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쏭이모자반 (Sargassum confusum) 주정추출물이 성인여성 체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rgassum confusum on reduction of body fat in obese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1, 2014년, pp.23 - 32  

민기성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한 대석 (한국 식품 연구원 신소재 연구단) ,  권상오 ((주)에스엔디 기업부설연구소) ,  여경목 ((주)에스엔디 기업부설연구소) ,  김복남 (한림성심대학 관광외식조리과) ,  이선영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조류인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의 섭취로 인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평가하고자 이중맹검법을 사용하여 BMI 23 이상의 과체중 혹은 비만 성인 여성에게 8주간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을 섭취하게 한 후 체격지수, 혈액 분석, 식사섭취상황 등을 조사하였다. 최종 대조군은 14명, 실험군은 16명이었으며 1일3회 각 4개의 캡슐을 섭취시켰다. 인체시험 결과 시험전후 비교시 대조군에 비하여 시험군의 체지방률과 체지방량, 허리둘레가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청 트리글리세롤과 렙틴농도가 더욱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변배설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여 지방 배설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시험기간 동안 7명의 피험자가 심각하지 않은 부작용으로 시험에서 탈락하였으나 건강상 불편함을 호소하는 피험자 수의 두 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은 8주간 섭취 시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험자의 허리둘레, 체지방율과 함께 혈청 렘틴 수치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배변횟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켜 특히 복부비만을 해소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기능성 소재로 기대되므로 작용기전을 설명할 수 있는 심층 연구가 필요로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rgassum confusum extracts on the reduction of body fat for eight weeks in overweight women ($BMI{\geq_-}23kg/m^2$). Methods: Subjects were classified by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as the control group (C group,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물실험결과 항비만 효능을 보인 알쏭이 모자반에 대해 인체시험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BMI 23 이상의 과체중 및 단순비만소견을 보이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알쏭이 모자반 주정추출물의 항비만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8주간의 시험 후 체중, BMI, 팔둘레, 체지방총량 등에서는 대조군과 시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체지방률 (fat %)과 허리둘레에서는 대조군에서 시험기간 동안 차이가 없었던 데 반하여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을 섭취한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여 체지방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 20,23 이러한 생각으로 한 연구진에 의하여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을 소재로 한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not published) 인체 유래의 lipase와 α-amyl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동물실험을 통하여 항비만 효능을 검증24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소재를 인체에 적용하여 과체중 및 단순 비만 소견을 보이는 성인여성에서 항비만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생육하는 모자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7-19 알쏭이모자반은 우리나라의 해안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하던 갈조류로서 겨울철의 어린 잎이 연하고 부드러워 주로 겨울에 채취하여 먹는다. 우리나라에서 생육하는 모자반은 괭생이 모자반, 알쏭이 모자반, 큰잎모자반, 외톨개모자반 등 20여종에 다다르며20 이중 괭생이모자반 및 외톨개모자반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알긴산 함량이 각각 25.2%와 26.
췌장 lipase 저해제인 Xenical의 부작용은? Lipase 저해제는 섭취한 지방의 장관 내 흡수를 억제하는 제재로서 Xenical 의 경우 소장에서 지방의 흡수를 30% 정도 감소시켜 체증을 조절하게 된다. 10 그러나 lipase 저해제는 그 작용기전 상 부작용을 보일 수 있는데, Xenical의 경우 주로 보고된 부작용은 지방변, 방귀, 복부팽만감, 지용성 비타민 흡수율 저하 등으로 사용자들이 상당한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11 Xenical과 같은 lipase저해제는 지방 섭취비율이 높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제품으로 서구식 식사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지방 섭취 비율이 그리 높지 않은 동양인에게 사용 하였을 시 필수지방산의 부족이나 지용성 비타민 부족 등의 영양학적인 문제를 배제할 수 없다.
알쏭이모자반은 주로 어느 계절에 채취되는가? 해조류 중 지금까지 주로 연구되어 온 소재는 미역, 다시마를 비롯하여 톳과 청각 등 예로부터 널리 부식의 재료로 사용해 오던 해조류 들이었으나 최근 알쏭이 모자반 (Sargassum confusum)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어 활용가치를 탐색 중에 있다. 17-19 알쏭이모자반은 우리나라의 해안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하던 갈조류로서 겨울철의 어린 잎이 연하고 부드러워 주로 겨울에 채취하여 먹는다. 우리나라에서 생육하는 모자반은 괭생이 모자반, 알쏭이 모자반, 큰잎모자반, 외톨개모자반 등 20여종에 다다르며20 이중 괭생이모자반 및 외톨개모자반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알긴산 함량이 각각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Garfinkel L. Overweight and cancer. Ann Intern Med 1985; 103 (6 Pt 2): 1034-1036. 

