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요소와 유형화 탐색 : 서울시 6개 사회복지관 중심으로
Exploring the Influencing Factors and Typology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al Culture : A Focus on Six Social Welfare Agencie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283 - 291  

최종혁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를 밝히고, 그것들의 조합을 통하여 조직문화 유형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은 크게 두 가지 과정을 거쳤다. 첫 번째 과정은 하나의 기관을 대상으로 장기조사를 실시하여 조직문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찾고, 두 번째 과정은 6개 기관을 대상으로 세 개 요소를 조합하여 조직문화 유형을 발견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리더십, 개방성, 그리고 지역성을, 그리고 이들 조합을 통하여 제한-보호형, 확대-참여형, 변화-혼재형, 그리고 안정-혼재형 등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한국 사회복지조직의 복잡한 상황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연구에는 유형화의 일반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범위를 전국지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culture of social welfare agencies and to find out the types of culture that they are combining through. The research method has two major processes. The first step was to conduct long-term surveys on one agency and find ou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연구참여자가 면담과정 중에 어떠한 심적 변화를 일으켜서 진술이 이전과 크게 달라진다거나 혹은 면담 중에 다양한 사유로 관계의 질을 변질시켜서 자료수집에 영향을 준다거나 하는 것은 없는지에 대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그리고 Lincoln과 Guba[17]가 제시한 자료수집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연구자는 면담과정에서 조직문화 경험 및 지식에 대해 괄호치기(epoche)하면서 중립적 태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 자료 분석은 어느 특정 연구방법에 의존하지 않았다. 단, 이 연구가 유형화를 발견하는 연구이므로 가능한 근거이론의 비교분석 방법을 일부 활용하고자 하였다. 분석절차는 일직선적으로 진행되었다기보다는 오히려 반복적이고, 누선적으로 진행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를 통하여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밝히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조직문화 유형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의도는 다음과 같은 연구 필요성에 근거한다.
  • 면담은 해당기관에서 실시하였으며, 면담 전에 연구참여자들에게 연구계획서 및 질문항목을 안내하였다. 면담시간은 가능한 1시간 이내에 종료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해 최대한 면담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상황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비록 사전에 반구조화된 질문항목을 제시하였지만 가능한 면담참여자의 이야기에 따라서 질문을 하였으며, 명료화를 위한 질문 등도 수시로 실시하였다.
  • 셋째, 이 연구에서는 장기조사연구에서 발견된 리더십, 개방성, 지역성 등 세 요소를 별개로 취급하기 보다는 이 삼자를 교집합 하여 가능한 현실에 부합하는 조직문화 유형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기존연구에서는 조직문화와 관련하여 리더십과 조직구조와 함께 다루지 않았으며 [19], 지역성은 아예 고려하지도 않았다.
  •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고려하여 크게 ‘빈곤지역’, ‘일반지역’, ‘중산층지역’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 그런데 지역성은 ‘제1차 연구’에서 발견된 주요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가설 설정

  • 넷째, 이 연구가 질적연구를 통해 유형화를 꾀하고자 하는 이유는 보다 개방된 상태에서 한국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상당수 연구가 양적연구로 진행되어 현장의 복잡한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어왔기 때문이다[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을 담보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이상에서 볼 때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조직문화를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조직문화와 관련한 연구는 비영리조직보다 영리조직에서 우선적으로 진행하여 왔다.
사회복지서비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회복지서비스는 전형적으로 전문적 관계를 통해서 전달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서비스를 전달하는 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서비스 질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사회복지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는 무엇인가? 첫 번째 과정은 하나의 기관을 대상으로 장기조사를 실시하여 조직문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찾고, 두 번째 과정은 6개 기관을 대상으로 세 개 요소를 조합하여 조직문화 유형을 발견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리더십, 개방성, 그리고 지역성을, 그리고 이들 조합을 통하여 제한-보호형, 확대-참여형, 변화-혼재형, 그리고 안정-혼재형 등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한국 사회복지조직의 복잡한 상황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연구에는 유형화의 일반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범위를 전국지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 N. Yonn, Y. H. Noh &, S. K. Yoo. (2018).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and Interagency Collaboration - Stories from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64, 25-54. 

  2. B. J. Seo & J. Y. Lee. (2017).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in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on Service Quality in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Social Science Research, 33(3), 23-45. 

  3. S. W. Jong & E. J. Song. (2017). The impact of the Sources of job stress for social workers on contextual performance : Comparison between social workers in the non-profit organization and social workers in the public organ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19(2), 243-270. 

  4. S. P. Robbins. (1990). Organizational Theory: Structure, Design and Application(3rd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5. A. Kadushin & D. Harkness. (2002). Supervision in Social W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6. M. Lee, K. E. Lee & D. H. Kim. (2017),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aff Supervision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3), 551-561. 

  7. J. P. Kimberly, & R. E. Quinn (1984).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Illinois: Irwin. 

  8. E. H. Schein. (1985).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F: Jossey-Bass. 

  9. S. Y. Oh, S. C. Roh, M. U. Kan & Y. W. Suh. (2015). Resilience as a Mediator Link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son-Centered Organizational Culture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8(4), 829-854. 

  10. Do. O. S. (2005).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about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stration, 43(3), 75-95. 

  11. B .Scheider, M. G. Ehrhart, and W. H. Macey (2013). Organizational Climate and Culture, Psychology, 64, 361-388. 

  12. H. G. Kang. (2001). A Study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7, 7-33. 

  13. Y. M. Kim & S. M. Cho. (2011). A Review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Comparing with Profit and Public Organization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3(2), 55-90. 

  14. K. K. Park & J, H. J. (2004). Analysis of Cultural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Using CVAT Technique, Korea Policy Science, 8(1), 159-184. 

  15. J. H. Ki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formance : An Examination of Public Employment Service, Labor Policy Research, 7(2), 103-134. 

  16. J. Y. Kim. (2004). A Critical Review on the Stud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6(1), 123-143. 

  17. N. K. Denzin (1989). Interpretive Interactionism. 片桐雅隆譯(1992). エピファニ一社會學. マクロウヒル. 

  18. Y. S. Lincolin & E. Guba.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F: Jossey-Boss. 

  19. S. Venkatesh. (2008). Gang Leader for a Day, Kim. Y. S. (2009), Geek Sociology, Gimm-Young Publishers, Inc. 

  20. Y. C. Kim & M. S. Chung. (2012). Inter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2), 201-211. 

  21. S. A. Kwon. (2012). The effect factors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 focusing o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 structu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ice technology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4(1), 87-112. 

  22. V. J. Snipes-Bennett, (2006). Nonprofit Organization Serving Order Adults: An Analysis of Impact of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Capella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23. R. Tannenbaum, & W. Schmidt. (1959). 'How to Chose a Leadership Pattern'. Harvard Business Review 36(2): 95-101. 

  24. R. E. Quinn & J. Rohrbaugh. (1983). A Spatial Model of Effectiveness Criteria: oward a Competing Values Approach to Organizational Analysis. Management Science, 29(3). 363-377 

  25. S. K. Shim. (2017). The Influence of Senior welfare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Social work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Effect of Leader- Member Exchange(LMX), Team-Member Exchange(TMX,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7(5), 85-86. 

  26. K. S. Cameron, & R. E. Quinn. (2011).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third edition), Reading, MA: Addison-Wesley. 

  27. Y. J. Kim. (1998).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HakuJi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