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효균 starter를 이용한 당화 혼합곡물 음료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혼합곡물의 수분 흡수 지수를 측정한 결과, 쌀 60분, 차조 120분, 기장 120분, 메밀 120분, 수수 180분으로 나타났다. 7종의 균주와 2가지의 혼합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균 starter의 당화력은 0.13~3.58 units/g으로 형성되었다. Starter를 이용하여 제조한 당화 혼합곡물 음료의 가용성 고형분($^{\circ}Brix$)은 당화가 진행되는 동안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15시간 동안 당화를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C sample에서 $17.55{\pm}0.05$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수분 함량은 77.9~80.7%로 높게 나타났으며,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3.7~7.5%, 0.37~0.97%, 1.81~7.47%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음료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60~528.3 CP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음료의 유리아미노산을 측정한 결과, 아르기닌필수 아미노산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G sample에서 필수 아미노산으로 알려진 루신, 이소루신, 발린, 트레오닌과 단맛을 나타내는 알라닌, 라이신, 세린의 함량이 다른 당화 음료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효균 starter가 가지는 고유의 효소 활성에 따라 나타난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Aspergillus oryzae CF1003, Asp. acidus KACC46420, Rhizopus delemar KACC-46149, Rhz. oryzae KACC45714, Rhz. oryzae KACC46148, Asp. oryzae CF1001, Asp. acidus CF1005의 7가지 균주 각각을 이용하여 제조한 starter와 이 균주들을 혼합한 starter를 이용한 당화물의 제조에 관한 기초 자료와 일반 성분을 검토함으로써 혼합곡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accharogenic mixed grain beverages (SMGBs). Various SMGBs were prepared through saccharification with Aspergillus (A.) oryzae CF1003 (A), A. acidus KACC46420 (B), Rhizopus (R.) delemar KACC46149 (C), R. oryzae K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ryzae CF1001, Asp. acidus CF1005의 7가지 균주 각각을 이용하여 제조한 starter와 이 균주들을 혼합한 starter를 이용한 당화물의 제조에 관한 기초 자료와 일반 성분을 검토 함으로써 혼합곡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 oryzae CF1001, Asp. acidus CF1005의 7가지 균주와 이 균주들의 당화 활성 향상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한 혼합 균주를 이용하여 잡곡 및 쌀을 활용한 당화 혼합곡물 음료의 개발 조건을 탐색하고, 균주에 따라 제조된 당화 혼합곡물 음료의 일반 성분을 검토 함으로써, 당화 혼합곡물 음료 개발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효균 starter를 이용한 당화 혼합 곡물 음료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혼합곡물의 수분 흡수 지수를 측정한 결과, 쌀 60분, 차조 120분, 기장 120분, 메밀 120분, 수수 180분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곡이란? 잡곡은 식량 작물 중 쌀을 제외한 보리, 율무, 콩, 조 등의 곡류를 통칭하며, 중요한 구황작물로 이용되었으나, 수확량이 적고, 주식으로 이용하기 부적합하여 재배 지역이 점차 줄고 있다(Ha & Lee 2001, Sa et al 2010). 하지만 쌀보다 아미노산, 무기질 및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 항고혈압, 혈당 강하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ang et al 2010, Lee et al 2010, Park et al 2011, Hwang & Jeong 2012).
음료란? 음료는 인간이 마실 수 있는 모든 액체류를 총칭하는 용어로 대부분의 사람이 매일 소비하는 식품군이다. 일반적으로 먹거리와 마실거리는 그 나라의 기후와 자연환경 및 사회, 역사적 배경, 생활습관과 문화를 반영하며, 서민의 생활의 지혜가 작용하여 형성, 발달되어 왔다(Cho WH 2001).
잡곡이 쌀보다 좋은 영양학적 특징은? 잡곡은 식량 작물 중 쌀을 제외한 보리, 율무, 콩, 조 등의 곡류를 통칭하며, 중요한 구황작물로 이용되었으나, 수확량이 적고, 주식으로 이용하기 부적합하여 재배 지역이 점차 줄고 있다(Ha & Lee 2001, Sa et al 2010). 하지만 쌀보다 아미노산, 무기질 및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 항고혈압, 혈당 강하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ang et al 2010, Lee et al 2010, Park et al 2011, Hwang & Jeong 2012). 이러한 잡곡의 유익한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용한 제품 개발은 현재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정훈 (2009) 한국의전통- 전통 음료의 세계화. Food Culture 2: 34-37. 

  2. 윤창주 (2011)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서울. 141. 

  3. AOAC (199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Washington, DC, USA. pp 8-35. 

  4. Baek SY, Kim JY, Yun HJ, Choi JH, Choi HS, Jeong ST, Yeo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nd Nuruk grain inoculate with Aspergillus oryzae N041.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877-881. 