  2. Solomon CG, Manson JE. Obesity and mortality: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 data. Am J Clin Nutr 1997; 66(4 Suppl): 1044S-1050S. 

  3. Moon OR, Kim NS, Jang SM, Yoon TH, Kim SO.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prevalence of hypertension & diabetes mellitus based on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J Korean Acad Fam Med 1999; 20(6): 771-786. 

  4. Anderson KM, Castelli WP, Levy D. Cholesterol and mortality. 30 years of follow-up from the Framingham study. JAMA 1987; 257(16): 2176-2180. 

  5. Hill JO, Peters JC. Environmental contributions to the obesity epidemic. Science 1998; 280(5368): 1371-1374. 

  6. World Health Organization (CH). Obesity and overweight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Mar [cited 2013 Aug 1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1/en/index.html.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Interne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Aug [cited2013 Aug 19].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8. Thorleifsson G, Walters GB, Gudbjartsson DF, Steinthorsdottir V, Sulem P, Helgadottir A, Styrkarsdottir U, Gretarsdottir S, Thorlacius S, Jonsdottir I, Jonsdottir T, Olafsdottir EJ, Olafsdottir GH, Jonsson T, Jonsson F, Borch-Johnsen K, Hansen T, Andersen G, Jorgensen T, Lauritzen T, Aben KK, Verbeek AL, Roeleveld N, Kampman E, Yanek LR, Becker LC, Tryggvadottir L, Rafnar T, Becker DM, Gulcher J, Kiemeney LA, Pedersen O, Kong A, Thorsteinsdottir U, Stefansson K. Genome-wide association yields new sequence variants at seven loci that associate with measures of obesity. Nat Genet 2009; 41(1): 18-24. 

  9. Escott-Stump S. Malnutrition-obesity and undernutrition. In: Escott-Stump S, editor. Nutrition and Diagnosis-Related Care. New York (N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p.609-611. 

  10. Bray GA. Medical therapy for obesity. Mt Sinai J Med 2010; 77(5): 407-417. 

  11. Carter R, Mouralidarane A, Ray S, Soeda J, Oben J. Recent advancements in drug treatment of obesity. Clin Med 2012; 12(5): 456-460. 

  12. Ballinger A. Orlistat in the treatment of obesity. Expert Opin Pharmacother 2000; 1(4): 841-847. 

  13. Misurcova L, Skrovankova S, Samek D, Ambrozova J, Machu L. Health benefits of algal polysaccharides in human nutrition. Adv Food Nutr Res 2012; 66: 75-145. 

  14. Bocanegra A, Bastida S, Benedu J, Rodenas S, Sanchez-Muniz FJ.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and cardiovascular-health properties of seaweeds. J Med Food 2009; 12(2): 236-258. 

  15. Bae SJ. Anticarcinogenic effects of Sargassum fulvellum fractions o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3): 480-486. 

  16. Neyrinck AM, Mouson A, Delzenne NM.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laminarin, a fermentable marine beta (1-3) glucan, protects against hepatotoxicity induced by LPS in rat by modulating immune response in the hepatic tissue. Int Immunopharmacol 2007; 7(12): 1497-1506. 

  17. Liu QY, Meng QY. In vivo anti-tumor effect of polysaccharide from Sargassum confusum and the mechanisms. Di Yi Jun Yi Da Xue Xue Bao 2004; 24(4): 434-436. 

  18. Liu QY, Meng QY. Therapeutic effect of Seaweed Polysaccharide from Sargassum confusum on sarcoma s180 in mice and its mechanism. Ai Zheng 2005; 24(12): 1469-1473. 

  19. Liu QY, Meng QY. Effects of Sargassum confusum polysaccharide on the expression of p53 and Rb genes in mouse sarcoma S180 cells. Nan Fang Yi Ke Da Xue Xue Bao 2008; 28(8): 1378-1381. 

  20. Kang SH, Cho EK, Choi YJ.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for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s of Sargassum fulvellum and its antioxidant and alcohol-metabolizing activities. J Life Sci 2012; 22(10): 1420-1427. 

