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외국 식중독균 위해관리 정책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Foreign Nation's Risk Management Programs for Controlling Foodborne Pathogen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9 no.1, 2014년, pp.6 - 15  

이종경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신성균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곽노성 (서원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  조윤희 (식품의약품안전처) ,  곽효선 (식품의약품안전처) ,  박일규 (식품의약품안전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외국의식중독균별저감화사례를조사, 비교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식중독균 저감화 매뉴얼을 작성하며 저감화 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선진 외국(미국, 덴마크, 일본)의 식중독 저감화 정책의 현황 및 사례조사에는 인터넷 자료, 관련 기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미국의 신선농산물에서 미생물학적 위험요소 저감화(FDA), 미국 분쇄쇠고기에서 E. coli O157:H7의 저감화(USDA), 덴마크의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에서 살모넬라 저감화, 일본의 어패류에서 장염비브리오 저감화 프로그램을 사례 연구로 제시하였으며 이들 국가의 저감 프로그램의 배경, 전략, 효과를 조사하고 장단점 분석을 실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들 제외국 정책 사례 연구와 국제기구 CODEX의 위해관리 체계를 결합하고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식중독 저감화 관리 매뉴얼로 저감 프로그램에 관한 일반 모델을 다음 순서로 제시하였다: 1) 위해관리 초기판단, 2) 식중독 저감화 프로그램 계획, 3) 대안 확인 및 선택, 4) 대안 실행(이해당사자별 역할 설정 및 대안 방법 적용), 5) 감시 활동, 6) 중간 재검토, 7) 목적 달성 때까지 대안 실행 지속적 실시 (만일 대안이 효과가 없으면 대안을 대체하거나 수정하여 식중독 저감화 목표 달성 시까지 실시), 8) 최종 평가에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필요시 비용 편익 분석실시.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식중독 저감화 정책에 관한 시사점 및 식품안전의 이해당사자별 역할별로 도출된 식중독 저감화 정책 모델 및 매뉴얼은 미생물학적 위해관리를 수행하는데 향후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cquire the information on the foodborne pathogen risk management programs in a couple of developed countries by the expert meeting and searching the information on the web. The backgrounds, strategies and effects related to microbial hazards of the foodborne pathogen 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저감 효과에 성공적이었던 선진국 3개 국가(미국, 덴마크, 일본)의 위해관리 정책을 선별하여 이들 국가의 미생물에 관한 식중독 저감화 프로그램을 조사하고자 한다. 미국은 1990년대 후반 축산물 유래 식중독균이었던 E.
  • 덴마크는 1990년대 중반부터 체계적인 살모넬라 관리를 위하여 농업정책의 일환으로 축산물 관리를 실시하였다. 덴마크는 닭고기부터, 돼지고기, 그리고 암탉으로부터 유래한 계란의 관리까지 살모넬라 식중독 예방을 위해 체계적으로 실시한 관리 방법을 소개하겠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 후반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이 발생한 일본에서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환자수를 줄이기 위한 위해관리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 덴마크는 닭고기부터, 돼지고기, 그리고 암탉으로부터 유래한 계란의 관리까지 살모넬라 식중독 예방을 위해 체계적으로 실시한 관리 방법을 소개하겠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 후반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이 발생한 일본에서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환자수를 줄이기 위한 위해관리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들 해외 정책 조사 연구와 국제기구의 권고사항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향후 미생물학적 위해관리 정책을 실시하기 위한 기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1990년대 후반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이 발생한 일본에서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환자수를 줄이기 위한 위해관리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이들 해외 정책 조사 연구와 국제기구의 권고사항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향후 미생물학적 위해관리 정책을 실시하기 위한 기본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덴마크에서 살모넬라 프로그램은 1995년부터 2002년에 걸쳐서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때 EU Zoonosis Directive의 요구에 따라 덴마크 정부의 저감화 프로그램의 기본적 전략은 백신, 항생제, 유기산, 염소, 경쟁 저해균의 사용을 하지 않으면서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에서 살모넬라 감염율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오염률을 저감시키는 것은 농장 단계에서 오염된 제품을 제거하고, 오염된 제품은 오염 수준에 따라 강제적 가공처리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 신선농산물은 미국 FDA가 학계인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IFT)와 함께 수년간의 연구를 수행(저감 방법들의 경제적 영향, 식중독 사건, 병원균 특성, 미생물 생육 특성, 최소 성장 방법, 포장 및 신저감기술, 항균제 표준법, 지표균과 대리균 연구)하도록 하여 정보를 생산, 공유하였다. 광범위한 연구 조사를 통해서 퇴비와 관개수 등 환경인자를 통한 유입경로를 확인하고 퇴비에서 가축유래 병원균을 완전히 사멸하기 위한 퇴비 생성 시간 및 온도 조건까지 연구, 조사하였다6). 다만 신선농산물에서는 문제가 되는 특정 병원성세균이 대다수 신선농산물에 널리 오염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검출율도 매우 낮고, E.
