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퍼스널 이미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 Image on Self-Efficacy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8 no.1, 2014년, pp.37 - 49  

김미경 (숙명여자대학교 리더십역량개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investigating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image and self-efficacy, this experimental study purposes to suggest a direction and the meaning of effective education on personal image. Based on scholars' studies on personal image and self-efficacy, this study extracts a revised ques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퍼스널 이미지를 구성하는 내적 이미지, 외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각각의 요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퍼스널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 각각에 대한 중요성의 인지와 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퍼스널 이미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퍼스널 이미지를 구성하는 척도개발을 위해 퍼스널 이미지의 구성요소를 내적 이미지, 외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로 분류하여 세 가지 요소를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하위변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내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과 가치관, 목표에 대한 신념 및 성품 등을 하위변인으로 규정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자들에 의해 제기되어진 퍼스널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각각의 연구를 토대로 퍼스널 이미지 구성요소의 척도를 개발하고 개인의 변화와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자기효능감 변인과의 관계성을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퍼스널 이미지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여대생의 퍼스널 이미지 요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경력개발을 위한 자기 관리의 변인들을 학문적으로 정립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이론적 연구에서는 퍼스널 이미지의 학문적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퍼스널 이미지의 의미와 개념을 정립하고 구성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퍼스널 이미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 연구자들의 이론을 토대로 퍼스널 이미지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퍼스널 이미지 구성요소의 타당성을 입증함으로써 퍼스널 이미지에 대한 학문적 이론을 제시하고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퍼스널 이미지 컨설팅과 퍼스널 이미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각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실효성 있는 콘텐츠를 구축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 외적 이미지의 요인으로는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 행위적 요소로 구분하여 외모를 평가하는 척도인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 얼굴표정과 체형, 옷차림 및 음성과 매너 등을 하위변인으로 규정한다. 사회적 이미지의 요인으로는 개인의 이미지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역량 변인 리더십과 관계적 역량,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역량, 전문적 역량 등을 하위변인으로 규정하여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또한 퍼스널 이미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 연구자들의 이론을 토대로 퍼스널 이미지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퍼스널 이미지 구성요소의 타당성을 입증함으로써 퍼스널 이미지에 대한 학문적 이론을 제시하고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퍼스널 이미지 컨설팅과 퍼스널 이미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각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실효성 있는 콘텐츠를 구축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여대생의 퍼스널 이미지와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로 자신의 내적 외적 이미지를 향상시킴으로서 경쟁력 있는 자아를 형성하고자 하는 여대생을 위해 설계되었다. 따라서 연구대상의 표본을 자기개발 관련 강의를 수강한 여대생으로 설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퍼스널 이미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퍼스널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인지와 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외적 이미지가 취업상황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몇몇 학자들에 의해 다소 행해지고는 있으나 퍼스널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자들에 의해 제기되어진 퍼스널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각각의 연구를 토대로 퍼스널 이미지 구성요소의 척도를 개발하고 개인의 변화와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자기효능감 변인과의 관계성을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퍼스널 이미지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여대생의 퍼스널 이미지 요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경력개발을 위한 자기 관리의 변인들을 학문적으로 정립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첫째, 퍼스널 이미지 구성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가 자기효능감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이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퍼스널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긍정적 이미지 전략은 국가나 기업뿐 아니라 개인에게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개인은 자신의 행동을 규정하며 타인의 태도 및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퍼스널 이미지 형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퍼스널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성과주의를 지향하는 현대사회에 있어 개인의 이미지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긍정적 자아상을 창출함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의 잠재된 역량과 내재된 핵심가치를 효과 적으로 창출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면과 외면의 가치가 하나의 아이콘으로 타자에게 전달되는 퍼스널 이미지에 대한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퍼스널 이미지 개발의 통합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해야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퍼스널 이미지에 대한 교육이나 컨설팅은 체계적이고 학문적인 연구의 토대를 갖지 못한 상태에서 실무자들에 의해 자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퍼스널 이미지란 무엇인가? 퍼스널 이미지란 개인의 가치관과 행동 태도에서 나타나는 특성이 다각적 방법을 통해 연상되고 지각 되는 것으로 개인의 신념과 가치관을 외형적으로 투사해 주는 사회적 기호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M.
매력적이고 영향력 있는 퍼스널 이미지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개인은 경쟁력 있는 퍼스널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사회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음으로써 자기효능감을 갖게 된다. 매력적이고 영향력 있는 퍼스널 이미지의 구축은 기업이 전략적으로 실행하는 브랜드 이미지처럼 관련 연상들이 호의적이고 강력하며 차별화된 우위를 가질 때 형성된다. 만일 개인의 이미지와 관련된 연상들이 다른 사람의 이미지들과 차별화 되지 못한다면 퍼스널 이미지는 비교 우의적 가치를 지닐 수 없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ndura, A. (1977). Self 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2. Chung, M. (2003). The influence of self-perceived physical attractiveness on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3), 165-179. 

  3. Gist, M. E. (1987). Self efficacy: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 47-48. 

  4. Hyun, W. (2008). The effect of career women's external image on self-efficacy: Focus on make-up, hair and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International Culture University, Seoul, Korea. 

  5. Jeon, J. (2006). A study of relation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perceived of the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gang University, Seoul, Korea. 

  6. Kaiser, S. B. (1998).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New York: Fairchild. 

  7. Kim, A. (1997). A study on the accademic failure-tolerance and its correlat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1(2), 1-19. 

  8. Kim, K. [Keunyoung]. (2005). A study on the effects of lecturer's image on receiver's attitude and educational resul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9. Kim, K. [Kyongho]. (2004).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image-making and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image-making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M. (2008). The study on identify components of ceo image influence in brand's valu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1), 129-146. 

  11. Kim, M. (2012). The infulince of popular culture in the fashion politics phenomenon of leade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5), 88-106. 

  12. Lee, E. (2007). A study related to adolescent girl students' appearance-related attitude and clothing attitud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2). 421-432. 

  13. Lee, H. (2008), Impact of image evaluation and image formation on career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Seoul, Korea. 

  14. Lee, S., & Park, K. (2011).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by self efficacy and self esteem.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5), 1075-1087. 

  15. Lee, U. (2008). An applicative research on the cyber self fashion coordination system for the image-making in interviews: Focused on female interviewee for general office job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6. MacGillivray, M. S., & Wilson, J. D. (1997). Clothing and appearance among early middle and late adolescent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5(1), 43-49. 

  17. Park, K., & Yoo, H. (2012). An analysis of the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appearanc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1), 51-63. 

  18. Sherer, M., Maddux, J.,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19. Shin, Y. (2006). A study on influencing variables of ma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 Song, E. (2005).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facial image-making program to self esteem, positive thinking and facial image effic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21. Thompson, J. K., & Heinberg, L. J. (1999). The media's influence on body image disturbance and eating disorders. Journal of Social Issues, 55(2), 339-3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