  21. Kim DS, Park YH. Uronic acid composition, block structure and some related properties of alginic acid (4) On alginic acid from Myagropsis myagroides fensholt and Sargassum horneri C. agardh. Bull Korean Fish Soc 1985; 18(2): 124-130. 

  22. Lahaye M. Marine algae as sources of fibres: determination of soluble and insoluble dietary fibre contents in some 'sea vegetables'. J Sci Food Agric 1991; 54(4): 587-594. 

  23. Lee EH, Ham J, Ahn HR, Kim MC, Kim CY, Pan CH, Um BH, Jung SH. Inhibitory effects of the compounds isolated from Sargassum yezoense on $\alpha$ -glucosidase and oxidative stress. Korean J Pharmacogn 2009: 40(2): 150-154. 

  24. Jang YJ, Kwon SO, Yeo KM, Hong MJ, Kim BN, Han D. Antiobesity effect of Sargassum confusum ethanol extract in obese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1; 43(2); 189-194. 

  25.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Guideline for diagonosis and treatment in Asian-pacific areas.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0. 

  26. Lee S, Park HS, Kim SM, Kwon HS, Kim DY, Kim DJ, Cho GJ, Han JH, Kim SR, Park CY, Oh SJ, Lee CB, Kim KS, Oh SW, Kim YS, Choi WH, Yoo HJ.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Obes 2006; 15(1): 1-9. 

  27.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A questionnaire about dietary life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0 [cited2013 Aug 19]. Available from: http://www.dietnet.or.kr/evaluation/evaluation.html. 

  28. Brennan AM, Mantzoros CS. Drug Insight: the role of leptin in human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emerging clinical applications. Nat Clin Pract Endocrinol Metab 2006; 2(6): 318-327. 

  29. You JS, Park JY, Zhao X, Jeong JS, Choi MJ, Chang KJ. Relationship among serum taurine, serum adipokines, and body composition during 8-week human body weight control program. Adv Exp Med Biol 2013; 776: 113-120. 

  30. Larsson H, Elmstahl S, Berglund G, Ahren B. Evidence for leptin regulation of food intake in humans. J Clin Endocrinol Metab 1998; 83(12): 4382-4385. 

  3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Regulation for evaluation on efficacy of health functional food [Internet]. Cheongw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cited 2012 Jun 22]. Available from:http://www.foodnara.go.kr/hfoodi/industry/. 

  32. Preuss HG, Rao CV, Garis R, Bramble JD, Ohia SE, Bagchi M, Bagchi D. An overview of the safety and efficacy of a novel, natural (-)-hydroxycitric acid extract (HCA-SX) for weight management. J Med 2004; 35(1-6): 33-48. 

  33. Lim IS, Yoon DS, Kim JH, Lim K. The effects of HCA intake and aerobic exercise during 8 weeks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 obesity related hormone in obese women. Korean J Exerc Nutr 2006: 10(3); 185-191. 

  34. Chen SC, Lin YH, Huang HP, Hsu WL, Houng JY, Huang CK.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on weight loss and body fat composition in a Chinese population. Nutrition 2012; 28(5): 559-565. 

  35. Blankson H, Stakkestad JA, Fagertun H, Thom E, Wadstein J, Gudmundsen O. Conjugated linoleic acid reduces body fat mass in overweight and obese humans. J Nutr 2000; 130(12): 2943-2948. 

  36. Oda A, Taniguchi T, Yokoyama M. Leptin stimulates rat aortic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Kobe J Med Sci 2001; 47(3): 141-150. 

  37. Parhami F, Tintut Y, Ballard A, Fogelman AM, Demer LL. Leptin enhances the calcification of vascular cells: artery wall as a target of leptin. Circ Res 2001; 88(9): 954-960. 

  38. Haynes WG, Morgan DA, Walsh SA, Mark AL, Sivitz WI. Receptor-mediated regional sympathetic nerve activation by leptin. J Clin Invest 1997; 100(2): 270-278. 

  39. Shek EW, Brands MW, Hall JE. Chronic leptin infusion increases arterial pressure. Hypertension 1998; 31(1 Pt 2): 409-414. 

  40. Konstantinides S, Schafer K, Koschnick S, Loskutoff DJ. Leptindependent platelet aggregation and arterial thrombosis suggests a mechanism for atherothrombotic disease in obesity. J Clin Invest 2001; 108(10): 1533-1540. 

  41. Padwal R, Li SK, Lau DC. Long-term pharmacotherapy for overweight and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3; 27(12): 1437-14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