  • 그래서 1990년 후반에는 산업체의 몇몇 멤버들이 test-andhold 공정을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는 최종 제품(beef trim) 혹은 최종 분쇄육의 E. coli O157:H7를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고자 샘플링 및 테스트를 하여 E. coli O157:H7의 존재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만일 검사 후 균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업적으로 유통시키고 만약 균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전체 lot는 완전 가열 조리제품이나 혹은 축산처리가공장으로 보내도록 하였다.
  • coli O157:H7의 오염율을 낮출 수는 없어도 오염수준을 낮출 수 있음을 입증하여 다시 산업계가 적극 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data not shown). 한편 연구를 통하여 도축장에서 오염의 원인이 가죽제거작업에서 교차오염임을 밝히고 산업계의 작업자 교육을 실시하는데 역점을 둘 수 있도록 하였다.
  • 따라서 식중독 역학 조사 및 식품 수거 조사 등에서 오염원을 찾고 farm-to-table 과정 중 어떻게 유입되는지 문제점을 찾는 등 원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학계와 함께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도록 관련 조사를 실시하였다. 신선농산물의 오염원이 E. coli O157:H7만 있는 것이 아니기에 E. coli O157:H7를 중심으로 하되 다른 미생물도 제어하고자 농산물의 살균 소독 과정을 실시하여 저감 효과 달성을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에서는 추가 비용은 다른 위해관리 방법에 비교하여 그다지 크지 않다.
  • 농산물을 키우기 위해서 필요한 관개수와 퇴비가 오염이 되면 농산물도 쉽게 오염된다. 그래서 퇴비나 관개수 관리의 필요성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사전에 오염원의 유입을 막는 방안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자연환경에서 유래되는 관개수와 퇴비 관리와 같은 환경까지 고려하며 식중독이 발생한 농산물을 생산한 지역의 농장 실태 점검도 함께 실시하였다.
  • 그래서 퇴비나 관개수 관리의 필요성을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사전에 오염원의 유입을 막는 방안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자연환경에서 유래되는 관개수와 퇴비 관리와 같은 환경까지 고려하며 식중독이 발생한 농산물을 생산한 지역의 농장 실태 점검도 함께 실시하였다. 어떤 소비자는 인위적인 특정 처리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선호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도를 정책에서 고려하고 문제가 심각할 때는 소비자를 설득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 국가적으로 하나의 저감화 정책 모델을 수립하고 성공한다고 하면, 저감화 정책 성공 기본 모델을 활용하여 향후 다른 저감화 정책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모든 것을 하기보다, 시급하고 할 수 있는 것부터 실시하며 국제기구에서 권고하는 표준화된 방식을 따라서 실시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식중독균 저감화 관리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다만 각 단계는 I부터 VIII까지 8개 단계로 설정하였는데 프로그램의 기획 및 전략을 수립하는 위해관리자(risk manager)가 효과적인 단계를 설정하여 집중적으로 적용하거나 현재 부족한 단계들을 강화하여 예산,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종합적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해관리자는 시급성과 자료 확보 여부를 고려하여 진행하되 우선순위와 집중적용할 단계를 설정하고 식중독 발생을 저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해 관리자는 위해 평가자와 저감화 정책의 이해당사자들과 지속적으로 위해 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을 실시하도록 한다.
  • 본 연구는 제외국 선진국의 식중독 저감화 정책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식중독 저감화 프로그램에 관한 배경 및 과정 그리고 성과를 상호 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생물학적 위해관리 기본적인 틀은 국제기구 CODEX에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DEX에서 위해관리자의 정의는 무엇인가? 위해 분석은 과학에 기반을 둔 위해평가(risk assessment), 정책적 집행에 관한 위해관리(risk management), 이해 당사자들 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위해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CODEX는 위해관리자를 “한 국가나 국제기구에서 미생물학적 위해관리에 책임을 지고 있는 기관”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위해관리 기본틀로 사전 위해 관리 활동(preliminary risk management activities), 대안 확인 및 선택(identification and selection of options), 대안 시행(implementation of options), 대안에 대한 모니터링 및 재검토(monitoring and review of options)를 제시하고 있다3)(Fig. 1).
위해 분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는 미생물학적 위험요소를 평가·관리하는 과학적인 접근방식으로 위해분석(risk analysis) 체계를 권고하고 있다. 위해 분석은 과학에 기반을 둔 위해평가(risk assessment), 정책적 집행에 관한 위해관리(risk management), 이해 당사자들 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위해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CODEX는 위해관리자를 “한 국가나 국제기구에서 미생물학적 위해관리에 책임을 지고 있는 기관”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위해관리 기본틀로 사전 위해 관리 활동(preliminary risk management activities), 대안 확인 및 선택(identification and selection of options), 대안 시행(implementation of options), 대안에 대한 모니터링 및 재검토(monitoring and review of options)를 제시하고 있다3)(Fig.
미국, 덴마크, 일본의 저감화 정책을 도입하게 된 배경을 파악하기위해 조사한 것은 무엇인가? 미국, 덴마크, 일본의 식중독 저감화 정책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사례 조사를 위해 인터넷 자료, 학술 문헌 수집과 함께 해당 기관 관련 전문가를 인터뷰하였다. 이들 국가에서 저감화 정책을 도입하게 된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별 식중독 통계 및 관련 식재료 등에서 주요 식중독균(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장염비브리오) 오염 현황을 조사하였다. 식중독은 보건,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초래하게 되기에 정책 실시 전후 이들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이종경: 세계 식품안전정책 동향. 세계 농업, 55, 1-18 (2013). 

