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주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 현황 및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Consumers' Present Use and Future Demand of Traditional Korean Liquor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1, 2014년, pp.41 - 50  

김지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생명식품학부 외식산업학과) ,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생명식품학부 외식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 20세 이상 성인 411명을 대상으로 전통주의 이용 현황 및 소비자의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로 조사 대상자는 남자 204명, 여자 207명, 20대 29.9%, 30대 26.5%, 40대 20.7%, 50대 이상이 22.9%였으며 기혼이 51.8%로 미혼보다 많았다. 소비자들이 즐겨마시는 술은 소주, 맥주, 전통주, 와인, 양주 순으로 나타났으며 좋아하는 술은 소주, 맥주, 와인, 전통주, 양주 순이었다. 좋아하는 전통주는 탁주가 가장 높았으며 섭취 빈도는 특정한 날 많이 마시며 집에서 음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통주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가 높은 것은 탁주가 남녀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통주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에 대하여 IPA 분석 결과 다양성, 기능성, 숙취해소, 인식확대에 대한 개선 및 개발이 요구되어 졌다. 전통주에 대하여 대부분의 조사대상자들이 전통주에 대하여 관심이 많으며 소비전망도 긍정적인 의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맛있으면서도 외국 주류에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 맛이라고 하였으나 두통 및 숙취와 같은 부작용으로 전통주 음용에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통주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고조되고 탁주와 저도수 선호 추세 및 웰빙 트렌드 등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나 전통 고유의 맛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맛과 다양성 및 기능성이 가미된 전통주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대중화 요인에서 가장 시급했던 인식 확대 및 전통주에 대한 올바른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볼 때 전통주 개발 이전에 소비자의 요구와 기대에 적합한 전통주 컨셉을 파악하여 다양한 홍보와 마케팅을 수립하여 소비 및 판매를 촉진시키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 the recognition and use for traditional Korean liquors and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raditional liquor businesses and the plans for its populariz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11 adults of 20 years old and above, all of whom lived in the Daegu and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소비자의 요구와 구매도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전통주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소비자의 기대와 환경의 변화에 부응하여 그에 근거한 전통주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와 경북 지역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주류와 전통주에 대한 이용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소비자의 정확한 요구도와 대중화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앞으로의 전통주 연구 및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현행 「주세법」은 주류를 주류의 종류에 따라 주정, 탁주, 약주, 청주, 맥주, 과실주 등을 총칭하는 발효주류, 증류식 소주와 희석식 소주를 비롯하여 위스키, 브랜디, 일반증류주, 리큐르를 포함한 증류주류 등으로 나누고 있다(Kim YJ 2004). 본 연구에서는 전통주 종류별 인지도와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발효주류인 탁주, 청주/약주, 과실주와 증류식 소주, 증류주, 리큐르 6가지로 구분하여 전통주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전통주 시장에서 2000년 이후의 주류별 출고 동향은 어떠한가? 국내 전통주 시장의 규모는 지난 몇 년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6조 7000억원 규모의 전체 주류 시장에서 3%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다른 주류에 비해 시장 규모가 작다. 2000년 이후의 전통주 주류별 출고 동향을 보면 탁주의 경우 감소 추세를 보이다 소폭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약주는 대표주종인 백세주의 판매량 감소에 따라 하향곡선을 보이고 있다. 청주도 지속적인 출고량 감소를 보였지만 2009년 불기 시작한 막걸리 열풍으로 인하여 다시 한국의 전통주가 일시적인 패션이 아닌 트렌드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Lee HS 등 2010).최근 전통주는 건강과 관련하여 소비증가로 관련 산업의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전통주의 건강상 효능이 소비자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소비와 수출이 급격히 늘어가고 있다(Lee JH 등 2012).
전통주란? 전통주는 ‘한 민족의 식생활 풍속이 담겨져 있는 술’로 특정 민족의 생활 습관이 빚어낸 중요한 문화유산 중의 하나이고, 오랜 기간 전승되어 온 술로 독일의 맥주, 스코틀랜드의 위스키, 프랑스의 와인, 북유럽의 보드카, 중국의 바이주, 일본의 사케, 쿠바의 럼, 멕시코의 데킬라 등이 이에 속한다(Seo SH와 Lee JE 2009, Lee JH 등2012).
막걸리의 특징은? 전통주는 예로부터 전승되어 오는 원리를 계승, 발전시켜 진흥이 필요하다고 인정된 술로 막걸리는 영양학적인 면에서 일반 주류와 달리 상당량의 단백질과 당질, 비타민, 각종 유기산과 미량의 생리활성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 기능적 가치가 높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류라 할 수 있다. 약주는 곡류, 곡류 이외의 전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로 누룩과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 시킨 술덧을 여과, 제성한 맑은 술이며, 이를 증류하면 소주가 만들어진다(Kwon YJ 등 2012, Kim EH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an HC, Seo JM. 2009. Research article : An analysis on the value pursuit for traditional Korean liquor using means-end chain theory. J Foodservice Management 12(2): 205-227 