  5. Baek SY, Yun HJ, Chou HS, Hong SB, Koo BS, Yeo SH (2010) Screening and characteristics of useful fungi for brewing from commercial nuruk in Chungcheong provinces. Korean J Microbiol Bio Technol 38: 373-378. 

  6. Chang KJ, Seo GS, Kim YS, Huang DS, Park JI, Park, JJ, Lim YS, Park BJ, Park CH, Lee MH (2010) Components and biological effects of fermented extract from tartary buckwheat sprouts. Korean J Plant Res 23: 131-137. 

  7. Choi OJ, Kim YD, Shim JH, Noh MH, Shim KH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verse rice species. Korean J Food Preserv 19: 532-538. 

  8. Cho WH (2001) Trend and product development of traditional beverag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651-656. 

  9. Ha YD, Lee SP (2001)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187-192. 

  10. Hwang IK, Jeong HS (2012) Quality charactristics and manufacture of extruded noodles mixed with cereals. Korean J Food & Nutr 25: 685-690. 

  11. Hwang SH, Chung CH (2011) Production of sikhae fermented beverage using a dextran producing isolate from Kimchi and Takju yeas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82-87. 

  12. Hwang IK, Yang JW, Kim JY, Yoo SM, Kim GC, Kim J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ccharified rice gruel prepared with different cereal koj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17-1622. 

  13. Joung EJ, Paek NS, Kim YM (2004) Studies on Korean Takju using the by-product of rice milling. Korean J Food & Nutr 17: 199-205. 

  14. Kang KM, Lee SH (2013)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isoflavone and free amino acid content of fermented tofu with kimchi ingredients and lactic acid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6-101. 

  15. Kim HS, Hyun JS, Lim J, Ha HP, Yu DS (1998) Enzym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useful fungi isolated from aditional Korean Nuruk. Kor J Appl Mocrobiol Biotechnol 26: 456-464. 

  16. Kim JH, Kwon YH, Lee AR, Kim HR, Ahn BH (2012) Manufacture of Koji using fungi isolation from Nuruk and identification of Koji molds. Kor J Mycol 40: 187-190. 

  17. Kim JS, Kim JY, Chang YE (2012) The quality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acchaarified strawberry gru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52-758. 

  18. Kim MR (2001) Korean traditional convenience beverage and cookery scien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657-690. 

  19. Kim SC, Kim HS, Kang YJ (1999) Changes of components in the rice-porridge fermented by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17-1021. 

  20. Kim TY, Kim JM, Yoon IH, Chang CM (1994)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soybean cheese making from cow's milk added soybean cur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837-844. 

  21. Kum HS, Lee HY (1999) The effect of the varieties and par ticle size on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1(6): 1542-1548. 

  22. Kwon SH (2012) Intake of traditional beverag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567-575. 

  23. Lee HK, Hwang IG, Kim HY, Woo KS, Lee SH, Woo SH, Lee J, Jeong HS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es of cereals and legume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99-1404. 

  24. Lee JS, Kang YH, Kim KK, Lim JG, Kim TW, Choe M (2013)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vie activity of fermented mixed grain beverages produced by different microbial spec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175-1182. 

  25. Lee SW, Moon HK, Moon JN, Yoon WJ, Kim G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m Ma (Gastodiae rhizoma) beverage prepared using concentrated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7: 58-65. 

  26. Lee MK, Lee SW, Yoon TH (1994) Quality assessment of Yakju brewed with conventional Nuruk. J Korean Soc Food Nutr 23: 78-89. 

  27. Lee YJ (2005)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PA) of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commercial beverag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693-702. 

  28. Lee YT, Kim SS, Chae EM (2001)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elected cereals and legumes for the production of extruded multi-grai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30-34. 

  29. Park MR (1999) A study o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nd image of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4): 501-513. 

  30. Park SM, Choi YM, Kim YH, Ham HM, Jeong HS, Lee JS (2011) Antioxidant content and activity in methanolic extracts from colored barl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43-1047. 

  31. Sa YJ, Kim JS, Kim MO, Jeong HJ, Yu CY, Park DS, Kim MJ (2010)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alpha$ -glucosidase by Sorghum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98-604. 

  32. The Brewing Society of Japan (1993) The Annotation of the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the National Tax Administration Agency. 4th ed. Tokyo, pp 218-226. 

  33. National Tax Service Liquors Licence Aid Center (2011) Rule of Analysis Alcoholic beverages. Available at http://i.nts.go. kr/menu/data_board/data_view.asp?tax_code700&board_seq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