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지역 초.중학교 학생들의 끼니별 나트륨섭취 실태 조사
A study of the major dish group, food group and meal contributing to sodium and nutrient intake in Jeju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1, 2014년, pp.51 - 66  

고양숙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혜연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지역 초등학생 701명과 중학생 1,184명을 대상으로 끼니별, 식품군별, 음식군별 나트륨 섭취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조사대상자는 에너지 권장섭취량의 남, 여학생 각각 87.5%, 93.9%이었고, 중학생은 남 여학생 각각 86.1%, 91.7% 이었다. 나트륨 섭취량은 초등학교 남학생이 2,917.2 mg, 여학생 2,819.5 mg이었고, 중학생은 남학생이 3,336.6 mg, 여학생 2,828.1 mg이었다. 초등학생은 하루 총 식품 섭취량의 39.1%를 간식에서 중학생은 점심에서 34.3%를 섭취하고 있었다. 초등학생의 총 열량 섭취량에 대한 아침, 점심, 저녁, 간식의 열량 섭취 비율은 19.8%, 26.8%, 29.8%, 23.6%이었고, 중학생의 경우 열량 섭취 비율은 17.2%, 33.6%, 27.2%, 22.0%이었고, 이에 비해 각 끼니별 나트륨 섭취 비율은 초등학생의 경우 18.0%, 35.1%, 32.8%, 14.1%이었고, 중학생은 15.3%, 40.2%, 29.1%, 15.5%이었다. 초등학생, 중학생 모두 학교급식으로 인하여 점심에서 얻어지는 열량 및 나트륨 섭취량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식품군은 양념류 (초등학생 1,252.5mg, 중학생 1,158.0 mg), 채소류 (초등학생 409.0 mg, 중학생 495.6 mg), 곡류 (초등학생 322.4 mg, 중학생 647.8 mg), 어패류 (초등학생 255.3 mg, 중학생 336.6 mg)이었으며, 곡류군을 제외한 이들 식품군은 점심과 저녁에서 그 사용량이 더 높았고 이는 학교급식이나 저녁에 먹는 부식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비해 간식에서 나트륨 섭취비율이 높은 식품군은 곡류군으로 초등학생은 하루 총 나트륨 섭취량의 5.9%를 중학생은 9.8%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된 간식 음식 선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음식군별 나트륨 섭취 비율은 초등학생 중학생 모두 국류와 찌개류에서 나트륨 섭취량의 19.8%와 25.4%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나트륨 섭취비율이 높은 음식은 김치류이었다. 전체적으로 무침류, 국류, 김치류, 구이류, 볶음류, 일품요리 등에서 나트륨 섭취 비율이 높았다. 끼니에 따른 나트륨 섭취비율을 보면 점심에서 국, 김치, 찌개, 튀김, 볶음 등 다양한 부식에서 얻어지고 있었고, 저녁에는 면류, 구이, 일품요리 등에서 간식에서는 빵 과자류, 면류에서 나트륨 섭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 초 중학교 학생들의 나트륨 섭취 실태는 점심식사에서 다양한 부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급원 식품이나 미량영양소의 공급을 고려하면, 채소와 어패류, 해조류, 육류 등으로 다양한 조리방법을 사용하는 음식군의 배제보다는 짠맛을 조절할 수 있는 미각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아울러 나트륨 섭취비율이 가장 높은 국물 섭취에 대한 영양교육과 또한 점심에서 얻어지는 나트륨 섭취 비율이 높으므로 학교급식 조리종사자 및 영양사를 대상으로도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부식보다는 나트륨 섭취 비율이 낮지만 간식에서 섭취되는 면류인 라면이나, 빵 과자류, 음료는 나트륨 섭취도 높일 뿐 아니라 열량 섭취도 높이므로 과일과 우유 및 유제품 등의 올바른 간식 음식 선택에 대한 교육도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odium intake in the diet according to the kind of meal, food group, and dish group. Methods: A dietary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from April to May, 2009.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701 elemen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금섭취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3 mmHg 감소한 다고 하였는데,8 이완기 혈압은 2 mmHg만 낮추어도 고혈압 16%, 심장마비 9%, 뇌졸중 15%를 감소시킨다는 연구가 있다.9 여러 국가의 역학조사 결과에서도 소금섭취량이 높을수록 고혈압 발병률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위암,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골다공증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0,11 나트륨 과다섭취에 관한 문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영국과 일본,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심각하다고 인식하여 나트륨 섭취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평상시 성인의 나트륨 최저 필요량은 얼마인가? 나트륨은 다른 영양성분과는 달리 인체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필요량이 극히 적다. 평상시 성인의 경우 1일 0.2~1 g을 최저 필요량으로 보고한 바 있다.3 그러나 식품 자체에 최소 필요량 이상의 나트륨이 존재할 뿐 아니라, 조리 시 첨가하는 소금과 식품첨가물에도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어 일반적인 식사를 통해 생리적 요구량보다 많은 양의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구식 패스트푸드, 외식 및 가공식품을 자주 섭취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이러한 서구식 패스트푸드, 외식 및 가공식품을 자주 섭취 하는 경우, 식염, 단순당, 지방, 특히 동물성 지방과 함께 에너지가 과잉 섭취되고 비타민이나 무기질, 식이섬유의 섭취는 부족하게 되어 영양불균형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달고 기름진 것을 선호하는 쪽으로 입맛이 길들여지게 됨으로써 단순당과 나트륨의 섭취가 더욱 증가되는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9-2006. 

