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싱가포르, 캐나다와 미국의 과학교육과정 내용 요소 분석
Analysis of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of Singapore, Canada and US Focused on the Integrated Concep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1, 2014년, pp.21 - 32  

이윤하 (대영중학교) ,  윤회정 (경북대학교) ,  송주연 (한국교육개발원) ,  방담이 (가톨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 과학교육과정의 주제(theme)와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과학과 기술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본질적 개념(fundamental concepts), 미국의 과학교육내용표준(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에 제시되어 있는 학문 간 교차개념(crosscutting concepts)을 살펴보고, 통합개념과 관련된 각 국의 성취목표에 어떤 과학 내용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학년 별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국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합개념은 그 나라 교육과정의 특성을 반영하며, 통합개념의 특성에 따라 통합개념에 포함되는 과학 내용 요소들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과 학년 별로 제시되는 통합개념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몇 가지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 주요 과학 내용을 포함해야 하는 통합개념의 수는 적정하게 선정되어야 하며, 통합개념이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규정하고 해당 통합개념에 어떤 분과적인 내용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는지 신중하게 검토하면서 통합개념을 선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모든 통합개념이 모든 학년에서 고르게 다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지, 또는 특정 통합개념이 특정 학년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지는 것이 필요한지 등을 숙고하여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asibility of integrated concepts as a key element in designing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has been investigated by analysing science contents included in performance expectations stated at different grades. The science curriculum of Singapore and the state of Ontario in Canada, and next g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에너지’와 관련하여 초등수준에서는 에너지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서로 전환될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따라서 각각의 ‘구체적인 성취목표’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 내용이 분석틀의 어떤 하위요소에 속하는지 분석하고, 각 성취목표의 제시 의도가 어떤 본질적 개념의 목적에 부합하는지 살펴보았다.
  • ‘과학과 기술’에서는 과학이 체계적인 관찰, 실험, 분석을 통해 자연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과학을 통해 삶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과학적 탐구의 과정 및 적용, 과학기술의 장점과 한계에 대한 이해에 대해서도 다룬다. ‘측정’에서는 과학적 탐구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측정이 필요하며, 어떤 양을 측정할 때 어떤 측정 도구들이 사용되는지 알도록 한다.
  • 본 연구는 Big idea를 중심으로 한 통합과학 교육과정 틀 설계에 대한 후속 연구로, 외국의 과학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통합개념을 살펴보고 통합개념과 과학 내용 요소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학과학 교육과정 설계의 핵심이 될 수 있는 통합개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본 연구는 Big idea를 중심으로 한 통합과학 교육과정 틀 설계에 대한 후속 연구로, 외국의 과학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통합개념을 살펴보고 통합개념과 과학 내용 요소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학과학 교육과정 설계의 핵심이 될 수 있는 통합개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싱가포르와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과학교육과정, 미국의 과학교육내용표준(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을 선정하였다.
  •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의 10학년 ‘과학’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과감하게 조정하여 과학을 ‘우주와 생명’, ‘과학과 문명’의 주제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대 과학적 해석을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면서 기존의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의 획일적 구분에서 오는 분과적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Maeng, 2010). 그러나 중학교까지의 ‘과학’은 여전히 교과 영역 별로 분리 구성되어 있다.

가설 설정

  • 과학교육의 근본적인 방향이 통합교육(integrated education)으로 정립되어야 한다(Basista & Mathews, 2002)는 주장은 몇 가지 측면에서 그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첫째, 과학은 그 자체로 통합적인 교과라는 점이다. 과학은 자연을 탐구하는 학문이며, 탐구 대상인 자연 그 자체가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의 영역으로 나눠지는 것은 아니다(Ka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의 NRC(2011)에서는 어떤 차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의 틀을 제시하였나? 2013년 미국에서는 과학적 소양을 갖춘 시민의 양성을 목표로 과학교육내용표준(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을 발표하였다. NGSS에 앞서 NRC(2011)에서는 ‘과학과 공학의 실천(scientific and engineering practices)’, ‘학문 내 핵심개념(disciplinary core idea)’, ‘학문 간 교차개념(crosscutting concepts)’의 세 가지 차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 틀(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을 제시하였다.
싱가포르의 초등과학은 어떤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싱가포르의 초등과학은 ‘다양성(diversity)’, ‘순환(cycle)’, ‘계(systems)’, ‘상호작용(interaction)’과 ‘에너지(energy)’의 다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성’은 3~4학년군에서만 다루어진다. 중등과학은 ‘과학과 기술(science and technology)’, ‘측정(measurement)’, ‘다양성(diversity)’, ‘모델과 계(models and systems)’, ‘에너지(energy)’와 ‘상호작용(interaction)’의 여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과정 설계의 목적은 무엇인가? 교육과정이란 학습을 위한 계획(Taba, 1962)으로 학교 교육과정의 핵심 질문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이다(Kim & On, 2011; Walker, 1990). 교육과정 설계의 목적은 교과 또는 학생의 경험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학습이 일어나게 하고 궁극에는 학습자가 학습한 것을 지속적으로 새로운 상황과 맥락에 사용하면서 자신의 통찰과 지혜를 넓혀감으로써 평생 동안 자신의 삶과 직업을 유지해 가도록 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10). 따라서 여러 상황에 전이 가능한 의미 있는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적절한 교과내용을 선정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것은 교육과정 설계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ng, D., Park, E., Yoon, H., Kim, J., Lee, Y., Park, J., Song, J., Dong, H., Shim, B., Lim, H., & Lee, H. (2013). The design of curricular framework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based on big ide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5), 1041-1054. 

