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변인에 따른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의 과학교수불안 분석
Analysis of the State of Science Teaching Anxiety of Elementary Teacher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3 no.1, 2014년, pp.95 - 104  

김상일 (마송중앙초등학교) ,  여상인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e of science teaching anxiety of elementary teacher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career in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training course for gifted education, participation in meeting relat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일반과학수업과 과학영재수업에서의 과학교수불안에 대한 비교 연구의 사례는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일반학급에서의 과학수업과 초등영재의 과학영재수업에서의 과학교수불안이 영재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경력에 따라 교사의 발달 단계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교육경력은 교사발달에 대한 여러 연구의 결과 (Eros, 2011; Fessler & Christensen, 1992; Park, 2005, 2009)에서 예비교사의 단계를 거쳐 현직교사로의 경력을 기준으로 5년 미만은 교직에 적응하는 단계인 초임기(novice), 6~10년은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수 경험과 수업 경험을 토대로 스스로 수업을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성숙기(competence), 11~20년은 학교의 각종 보직 교사를 경험하는 주요한 구성원으로서, 수업에서 성과를 나타내는 단계인 성숙기(accomplishment), 21년 이상은 오랜 경험을 통해 다른 교사 및 학교와 지역 사회에 지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적 지도성을 갖춘 원숙기(leadership) 등으로 교사의 발달 단계(teacher’s career stage)를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 경력에 따른 교사 집단을 선행 연구를 토대로 성숙기에 접어든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성숙기에 접어든 교사의 교직 경력 기준을 10년 이상으로 하였다.
영재교육을 담당할 영재교사의 수요가 늘어남으로 생긴 결과는? 국가적 차원의 창의적 고급인적자원을 조기에 발굴하여 육성하기 위한 영재교육종합진흥계획에 의하여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의 수혜 대상이 양적으로 크게 팽창하면서 영재교육을 담당할 영재교사의 수요도 크게 늘었다. 그러나 영재교육을 담당해 오던 기존의 영재교사가 일반학급 업무와 함께 수행해야 하는 영재업무로 인한 과중한 부담,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영재수업에 대한 부담감, 기관장 또는 동료교사와의 갈등 등의 이유로 영재교육을 기피하는 경향이 많은 실정이다(Dettmer, 1982; Dworkin, 1987; Ye, 2010; Lee, 2010).
과학교수불안은 어디서 나타나는가? 과학교수불안에 대한 연구는 Mallow and Greenburg (1983)와 Westerback and Long(1990) 등의 학자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논의되었으며, 이들은 과학교수 불안의 부정적 영향을 연구하여 제거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과학교수불안은 교사들이 가르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과학교과에 관련된 지식, 탐구능력, 학습지도방법, 탐구학습 지도 및 동기유발, 자료준비 및 실험에 대하여 주로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et al.,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N. (2011). Research on specialization and efficacy of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ng gifted children. Master's dissert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 Czerniak, C. (1989).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science teaching anxiety, self-efficacy, teacher education variabl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CA: San Francisco. 

  3. Dettmer, P. (1982). Preventing burnout in teachers of the gifted. Gifted / Creative / Talented, 21, 37-41. 

  4. Dworkin, A. G.(1987). Teacher burnout in the public schools. Structural causes and consequences for children. NY: SUNY Press. 

  5. Eros, J. (2011). The career cycle and the second stage of teaching: Implication for polic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rts Educational Policy Review, 112, 65-70. 

  6. Feldman, S. (1998). Teacher quality and professional unionism. In Shaping the Profession that Shapes the Future. Speeches from the AFT/NEA(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on Teacher Quality. 

  7. Fessler, R. & Christensen, J. C. (1992). The teacher career cycle: Understanding and guid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8. Hwang, S. (2011). An investigation of science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ac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less than 5 tears of experience. Master's dissert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Jang, E. & Kwon, C. (2010). Self-concept and teaching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inquiry instruction in the science cla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2), 155-165. 

  10. Jeon, H., Yoo, M., Hong, H. & Park, E. (2009). Study on teaching anxiety and effort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1), 68-78. 

  11. Lee, H. (1985). A survey o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er among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Master's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12. Lee, J. (1992). Development of the science anxiety measurement scale and an analysis of the tendency about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 Lee, Y. (1999). Science anxiety and teacher's behavior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ience instruction.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Lee, M. (2010). The effect of job stress on gifted education retention and attrition among teachers for gifted.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7(3), 419-436. 

  15. Lee, J., Kwon, T. & Kim, B. (1997). A study of perceptions about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6(2), 257-275. 

  16. Lim, C. & Choi, J. (1999).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anxiety on the children's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8(1), 87-94. 

  17. Mallow, J. V. (1981). Science anxiety: Fear of science and how to overcome it.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8. Mallow, J. V. & Greenburg, S. L. (1983). Science anxiety and science learning. The Physics Teacher, February, 95-99. 

  19. Park, H. (2005). Teacher career development through training programs based on developmental stages: From the perspective of HRD.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6(2), 1-19. 

  20. Park, H. (2009). A study on teacher evaluation on consideration of stages in life span.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0(2), 1-25. 

  21. Park, S., Cho, S., Kim, H., Lee, J., Yun, Y., Jin, S. & Kan, K. (2003).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영재교육학원론]. Seoul: Kyoukkwahaksa. 

  22.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STAI manual for a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23. Spielberger, C. D. & Sydeman, S. J. (1994).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In M.E. Maruish (Ed.), The use of psychological testing for treatment planning and outcome assessment. (pp. 292-32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Westerback, M. E. (1984). Studies on anxiety about teaching science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9), 937-950. 

  25. Westerback, M. E., & Long, M. J. (1990). Science knowledge and the reduction of anxiety about teaching earth science in exemplary teaching as measured by the science teaching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5), 361-374. 

  26. Westerback, M. E., & Primavera, L. H. (1988). Anxiety about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In C. D. Spielberger, & J. N. Butcher (eds.),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pp. 175-202).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Ye, B. (2010).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es and burnouts in gifted teachers. Master's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