  2. Kim G, Lee H. The effect of lifestyle, dietary habit, food preference and eating frequency on sweet taste sensitivity and preferen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2007; 40(6): 531-541. 

  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s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4.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 (5): 545-558. 

  5. Contreras RJ. Salt taste and disease. Am J Clin Nutr 1978; 31(6): 1088-1097. 

  6. Kim YS, Paik HY. Measurement of Na intake in Korean adult females. Korean J Nutr 1987; 20(5): 341-349.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8. Elliott P, Stamler J, Nichols R, Dyer AR, Stamler R, Kesteloot H, Marmot M. Intersalt revisited: further analyses of 24 hour sodium excretion and blood pressure within and across populations. Intersalt Cooperative Research Group. BMJ 1996; 312(7041): 1249-1253. 

  9. Cook NR, Cohen J, Hebert PR, Taylor JO, Hennekens CH. Implications of small reductions in diastolic blood pressure for primary prevention. Arch Intern Med 1995; 155(7): 701-709. 

  10. Strazzullo P, D'Elia L, Kandala NB, Cappuccio FP. Salt intake, stro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BMJ 2009; 339: b4567. 

  11. He FJ, MacGregor GA. A comprehensive review on salt and health and current experience of worldwide salt reduction programmes. J Hum Hypertens 2009; 23(6): 363-384. 

  12. Ministe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The plan for low salt intake project of Korean people. Seoul: Ministe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5. 

  13. Oh SJ. A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behaviors of obese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in hig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Jeju [dissertation]. Jeju: Cheju National University; 2007. 

  14. Yang BM. The food and water consumption condition of the preschool children in Jeju by duplicated food collection [dissertation]. Jeju: Cheju National University; 2004. 

  15. Yon M, Lee Y, Kim D, Lee J, Koh E, Nam E, Shin H, Kang BW, Kim JW, Heo S, Cho HY, Kim CI.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4): 473-487.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R). Food composition table. 6th revision. Suw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1. 

  17. Kim OH, Park HA, Cho YG, Kim KW, Hur Y, Song JH, Kang JH.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6): 717-726. 

  18. Kim SA, Lee BH. Relationships between the nutrient intake status, dietary habi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Bucheon-si. Korean J Nutr 2008; 41(8): 786-796. 

  19. Song YJ, Joung HJ, Kim YN, Paik HY.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intake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food and 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006; 39(1): 50-57. 

  20. Hwang G, Jung L, Yoo M. The eating behaviors, nutrient intakes and hematological status of the lower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in Gwangju. Korean J Food Nutr 2001; 14(4): 293-299. 

  21. Kang MH, Yoon K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exposure through intake of processed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1): 52-61. 

  22. Shim JE, Paik H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s: (5) meal patterns. J Korean Home Econ Assoc 2004; 42(8): 169-185. 

  23. Lee H, Lee C, Lee K, Jung Y, Ha S, Jung Y, Kim D.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1): 85-91. 

  24.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25. Kim TY, Kim HS. Comparison of calcium intake status among elementary students by participation in the school milk program. Korean J Food Cult 2009; 24(1): 106-115. 

  26. Anderson CA, Appel LJ, Okuda N, Brown IJ, Chan Q, Zhao L, Ueshima H, Kesteloot H, Miura K, Curb JD, Yoshita K, Elliott P, Yamamoto ME, Stamler J. Dietary sources of sodium in China,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women and men aged 40 to 59 years: the INTERMAP study. J Am Diet Assoc 2010; 110(5): 736-745. 

  27. Im JH, Yoon JS. A semi-quantitative frequency method for habitual Na intake in adult population. J Living Sci Res 1994; 20: 1-9. 

  28. Moon HK, Choi SO, Kim JE. Dishe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of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123-136. 

  29. Shin EK, Lee HJ, Jun SY, Park EJ, Jung YY, Ahn MY, Lee Y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reduc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2): 216-2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