  2. Basista, B., & Mathews, S. (2002).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7), 359-370. 

  3. Cervetti, G. N., Barber, J., Dorph, R., Pearson, P. D., & Goldschmidt, P. G. (2012). The impact of an integrated approach to science and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5), 631-658. 

  4. Cho, J., Kim, S., Lee, S., Kim, M., Ok, H., Rim, H., Park, Y., Lee, M., Han, H., & Son, S. (2011).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1) : A technical report of the main survey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5. Cho, H., Kim, H., Yoon, H., & Lee, K. (2012). The theory and practice of science education. Paju: Kyoyoobook. 

  6. Choi, M., H., & Choi, B. S. (1999). Content organization of middle school integrated science focusing on the integrated them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2), 204-216. 

  7.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 Shouse, A.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E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8. Erickson, H. L. (2001). Stirring the head, heart, and soul: Refin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2nd Ed.). Thousand Oaks, CA: Corwin. 

  9. Hurd, P. D. (1991). Why we must transform science education. Educational Leadership, 49(2), 33-35. 

  10. Kang, H., Kim, E., Noh, S., Park, H., Son, J., & Lee, H. (2007).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11. Kim, K. H., Kwon, S. I, Kim, S. H., Kim, J. Y., & Jin, Y. W. (2007a). The quality of the 8th grade students' achievement in Korea: Findings from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of Korea(TIMSS 200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2. Kim, K. H., Kwon, S. I, Kim, S. H., Kim, J. Y., & Jin, Y. W. (2007b).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TIMSS 2007): A technical report of the main survey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3. Kim, K. J. (2010). A study for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us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nd exploration of reform direction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3(2), 121-151. 

  14. Kim, K. J., & On, J. D. (2011). Understanding by Design (Transfer of learning understanding creativity). Seoul: Kyoyook academy 

  15. Ko, Y. M. (2011).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Singapor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IMS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Lee, J. W. (1991). Reinterpretation of knowledge integration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0(3), 33-45. 

  17. Lee, J. M. (2005). Framework for future converging technologies and cognitive science. Science, philosophy and culture, 50, 22-42. 

  18. Lee, K., & Choi, Y. (2009). Effectiv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Seoul: Hakjisa. 

  19. Lee, J., Kim, Y. J., Paik, S. H., & Lee, K. Y. (2010). An analysis of content-related issues of curriculum for the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 140-154. 

  20. Maeng, H. (2010).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science integrated curriculum.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urriculum Integration Conference. 7, 1-30. 

  21. Mason, T. C. (1996). Integrated curricula: Potential and problem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7(4), 263-270. 

  2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Curriculum and operational practices from around the world(IV) Canada.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in 2009 national curriculum reform. MEST Notice No. 2011-361. 

  24. National Board of Educational Evaluation (1997). Science curriculum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A Cross-national investigation of curricular intentions in school science, TIMSS Report. Seoul: National Board of Educational Evaluation.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6. Plummer, J. D., & Krajcik, J. (2010). Build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celestial motion: Elementary levels from an earth-based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768-787. 

  27. Rennie, L. J., Venville, G., & Wallace, J. (2011). Learning science in an integrated classroom: Finding balance through theoretical triangul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3(2), 139-162. 

  28. Smith, C. L., Wiser, M., Anderson, C. W., & Krajcki, J. (2006). Implication of research on children's learning for standards and assessment: A proposed learning progression for matter and the atomic molecular theory. Focus Article. Measurement: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Perspectives, 14, 1-98. 

  29. Son, Y. (2009).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science integrated curriculum.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urriculum Integration Conference, 4, 43-77. 

  30. Stoddart, T., Pinal, A., Latzke, M., & Canaday, D. (2002). Integrating inquiry science and language development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8), 664-687. 

  31. Taba, H. (1962).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Harcourt Brace Jovanovitch, New York. 

  32. Walker, D. (1990). Fundamentals of Curriculum. Harcourt Brace Jovanovich, San Diego, CA. 

  33. Wiggins, G., & McTighe, J. (2005). Understanding by design(Expanded 2nd Ed.). Alexandria, VA: ASC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