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험형 환경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ut-of-Class Environmental Experience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1, 2014년, pp.69 - 81  

유경희 (시흥 장곡초등학교) ,  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out-of-class environmental experience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nd appli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out-of-class facilities and ecological park for the 5th-grade students. The sub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효과적인 체험학습의 장이 될 수 있는 학교 숲과 지역의 생태공원을 활용한 비형식교육으로서의 체험형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환경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 환경교육 방법의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환경교육을 다양한 학문 분야가 융합적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초등과학교육의 관점에서 다른 교과와 함께 접근하면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시도했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학생들이 교실에서 벗어난 환경수업을 지향하였다. 따라서 모든 수업은 교실 밖 학교 외부공간을 활용하거나, 인근의 생태공원에 나가 자연환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효과적인 체험학습의 장이 될 수 있는 학교 숲과 지역의 생태공원을 활용한 비형식교육으로서의 체험형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환경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 환경교육 방법의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환경교육을 다양한 학문 분야가 융합적으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초등과학교육의 관점에서 다른 교과와 함께 접근하면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시도했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이 연구는 교실 밖 체험형 환경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환경소양을 함양할 수있는 체험형 환경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적은 아동들로 하여금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도록 하여 환경문제의 예방과 해결에 필요한 지식ㆍ태도ㆍ기능을 갖추도록 하며, 나아가 환경적으로 바람직한 의사결정과 능동적 실천을 할 수 있는 환경소양인의 육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환경교육은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올바른 가치 판단을 하고, 기능을 습득하여 환경 친화적인 태도와 보전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영역의 목표를 균형 있게 달성할 수 있도록 배려하되, 환경문제의 해결이라는 국가 사회적 요구를 감안하여 실천적 행동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소양인을 길러 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환경교육은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올바른 가치 판단을 하고, 기능을 습득하여 환경 친화적인 태도와 보전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영역의 목표를 균형 있게 달성할 수 있도록 배려하되, 환경문제의 해결이라는 국가 사회적 요구를 감안하여 실천적 행동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소양인을 길러 내고자 한다.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환경문제는 개인이나 한 국가만의 노력으로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이다.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방적 차원의 환경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19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한 의제21(Agenda 21)에서도 ‘환경과 개발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시키고, 사람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이 매우 중요’하며, ‘교육, 공공인식의 증진 및 홍보는 실제 의제21의 모든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고 천명하고 있다(UN,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J. (2007). The effect of environment-experience activit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 awareness and attitude : Based on Maseok vicinities in Namyangju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Ahn, Y. (2000). A study on the tuition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habituation of the student's life-styl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3. Bae, H. (2009). The application effects of Gwangju river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Bang, S. & Lee, S. (2008). Effects on environment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sith-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ecological park.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9(1), 58-75. 

  5. Cha, C. (2003).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practice will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6. Chi, J. (2011). Seeking direc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t elementary school:Focusing on the 5th, 6th grade.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31, 113-131. 

  7. Choi, Y. (2006). The effects of ecocentric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8. Disinger, J. F. & Roth, C. E. (1992). Environmental literacy, ERIC/CSMEE (ED 35120). 

  9. Gayford, C. G. (2002). Environmental literacy: Towards a shared understanding for science teacher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0(1), 99-110. 

  10. Han, E. (2009). Effects of plant observation class using the school garden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 Hollweg, K. S., Taylor, J. R., Bybee, R. W., Marcinkowski, T. J., McBeth, W. C. & Zoido, P. (2011). Developing a framework for assessing environmental literacy. Washington, DC: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2. Hong, H. & Choi, D. (2011). Environmental education "IN" environment program utilizing school outdoor environment for schoolchild in an urban area.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4(4), 62-77. 

  13. Jung, H. & Seo, W. (2008). The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literacy instrument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1(4), 79-93. 

  14. Kim, C. & Choi, S. (2010). The effects of integrated environmental experience program on environment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er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12), 1409-1419. 

  15. Kim, E. (2010). A study on effective way of education for improving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16. Kim, H. & Kim, K. (2000).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cience activity programs in the school forest.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Hollistic Education, 4(1), 3-36. 

  17. Kim, J. (201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environmental literac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Kuk, J., Yoon, Y., Park, B. & Kim, W. (2008). Effects of school forest on satisfaction with greenspa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4), 57-66. 

  19. Lee, J., Noh, S. & Choi, S.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etic environmental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in the urban park: A case study of Namsan outdoor botanical park in Seoul.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7(1), 73-87. 

  20.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9). 2009 revised curriculum [2009개정 교육과정].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0). Development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program [현장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7th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제7차 초등교육과정에서 실시되는 환경교육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23. Nam, H. (2007). The Effects of growing school forest on children's awareness of environment and science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24. Nam, S. (2004). Research findings regarding both the management and effects of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in metropolitan natural parks : Based of Korea environmental education association "Green school in metro".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5. Namgung, E. (2006). The effects of forest experienc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the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toward the environ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6. Salmon, J. (2000). Are we building environmental literacy?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1(4), 4-10. 

  27. Seo, W. (2000).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cluded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3(1), 17-29. 

  28. Simmons, D. (1991). Are we meeting the goal of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n examination of nature and environmental center goal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2(3), 16-21. 

  29. Son, B. & Kim, T. (2003). Effects of ecological experience education on changes in children"s perception of wetlands. Scientific Education Study, 5(2), 5-21. 

  30. Stables, A. & Bishop, K. (2001) Weak and strong conceptions of environmental literacy: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7(1), 89-97. 

  31. United Nations (1992). Agenda 21 - The United Nations Programms of Action from Rio.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 Development Rio de Janerio, Brazil. 

  32. Yang, H. (2007). A study on opera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discretionary activities for developing the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sis effe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