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갈이 환자의 치과 치료에 관한 임상적 접근을 위한 문헌 고찰
Clinical assessment to the dental treatment of bruxism: literature review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30 no.1, 2014년, pp.36 - 44  

최유성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갈이는 치과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임상적 주제이다. 이갈이가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을 지라도, 마모나 보철물의 파절, 악안면의 통증과 같은 치과적인 문제를 통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고찰에서는 이갈이에 대한 진단법을 알아보고 임상적 상황에서 가능한 다양한 치료 방법에 관한 정보를 알아봄으로써, 그 방법들의 효과와 유용성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기술적으로 효용성이 있고 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확실한 이갈이 진단법이나 치료법은 아직 없기 때문에 치료의 일차적인 목표는 이갈이로 인한 구강 악안면 조직의 손상을 막고 통증이나 관련 증상을 치료하는 데 있다고 본다. 따라서 행동수정요법이나 구강 장치요법, 물리 요법 같은 가역적인 방법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uxism is a much-discussed clinical issue in dentistry. Although bruxism is not a life-threatening disorder, it can influence the quality of human life, especially through dental problems, such as, frequent fractures of dental restorations and pain in the orofacial region. This research has a go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불행히도 이갈이의 명확한 치료방법이 아직까지 없기 때문에 일차적인 치료 목표는 이갈이로 인한 구강 악안면 조직의 손상을 막고 통증이나 관련 증상을 치료하는 데 있다고 보고된다.6,7 본 문헌고찰에서는 이갈이에 대한 진단법을 알아보고 임상적 상황에서 가능한 다양한 치료 방법에 관한 정보를 인지하고, 그 방법들의 효과와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다양한 임상적 방법이 수년동안 이갈이에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어 왔다. 이갈이에 대해 알아보고 임상적 상황에서 가능한 다양한 평가 방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그 방법들의 효과와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진단성과 기술적으로 효용성이 있고, 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비용도 효과적인 확실한 이갈이 평가 방법은 아직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갈이란 무엇인가? 이갈이(Bruxism)란 저작근의 수축으로 발생하는 이상기능의 하나로, 이악물기와 이갈기를 포함한 주행성 또는 야행성의 비기능적 운동이라고 정의된다.8 The glossary of prosthdontics terms에서는 하악에서 저작 운동 이외의 것으로 교합외상을 초래할 수 있는 비자발적인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이상 기능으로 가는 운동(gnashing, grinding) 또는 이 악물기(clenching)로 구성된 구강 습관이라고 보고된다.
낮이갈이, 수면이갈이의 발생 형태는 무엇인가? 주로 이악물기인 낮이갈이는 후천적 행동이라고 본다.10,11 수면이갈이는 phasic 형태로 발생하고 낮이갈이는 tonic 상태의 근전도 기전을 보인다고 보고된다(Fig. 1).
그라인드케어는 어떤 방법으로 이갈이에 영향을 미치는가? 반대편 관자놀이에는 전극이 연결되어 있다.4 이 장비는 이를 가는 근육 움직임이 감지될 때마다 약간의 전기 자극을 주어 관자놀이의 긴장을 풀어 주는 것이다. 자극은 환자가 자각하지 못할 정도로 약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oyano K, Tsukiyama Y, Ichiki R, Kuwata T. Assessment of bruxism in the clinic. J Oral Rehabil 2008;35:495-508. 

  2. Svensson P, Jadidi F, Arima T, Baad-Hansen L, Sessle BJ. Relationship between craniofacial pain and bruxism. J Oral Rehabil 2008;35:524-47. 

  3. Lobbezoo F, van der Zaag J, van Selms MK, Hamburger HL, Naeije M. Principles for the management of bruxism. J Oral Rehabil 2008;35:509-23. 

  4. Jadidi F, Castrillon E, Svensson P. Effect of conditioning electrical stimuli on temporalis electromyographic activity during sleep. J Oral Rehabil 2008;35:171-83. 

  5. Saletu A, Parapatics S, Saletu B, Anderer P, Prause W, Putz H, Adelbauer J, Saletu-Zyhlarz GM. On the pharmacotherapy of sleep bruxism: placebo-controlled polysomnographic and psychometric studies with clonazepam. Neuropsychobiology 2005;51:214-25. 

  6. Lobbezoo F, van der Zaag J, Naeije M. Bruxism is mainly regulated centrally, not peripherally. J Oral Rehabil 2001;28:1085-91. 

  7. Lavigne GJ, Khoury S, Abe S, Yamaguchi T, Raphael K. Bruxism physiology and pathology: an overview for clinicians. J Oral Rehabil 2008;35:476-94. 

  8. Attanasio R. Nocturnal bruxism and its clinical management. Dent Clin North Am 1991;35:245-52. 

  9. The glossary of prosthodontic terms. J Prosthet Dent 2005;94:10-92. 

  10. Kato T, Dal-Fabbro C, Lavigne GJ. Current knowledge on awake and sleep bruxism: overview. Alpha Omegan 2003;96:24-32. 

  11. Lavigne GJ, Montplaisir JY. Restless legs syndrome and sleep bruxism: prevalence and association among Canadians. Sleep 1994;17:739-43. 

  12. Kato T, Thie NM, Montplaisir JY, Lavigne GJ. Bruxism and orofacial movements during sleep. Dent Clin North Am 2001;45:657-84. 

