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 소비자의 캐주얼 의류에 대한 태도와 구매 특성에 관한 연구
Attitudes on the Casual Wear and Characteristics of Actual Purchasing of Male Consumer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8 no.1, 2014년, pp.80 - 100  

서영지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이승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men have started to show more desire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clothing and accessories also they learn by themselves and take diverse experiences about fashion. At the same time, men's fashion-consciousness is growing together. The role of male consumers' is becoming significant in the fas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문제 3. 남성 소비자가 남성 캐주얼 의류를 실제 구매할 때 고려하는 특성이 어떠한 요인으로 구분되는지 알아본다.
  • 연구 문제 2. 남성 소비자들이 남성 캐주얼 브랜드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 요인으로 구분되는지 알아본다.
  • 연구 문제1. 남성 캐주얼이라고 생각하는 브랜드는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론적 배경에서 언급한 브랜드 세분화 기준으로 어떻게 나뉘는지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남성 30∼40대 소비자들의 남성 캐주얼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실제 구매 특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30∼40대 소비자가 변화하고 있다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이나 특성에 대해 그러한 점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 본 연구자는 패션분야 실무자로서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실무자들이 남성 캐주얼 브랜드에 대한 여러 가지 특성들을 정할 때 소비자에 특성에 대해 과거의 조사 결과나 데이터에 의해 유추하거나 인식하는 수준과 실제 소비자들이 브랜드나 상품에 대해 인식하는 수준이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변화하고 있는 남성을 캐주얼 브랜드의 타겟으로 정할 때 조금 더 실제적인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남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이나 그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연구 결과로 30∼40대 남성이 실제로 어떤 면에 대해서 변화하고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한다.
  • 연구 문제 4. 연구문제 2와 3의 결과가 30대와 40대 및 연령대별 세분 집단에서 어떠한 유사점이나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알아본다.
  • 좀 더 구체적으로 각 요인의 문항에 대해 차이를 보였는지 알아보았다. Table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징성’ 중 ‘브랜드 상표나 로고가 잘 보이는 제품 구입’ 문항에 대하여 30∼34세, 35∼39세의 경우에 2.
  • 즉, 30∼40대 소비자가 다수의 브랜드들 중에서 어떠한 브랜드를 캐주얼 브랜드로 생각하며, 그 브랜드나 상품들에 대해 막연히 느끼는 태도와 실제 구매 할 때 고려하는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며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 백화점이 남성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백화점 서비스는 어떠하였는가? 즉, 여성들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쇼핑과 패션의 주체가 서서히 남성고객으로 옮겨 가면서 남성이 백화점의 핵심 소비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제까지 백화점에서 남성 고객의 매출은 전체의 20% 정도에 불과했고 한 층을 차지하는 남성 코너는 구색 맞추기 성격이 강했으며, 백화점이 남성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역시 여성들의 쇼핑에 끌려 다니느라 지친 남성들이 많기 때문에 휴식 공간이 서비스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경제력을 갖춘 30~40대 남성들이 자신을 가꾸고 문화 활동을 하는 것에 눈을 뜨기 시작한 덕분에 백화점 매장 안엔 남성 고객들이 중가 하였고 씀씀이도 커졌다.
노무족의 등장으로 남성의 소비형태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Son, Koh and Kang(2009)에 따르면, 노무족은 외모뿐만 아니라 생각도 권위의식과는 거리가 먼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자신의 일을 하면서 동시에 가정에 충실 하기 때문에 여가 활동과 문화생활은 가족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자 노력한다. 즉, 사회적 잣대에 맞춘 소비형태가 아니라 내가 원하는 것을 구매하는 쪽으로 소비형태가 바뀌고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세대 간 소비성향이 동질화 되고 있다. 즉, 다양한 문화생활의 향유, 인터넷 이용 확산, 외모에 대한 관심 증대와 같은 시대 변화에 따라 잠재된 욕구를 만족 시켜줄 수 있는 새롭고 신선한 상품을 갈구 하고 있다.
Kang(1994)은 캐주얼웨어를 무엇이라 하였는가? Kang(1994)은 캐주얼웨어란, 평상복이라는 뜻으로서 자연스러움과 편안함을 주는 느낌의 의류로써, 가격대가 높은 것도 있으나 중저가의 의류로 이루어져 소비자가 개성에 따라 부담을 갖지 않고 구매할 수 있는 의류를 말한다고 하였다. 특히 미국의 전통적인 대학을 지칭하는 아이비리그(IVY league)의 스타일을 모방하고 있으며 이를 ‘아메리칸 트레디셔널(American traditional)' 또는 '캠퍼스 캐주얼(campus casual)'로 표현하기도 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aker, J.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8), 347-356. 

  2. Ahn, M., & Park, J. (2003). Clothing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consume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in cyber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7), 789-799. 

  3. Analysis of 2013 first half period fashion market. (2013, July 19). Samsungdesign. Retrieved August 25, 2013, from http://www. samsungdesign.net 

  4. Choi, J. (2003). Individuals working under the five work day per week system with lifestyle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 Hwang, S., & Lee, S. (2003).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sumer behaviors to buy prestigious fashion brand products. Proceedings of 2003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p. 37). Seoul: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6. Jung, D. (2005). The effect of brand personality on consumer's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types of women's fashion brand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7. Jung, Y. (2008). Brand preference and selection criteria on the sportswear of secondar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8. Kang, S. (1994). Study of mid & low-cost casual clothing marketing strateg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9. Keller, L. K. (199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NJ: Prentice Hall. 

  10. Kim, C., & Ahn, Y. (2000). The role of brand personality based on the FCB grid model. Journal of advertising, 11(4), 65-85 

  11. Kim, J. (2008). Study on clothing benefits sought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social values of male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K. (2011). Study on male 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 for fashion products and standards for selection of fashion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3. Lee, B. (2007). Study on the effectiveness for the consentaneity of brand image and self-image in the brand choice: Based on coffee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14. Lee, K., & Park, J. (2006). Study on criteria of evaluating clothing and web service on internet shopping mall related to consumer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12), 1747-1758 

  15. Men's fashion hero, from a dandy to a peacock. (2013, April 26). Firstviewkorea. Retrieved July 16, 2013, from http://www.firstviewkorea.com 

  16. Oh, Y., & Lee, Y. (2004). A study of evaluative criteria for leather garment related to consumer's life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3/4), 433-443. 

  17. Only-one men's selected shop is strong. (2012, August 6). Fashionbiz, pp.108-117. 

  18. Park, N., & Park, J. (2006). Product evaluation criteria and clothing image related to preferred brand and benefits of apparel product purchaser: focused on jeans product. Proceedings of 2006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p. 133). Seoul: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 Shin, S. (2002). Study on the fashion planning based on the consumers' preference of men's casual wear trend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 Shopping new humanity 'new man era' comes. (2013, April 22). Fashionbiz, pp.184-201 

  21. Son, E., Koh, A., & Kang, J. (2009). Middle-aged male consumers lifestyle clothing preference Images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sources preferences in choosing clothing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Proceedings of 2009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pp. 16-19). Seoul: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 Suh, H. (2003). Lifestyles and clothes purchasing behaviors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3. Torres, I. M., Summers, T. A., & Belleau, B. D. (2001). Men's shopping satisfaction and store preference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8(4), 205-2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