). Text for infection control and epidemiology.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Professionals in Infection Control.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1). Updated U. S. public health serv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occupational exposures to HBV, HCV, and HIV and recommendations for postexposure prophylaxis.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0(RR-11), 1-67.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National Surveillance System for Healthcare Workers-blood and body fluid exposures summary report, June 1995-December 2007.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npublished data. 

  5. Chung, H., Kudo, M., Kumada, T., Katsushima, S., Okano, A. Nakamura, T., et al. (2003). Risk of HCV transmission after needlestick injury, and the efficacy of short-duration interferon administration to prevent HCV transmission to medical personnel. Journal of Gastroenterology, 38(9), 877-9. DOI 10.1007/s00535-003-1156-1 

  6. EPINet. Uniform needlestick and sharp object injury report: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1999 [cited 2012 October,12]. Available from: http://www.med.virginia.edu/medcntr/centers/EPINet/soi99.html. 

  7. Health Protection Agency Centre for Infections [NPHSW CNI]. Eye of the Needle: Surveillance of Significant Occupational Exposure to Bloodborne Viruses in Healthcare Workers. Centre for Infections; England, Wales and Northern Ireland Seven-year Report. January 2005. 

  8. Jagger, J., De Carli, G., Perry, J. L., Puro, V., & Ippolito, G. (2003). Occupational exposure to bloodborne pathoge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In R. P. Wenzel (Ed.). Prevention and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s (pp. 430-466).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9. Johnston, J. J., & O'Conor, E. (2005). Needlestick injuries, management and education: a role for emergency medicine? Europ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2(1), 10-12. 

  10. Jeong, J. S., et al. (2012).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of Needlestick Injury Surveillance System for Healthcare Personnel.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11. Kim, O. S., & Yoon, S. W. (2009). Exposure and Immune Status of Health Care Workers Accidentally Exposed to Hepatitis B Virus in a Healthcare Setting.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1(2), 120-127. 

  12. Kim, S. S., Sin, G., & Kim, J. (2011). Needlestick and Sharps Injur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2), 174-279. 

  13. MacCannell, T., Laramie, A. K., Gomaa, A., & Perz, J. F. A. (2010). Health Care-Associated Transmission of Hepatitis B and C Viruses Occupational Exposure of Health Care Personnel to Hepatitis B and Hepatitis C: Prevention and Surveillance Strategies. Clinics in Liver Disease, 14(1), 23-36. http://dx.doi.org/10.1016/j.cld.2009.11.001 

  14. Mehta, A., Rodrigues, C., Ghag, S., Bavi, P., Shenai, S., & Dastur, F. (2005). Needlestick injuries in a tertiary care centre in Mumbai, India.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0(4), 368-73. doi:10.1016/j.jhin.2004.12.015 

  15.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NIOSH]. Publication No. 2000-108. NIOSH Alert: Preventing Needlestick Injuries in Health Care Settings 2012 [cited 2012 October, 12]. Available from: http://www.cdc.gov/niosh/docs/2000-108/ 

  16.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egulation. Article 5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2). Retrieved October 10, 2013, from http://www.moel.go.kr/view.jsp?cate3&sec1 

  17. Oh, H. S., Yi, S. E., & Choe, K. W. (2005).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blood exposures of health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 for 10 year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0(3), 269-75. doi:10.1016/j.jhin.2004.11.026 

  18. Puro, V., De Carli, G., Petrosillo, N., Lppolito, G., & the Studio Italiano Rischio Occupazionale da HIV Group. (2001). Risk of exposure to bloodborne infection for Italian healthcare workers, by job category and work area.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2(4), 206-10. DOI: 10.1086/501890 

  19. Puro, V., De Carli, G., Segata, A., Piccini, G., Argentero, P. A., Signorini, L., et al. (2010). Giuseppe Ippolito Gruppo di Studio Italiano Rischio Occupazionale da HIV. Update on the subject of epidemiology of blood-transmitted occupational infections. Giornale Italiano di Medicina del Lavoro ed Ergonomia, 32(3), 235-9. (Italian, abstract) 

  20. Tomkins, S. E., Elford, J., Nichols, T., Aston, J., Cliffe, S. J., Roy, K., et al. (2012). Occupational transmission of hepatitis C in healthcare worker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eroconversion: UK surveillance data. Journal of Viral Hepattitis, 19(3), 199-204. doi: 10.1111/j.1365-2893.2011.01543.x. 

  21. Venier, A. G., Vincent, A., L'Heriteau, F., Floret, N., Senechal, H., Abiteboul, D., et al. (2007). Surveillance of occupational blood and body fluid exposures among French healthcare workers in 2004.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8(10), 1196-1201. DOI: 10.1086/520742 

  22. Wang, F. D., Chen, Y. Y., & Liu, C. Y. (2000). Analysis of sharp-edged medical-object injuries at a medical center in Taiwan.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1(10), 656-8. DOI: 10.1086/501710 

  23. Young, T. N., Arens, F. J., Kennedy, G. E., Laurie, J. W., & Rutherford, G. W. (2007). Antiretroviral post-exposure prophylaxis (PEP) for occupational HIV exposure.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 24(1), DOI: 10.1002/14651858.CD002835.pub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