  2. 식약처: 식중독 통계 시스템 http://www.mfds.go.kr/e-stat/index.do?nMenuCode5 accessed Aug. 5, 2013. 

  3. FAO/WHO: Proposed draft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the conduct of microbiological risk management. Available from ftp://ftp.fao.org/codex/Meetings/CCFH/ccfh37/ fh37_06e.pdf accessed Aug. 5, 2013 (2005). 

  4. Schlundt, J.: Principles of food safety risk management. Food control, 10, 299-302 (1999). 

  5. FAO/WHO: Risk management and food safety. Report of a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Rome, Italy, FAO Food and Nutrition Paper No 65 (1997). 

  6. FDA:Produce & Plant Products Guidance Documents & Regulatory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od/GuidanceRegulation/GuidanceDocumentsRegulatory-Information/ProducePlantProducts/default.htm accessed Aug. 12, 2013. 

  7. USDA: Available from http://naldc.nal.usda.gov/download/3755/PDF accessed Aug. 5, 2013. 

  8. Wegener HC, Hald T, Lo Fo Wong D, Madsen M, Korsgaard H, Bager F, Gerner-Smidt P, Molbak K.: Salmonella control programs in Denmark.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9(7), 774-780 (2003). 

  9.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apan: Annual report of food poisoning outbreaks. Available from http://www.mhlw.go.jp/topics/syokuchu/index.html accessed Aug. 5, 2013. 

  10. CODEX: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the conduct of microbiological risk management, CAC/GL 63-2007 (2007). 

  11. 박인희, 이종경: 영국 정부와 산업체 협력 캄필로박터 저감화 계획, SAFE FOOD, 7(1), 32-40 (2012). 

  12. CDC Foodborne Diseases Active Surveillance Network (FoodNet), United States, Available from http://www.cdc.gov/mmwr/preview/mmwrhtml/mm5914a2.htm#fig1 accessed Aug. 5, 2013. 

  13. WHO/FAO: Risk assessment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food, Available from http://www.who.int/foodsafety/publications/micro/MRA_16_JEMRA.pdf accessed Aug. 12, 2013 (2011). 

  14. 이종경 외: 주요 식중독균 저감화 정책 개발 연구. KFDA 연구보고서 (2011). 

  15. 이종경: 식중독 저감화를 위한 CODEX의 미생물학적 위해관리 정책의 절차 및 영국의 활용 사례. 식품과학과 산업, 46(1), 13-25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