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채널도핑에 따른 문턱전압이하 스윙 분석
Analysis of Subthreshold Swing for Channel Doping of Asymmetric Double Gate MOSFET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18 no.3, 2014년, pp.651 - 656  

정학기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채널도핑 변화에 따른 문턱전압이하 스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문턱전압이하 스윙은 문턱전압이하 영역에서 발생하는 차단전류의 감소정도를 나타내는 요소로서 디지털회로 적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문턱전압이하 스윙을 분석하기 위하여 포아송방정식을 이용하였다.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는 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와 달리 상하단 게이트의 산화막 두께 및 인가전압을 다르게 제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채널 내 농도변화 및 게이트 산화막 두께 그리고 인가전압 등이 문턱전압이하 스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특히 포아송방정식을 풀 때 도핑분포함수로 가우스분포함수를 이용하였으며 가우스분포함수의 파라미터인 이온주입범위 및 분포편차에 대한 문턱전압이하 스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분석결과, 문턱전압이하 스윙은 도핑농도 및 분포함수에 따라 크게 변화하였으며 게이트 산화막 두께 및 인가전압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d the change of subthreshold swing for channel doping of asymmetric double gate(DG) MOSFET. The subthreshold swing is the factor to describe the decreasing rate of off current in the subthreshold region,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application of digital circuits. Poisso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전위분포를 이용하여 유도되고 있는 식 (5)의 문턱전압이하 스윙값 역시 도핑농도 및 도핑분포함수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에 대한 채널 내 도핑에 따른 문턱전압이하 스윙 값을 분석하고자한다
  • 대칭적 이중게이트 MOSFET와 달리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는 4단자소자로서 상하단 게이트의 산화막 두께 및 인가전압을 다르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채널 내 농도변화, 게이트 산화막 두께, 그리고 인가전압 등이 문턱전압이하 스윙 값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도핑분포함수로 가우스분포함수를 사용하여 가우스분포함수의 파라미터인 이온주입범위 및 분포편차에 대한 문턱전압이하 스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채널도핑 변화 및 게이트 산화막 두께 변화에 따른 문턱전압이하 스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문턱전압이하 스윙을 분석하기 위하여 포아송방정식을 이용하였다.
  • 이를 위하여 대칭적 구조의 이중게이트 MOSFET를 해석한 Tiwari 등[7]의 포아송방정식에 대한 해석학적 전위모델을 이용하였다.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는 소스, 드레인, 상단게이트 및 하단게이트 단자가 존재하는 4단자소자이며 본 연구에서는 상단과 하단의 게이트 산화막 두께 그리고 인가전압 등에 따른 문턱전압이하 스윙의 변화를 관찰하고자한다. 특히 채널 내 도핑농도 및 분포의 변화가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문턱전압이하 스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한다.
  •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는 소스, 드레인, 상단게이트 및 하단게이트 단자가 존재하는 4단자소자이며 본 연구에서는 상단과 하단의 게이트 산화막 두께 그리고 인가전압 등에 따른 문턱전압이하 스윙의 변화를 관찰하고자한다. 특히 채널 내 도핑농도 및 분포의 변화가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문턱전압이하 스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통형 차지트랩플래시(Charge Trap Flash) 셀 구조는 어떤 기술인가? 삼성전자에서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구조를 원통형 차지트랩플래시(Charge Trap Flash) 셀 구조를 이용하기로 결정하고 대규모 투자에 나서고 있다. 이는 기존의 메모리구조와 달리 3차원적 구조로서 30 nm급 트랜지스터를 40층 이상 적층하는 기술이 요구되는 고정밀 기술이다. 메모리소자 뿐만이 아니라 소형화 및 경량화의 상징인 스마트폰 그리고 SSD(Solid State Drive)에 이용가능하며 나아가 테블릿 PC 등 휴대용 장비에도 대폭 적용될 예정이다.
MugFET는 어떤 트랜지스터인가? 이러한 단채널 효과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각광받는 소자로 다중게이트 MOSFET(Multi Gate MOSFET; MugFET)가 물방에 오르고 있다. MugFET는 FinFET [1], 이중게이트(Double Gate ; DG) MOSFET[2], 원통형 MOSFET[3]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결국 게이트를 채널주변에 여러 개 제작하여 게이트에 의한 전류제어능력을 향상시킨 트랜지스터이다. MugFET 중 가장 간단한 구조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인 이중 게이트 MOSFET는 게이트단자를 상단과 하단에 제작함으로써 채널 내 전하의 제어를 두 개의 게이트가 담당하도록 하여 게이트 단자에 의한 전류제어능력을 두 배 가까이 향상시킬 수 있다.
이중게이트 MOSFET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중게이트 MOSFET는 채널을 저농도로 도핑하여 채널 내 전하들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불순물산란을 감소시켜 전하의 이동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채널을 완전결핍상태(fully depleted)로 제작하여 고속 동작에 용이하다. Ding 등[6]은 고정된 채널 내 도핑분포함수를 사용하여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문턱전압이하 스윙을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가우스분포함수를 도핑분포함수로 사용하여 도핑농도 및 분포함수의 변화에 따라 문턱전압이하 스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A.J.Garcia-Loureiro, N.Seoane, M.Aldegunde and R.Valin, "Implementation of the Density Gradient Quantum Corrections for 3-D Simulations of Multigate Nanoscaled Transistors," IEEE Trans. on CAD of IC and Systems, vol.30, no.6, pp841-851, 2011. 

  2. S.Jandhyala and S.Mahapatra, "Inclusion of body doping in compact models for fully-depleted common double gate MOSFET adapted to gate-oxide thickness asymmetriy", Electronics Lett., vol.48, no.13, pp.794-795, 2012. 

  3. C.H.Suh, "Two-Dimensional Analytical Model for Deriving the Threshold Voltage of a Short Channel Fully Depleted Cylindrical/Surrounding Gate MOSFET," J.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1, no.2, pp.111-120, 2011. 

  4. H.Lu and Y.Taur, "An analytical potential model for symmetric and asymmetric DGMOSFETs," IEEE Trans. on Electron Devices, vol.53, no.5, pp.1161-1168, 2006. 

  5. A.Dey, A.Chakravorty, N.DasGupta and A.DasGupta, "Analytical model of subthreshold current and slope for asymmetric 4T and 3T double-gate MOSFET," IEEE Trans. on Electron Devices, vol.55, no.12, pp.3442-3449, 2008. 

  6. Z.Ding, G.Hu, J.Gu, R.Liu, L.Wang and T.Tang, "An analytical model for channel potential and subthreshold swing of the symmetric and asymmetric double-gate MOSFETs," Microelectronics J., vol.42, pp.515-519, 2011. 

  7. P.K. Tiwari, S. Kumar, S. Mittal, V. Srivastava, U. Pandey and S. Jit, "A 2D Analytical Model of the Channel Potential and Threshold Voltage of Double-Gate(DG) MOSFETs with Vertical Gaussian Doping Profile," IMPACT-2009, pp.52-55, 2009. 

  8. H.K.Jung, "Analysis for Potential Distribution of Asymmetric Double Gate MOSFET Using Series Function," J. Korea Inst. Inf. and Commun. Eng., vol.17, no.11, pp.2621-2626,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