  13. Manfredini D, Cantini E, Romagnoli M, Bosco M. Prevalence of bruxism in patients with different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DC/TMD) diagnoses. Cranio 2003;21:279-85. 

  14. Carlsson GE, Egermark I, Magnusson T. Predictors of bruxism, other oral parafunctions, and tooth wear over a 20-year follow-up period. J Orofac Pain 2003;17:50-7. 

  15. Manfredini D, Landi N, Fantoni F, Segu M, Bosco M. Anxiety symptoms in clinically diagnosed bruxers. J Oral Rehabil 2005;32:584-8. 

  16. Gavish A, Halachmi M, Winocur E, Gazit E. Oral habi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adolescent girls. J Oral Rehabil 2000;27:22-32. 

  17. Baba K, Haketa T, Clark GT, Ohyama T. Does tooth wear status predict ongoing sleep bruxism in 30-year-old Japanese subjects? Int J Prosthodont 2004;17:39-44. 

  18. Pergamalian A, Rudy TE, Zaki HS, Greco CM. The association between wear facets, bruxism, and severity of facial pain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Prosthet Dent 2003;90:194-200. 

  19. Torisu T, Wang K, Svensson P, De Laat A, Fujii H, Arendt-Nielsen L. Effect of low-level clenching and subsequent muscle pain on exteroceptive suppression and resting muscle activity in human jaw muscles. Clin Neurophysiol 2007;118:999-1009. 

  20. Vilmann A, Moller E, Wildschiodtz G. A system for analysis of sleep and nocturnal activity in craniomandibular muscles. J Orofac Pain 1994;8:266-77. 

  21. Clark GT, Rugh JD, Handelman SL. Nocturnal masseter muscle activity and urinary catecholamine levels in bruxers. J Dent Res 1980;59:1571-6. 

  22. Goulet JP, Clark GT, Flack VF. Reproducibility of examiner performance for muscle and joint palpation in the temporomandibular system following training and calibratio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3;21:72-7. 

  23. Winocur E, Gavish A, Voikovitch M, Emodi-Perlman A, Eli I. Drugs and bruxism: a critical review. J Orofac Pain 2003;17:99-111. 

  24. Johansson A, Johansson AK, Omar R, Carlsson GE. Rehabilitation of the worn dentition. J Oral Rehabil 2008;35:548-66. 

  25. Hedenberg-Magnusson B, Brodda Jansen G, Ernberg M, Kopp S. Effects of isometric contraction on intramuscular level of neuropeptide Y and local pain perception. Acta Odontol Scand 2006;64:360-7. 

  26. Michalowicz BS, Pihlstrom BL, Hodges JS, Bouchard TJ Jr. No heritability of temporomandibular joint signs and symptoms. J Dent Res 2000; 79:1573-8. 

  27. Johansson A, Johansson AK, Omer R, Carlsson GE. Rehabilitation of the worn dentition. J Oral Rehabil 2008;35:548-66. 

  28. Addy M, Shellis RP. Interaction between attrition, abrasion and erosion in tooth wear. Monogr Oral Sci 2006;20:17-31. 

  29. Baba K, Clark GT, Watanabe T, Ohyama T. Bruxism force detection by a piezoelectric film-based recording device in sleeping humans. J Orofac Pain 2003;17:58-64. 

  30. Dawson PE. Functional occlusion: from TMJ to smile design. 1st ed. St. Louis; Mosby; 2007. p. 334. 

  31. Haketa T, Baba K, Akishige S, Fueki K, Kino K, Ohyama T. Utility and validity of a new EMG-based bruxism detection system. Int J Prosthodont 2003;16:422-8. 

  32. Ommerborn MA, Giraki M, Schneider C, Schaefer R, Gotter A, Franz M, Raab WH. A new analyzing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abrasion on the Bruxcore device for sleep bruxism diagnosis. J Orofac Pain 2005;19:232-8. 

  33. Quinn JH. Mandibular exercises to control bruxism and deviation problems. Cranio 1995;13:30-4. 

  34. van der Zaag J, Lobbezoo F, Wicks DJ, Visscher CM, Hamburger HL, Naeije M. Controlled assessment of the efficacy of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s on sleep bruxism. J Orofac Pain 2005;19:151-8. 

  35. Yap AU. Effects of stabilization appliances on nocturnal parafuctional activities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sig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Oral Rehabil 1998;25:64-8. 

  36. Crider A, Glaros AG, Gevirtz RN. Efficacy of biofeedback based treatments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ppl Psychophysiol Biofeedback 2005;30:333-45. 

  37. Takeuchi H, Ikeda T, Clark GT. A piezoelectric film-based intrasplint detection method for bruxism. J Prosthet Dent 2001;86:195-202. 

  38. Tan EK, Jankovic J. Treating severe bruxism with botulinum toxin. J Am Dent Assoc 2000;131:211-6. 

  39. Rompre PH, Daigle-Landry D, Guitard F, Montplaisir JY, Lavigne GJ. Identification of a sleep bruxism subgroup with a higher risk of pain. J Dent Res 2007;86:837-42. 

  40. Chung SC, Kim YK, Kim HS. Prevalence and patterns of nocturnal bruxofacets on stabilization splint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Cranio 2000;18:9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