  2. Kim CS, Park JH, Lee SH. 2004. Article : An analysis on characteristics priority of the exportable traditional liquor to Japan using AHP. Korean J Livestock Management 31(2): 180-193 

  3. Kim EH, Ahn BH, Lee MA. 2013. Analysis of consumer consumption status and demand of rice-wine. J Koran Soc Food Sci Nutr 42(3): 478-486 

  4. Kim JH, Jeong SC, Kim NM, Lee JS. 2003. Effect of indian millet koji and legumes on the quality and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 35(4): 733-737 

  5. Kim MJ. 2010. Research article : The effect of consumer ethnoceentric tendency and foregn culture acceptability on preference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focus on makgeolli and sake. J Foodservice Management 13(4): 7-31 

  6. Kim YJ. 2004.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wines and a plan for encouraging it.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 4 

  7. Kim YJ, Han YS. 2006.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and plan for encouraging it. Korean J Food Culture 21(1): 31-41 

  8. Kim YS, Park YS. 2007.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in containing medicinal herb. Food Sci Biotechnology 40(2): 83-89 

  9. Kwon YJ, Lee JH, Song HG. 2012. A study on selection attributes of traditional liquor by life-style of eating out consumers. Korean J Culinary Res 18(3): 90-107 

  10. Lee DP. 2006. Policy issu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Food Industry Nutr 11(2): 1-9 

  11. Lee HS, Kwak HJ, Kim JY, Cho WK, Kim SM. 2010. A survey of drinking habits and health perception of makgeolli. Korean J Food Culture 25(5): 544-557 

  12. Lee JH, Kwon YJ, Song HG. 2012.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s well-being recognition and Korean traditional liquor selection properties.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5(5): 163-183 

  13. Lee SJ. 2010.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 and perception about Korean yakju in the Gyunggi area of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 11-19 

  14. Min MS, Seo TY, Boo SJ. 2010. The effect of globalization factors of traditional on Korean national brand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toward traditional liquor. J Hospitality Tourism Studies 12(2): 28-46 

  15. Moon OS, Jeon HM. 2011.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types of makgeolli consumers based on purchase and drinking motives. Korean J Culinary Res 15(2): 121-135 

  16. Seo DS, Kim JH, Ahn BH, Lee JS. 2008. Characteristics of anti-dumentia, cadiovascular and antioxidant functionalities in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Korean J Microbiology Biotechnology 36(4): 320-325 

  17. Seo SH, Lee JE. 2009. Consu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compatible with traditional Korean liquors. Korean J Food Culture 24(1): 1-9 

  18. Song JH, Baek SY, Lee DH, Jung JH, Kim HK, Lee JS. 2011. Screening of fungal nuruk and yeast for brewing of gugija-liriope tuber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 J Koran Soc Food Sci Nutr 32(6): 847-8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