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열섬 적응능력 제고를 위한 옥상녹화 중점지역 선정 방안
Selection of Green Roof Initiative Zone for Improving Adaptation Capability against Urban Heat Island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7 no.1, 2014년, pp.135 - 146  

박은진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rovement of adaptation capability against heat island (ACHI) by greening buildings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measure to cope with a climate change. This study aimed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zones for green roof initiative in case study sites, Bucheon, Anyang, and Suwon Cities an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가화비율이 높은 수원시, 안양시, 부천시를 대상으로 녹지가 부족하여 도시열섬에 대한 적응능력이 약한 지역을 상대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옥상녹화 중점지역을 선정하고, 해당 지역에서 옥상녹화 가능건물의 유형과 면적 등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도시열섬 적응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대개의 경우 직관적으로 구도심지역의 저층 주거 밀집지역을 취약지역으로 판단하여 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나 보다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지역 선정과 건물특성 파악을 먼저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경기도 내에서 가장 시가화면적 비율이 높은 세 개의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열섬 저감효과가 있는 녹지와 수역의 분포에 따른 도시열섬 적응능력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고 녹화 중점지역 후보지를 각 도시별로 세 개소씩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도시열섬 저감을 위한 능동적인 대응으로서 녹화 중점지역을 행정구역 단위로만 단순하게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심 내 토지이용 및 녹지경관요소의 분포 특성을 고려하는 방법론을 보여주는 데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도시열섬에 대한 적응능력이 낮은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우선 수집된 자료 중 토지피복도와 연속지적도를 중첩하여 분석하였다. 도시 내에 분포하는 녹지에 의해 열섬 적응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녹지의 유형에 따라 그 영향의 크기가 다르다는 가정 하에 ①산림과 농업지역 및 연속된 습지, ②수역, ③도시공원녹지를 추출하였다. 산림과 농업지역 및 연속된 습지는 하나의 큰 패치 경관요소로서 주변부 온도 저감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수역은 선형의 경관요소, 시가화구역 내 공원녹지는 작은 패치의 경관요소로서 상대적으로 주변부 온도 저감에 작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 본 연구에서도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녹지와 수역의 경계로부터 멀어질수록 열섬 적응능력이 낮아진다고 가정하고, 산림과 농경지 및 연계 습지와 같이 하나의 큰 패치를 이루는 녹지의 경우, 그 경계로부터 150m이내 거리에 있는 지번에 대해서는 -1점, 150~300m 범위 지번은 -2점, 300m 이상 거리의 지번은 -3점의 도시열섬 적응능력 점수를 부여하였다. 또한, 하천과 시가화구역 내 공원녹지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패치의 경관요소의 경우, 경계로부터 거리가 50m 이내는 -1점, 50~100m는 -2점, 100m 밖의 범위는 -3점을 부여하였다(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섬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5°C 상승했다고 보고했다. 이와 같이 도심이 주변 지역보다 높은 온도를 보이는 열섬현상은, 도심의 고밀도 개발에 따라 증발산 또는 증발에 의해 대기 온도를 낮춰주는 녹지공간이 부족해지는 반면 열반사율이 낮은 불투수면의 아스팔트와 건물이 증가하고 에너지 사용량 및 배기열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Landsberg, 1981; Quattrochi and Ridd, 1994; Rosenzweig et al., 2005; Imhoff et al.
도시지역의 지표면이 더 어둡고 녹지면적은 부족한 것은 어떠한 항목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 도시지역은 도로 포장이나 건물 등으로 인해 주변지역보다 지표면이 더 어둡고 녹지면적은 부족하다. 이러한 차이는 기후, 에너지 수요, 거주 쾌적성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HIG, 2005). 전 세계적으로 도시지역의 온도가 농촌지역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Akbari(2005)는 과거 30~80년 사이에 미국과 중국, 일본의 11개 대도시의 온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10년마다 0.
옥상녹화 중점지역 선정에서 우선 제외시킨 지역들은 어디인가? 사례 도시 내에서 택지개발예정지구, 토지구획정리 사업지구, 재개발구역, 주거환경개선지구, 국민임대주택단지 등 개발이 예정된 경우에는 도시열섬 적응능력이 낮은 지역이더라도 옥상녹화 중점지역 선정에서 우선 제외시켰다. 이후 일정 면적의 도시열섬 적응능력이 낮은 구역을 옥상녹화 중점지역으로 선정하기 위해 지번별로 평가된 열섬 적응능력 점수를 평균하여 도로경계의 블록별 평균 열섬 적응능력 점수를 산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kbari, H. 2005. Energy Saving Potentials and Air Quality Benefits of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2. Cummings, J. B.?C. R. Withers?J. Sonne?D. Parker and R. K. Vieira. 2007. UCF recommissioning, green roofing technology, and building science training; Final Report. Cocoa, FL: Florida Solar Energy Center 

  3. Gallo, K. P. and T. W. Owen. 1999. Satellite based adjustment for the urban heat island temperature bia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8: 806-813. 

  4. HIG. 2005. Heat Island Group world-wide web:http://HeatIsland.LBL.gov.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Berkeley, CA. 

  5. Imhoff, M. L.?P. Zhang?R. E. Wolfe and L. Bounoua. 2010. Remote sensing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across biomes in the continental US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 504-513. 

  6. Kim, H. O. and J. M. Yeom. 2012. Effect of the urban land cover types on the surface temperature:case study of Ilsan New Cit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2): 203-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W. T.?B. J. Park and Y. H. Yoon. 2008. Comparative study on construction and support system of building rooftop greening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11(2): 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won, J. O. and Y. H. Kim. 2007. A Study on the Supply of Rooftop-Greening in the Green City.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andsberg, H. E. 1981. The urban climate. Academic Press. 

  10. Lee, K. J. and M. H. Jo. 2006. Analysis of urban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properties using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i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0(6): 397-4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iu, K. K. Y. and B. Bass. 2005. Performance of green roof systems. Cool Roofing Symposium Atlanta, U.S.A. 5/12/2005. pp. 1-18 (NRCC-47705). 

  12. Lo, C. P.?D. A. Quattrochi and J. C. Luvall. 1997.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thermal infrared remote sensing and GIS to assess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8: 287-304. 

  13. Myeong, S. J. 2009. Mitigation of Heat Island Effect for Adaptation on Climate Change in Urban Area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14. Park, E. J.?K. Kang and M. Nam. 2010. Green roof strategy for mitigating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Gyeonggi Research Institute. (in Korean) 

  15. Quattrochi, D. A. and M. K. Ridd. 1994.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rmal energy responses from discrete urban surface using remote sensing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5(10): 1999-2022. 

  16. Rosenzweig, C. and W. D. Solecki. 2006. Potential impact of green roofs on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Research Rreport to New York State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17. Rosenzweig, C.?W. D. Solecki?L. Parshall?M. Chopping?G. Pope and R. Goldber. 2005. Characterizing the urban heat island in current and future climates in New Jersey. Environmental Hazards 6: 5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