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나타난 무형식학습 사례연구 -제주지역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The Case Study on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for Social Workers -Based on Social Welfare Centers in Jeju-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6 no.1, 2014년, pp.87 - 111  

김정희 (동서대학교) ,  고수희 (평안전문요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나타나는 무형식학습 방법을 분석하고,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무형식학습 촉진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제주지역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0명을 대상으로 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일상적인 무형식학습 방법은 '상사의 피드백, 지인접촉, 회의참여, 자료 검토' 등이었다. 업무숙련 과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무형식학습은 '상사의 피드백과 지인접촉'으로 인적자원과의 소통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보수교육과 같은 제도적인 형식학습 지원뿐 아니라 개인학습 지원, 비공식모임, 멘토링, 슈퍼비전, 동료와의 상호작용 등 무형식적 활동을 촉진하는 업무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formal learning cases including learning work and being skillful of social workers in the workplace. In addition, it is to examine the promotion plan of informal learning to reinforce competences of social workers in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m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조직은 어떤 특성을 갖는가? 1990년 Senge에 의해 제기된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s)은 조직 구성원들이 새로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직을 학습기관으로 만들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지속적으로 배우는 조직을 말한다. 즉, 학습조직은 위계적 권위에 의존하지 않고 조직의 변화를 가져오는 특성을 갖는다(Senge, 1996: 36). 그러나 학습조직은 개념적 포괄성과 추상성으로 인해 통일된 개념정립이 어렵고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어 구체적 실천에 어려움을 가져오는 측면이 있다(박현숙, 2007: 116).
학습조직이란 무엇인가? 1990년 Senge에 의해 제기된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s)은 조직 구성원들이 새로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직을 학습기관으로 만들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지속적으로 배우는 조직을 말한다. 즉, 학습조직은 위계적 권위에 의존하지 않고 조직의 변화를 가져오는 특성을 갖는다(Senge, 1996: 36).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나타나는 무형식학습 방법을 분석하고,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무형식학습 촉진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으로 연구 분석 한 결과는? 연구방법은 제주지역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0명을 대상으로 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일상적인 무형식학습 방법은 '상사의 피드백, 지인접촉, 회의참여, 자료 검토' 등이었다. 업무숙련 과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무형식학습은 '상사의 피드백과 지인접촉'으로 인적자원과의 소통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보수교육과 같은 제도적인 형식학습 지원뿐 아니라 개인학습 지원, 비공식모임, 멘토링, 슈퍼비전, 동료와의 상호작용 등 무형식적 활동을 촉진하는 업무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