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유도된 인지 및 기억능력 손상에 대한 김치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Kimchi against Aβ25-35-induced Impairment of Cognition and Memor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3, 2014년, pp.360 - 366  

최지명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이상현 (중앙대학교 식물시스템과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  강순아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융합공학과) ,  조은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의 EtOH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DPPH와 ${\cdot}O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고, ICR mouse의 해마 부위에 $A{\beta}$를 주입시킨 AD model을 이용하여 김치 추출물을 2주간 투여한 후 물체 인지, T-maze, water maze의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살펴보았다. 김치추출물은 우수한 DPPH와 ${\cdot}O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AD 동물 model에서 해마 부위에 $A{\beta}$를 주입한 control군의 경우 물체 인지, 기억 및 학습능력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김치 추출물을 100과 200 mg/kg/day를 투여한 군에서는 물체 인지 실험에서 새로운 물체에 대한 호기심 정도가 높았으며, T-maze 실험에서는 새로운 길에 대한 탐색 정도도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ater maze 실험에서도 도피대를 찾아가는 반복 훈련을 할수록 도피대를 찾아가는 시간이 점차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피대를 기억하는 능력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김치 추출물이 radical을 소거함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하여 인지능력 및 기억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김치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및 AD 예방에 대한 상관관계에 대한 작용기작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 대표 식품인 김치의 섭취로 인한 AD 예방 효과에 대해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mchi is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with various health functionalities. However, the protective effects of kimchi against Alzheimer's disease (AD) have not been studied yet. In this study, the protective activities of kimchi extract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AD were investigated in 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T-maze 실험과 물체 인지 실험을 통하여 확인된 단순 기억력 증진 효과보다 좀 더 수준이 높은 기억력을 요구한다(24).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중미로 실험을 통해 김치 추출물이 학습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Aβ25-35에 의하여 유도된 뇌 손상 모델에 2주간 김치 추출물을 투여한 후 물체인지 실험을 통해서 인지능력 향상 효과가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를 표준화된 레시피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ICR mouse에 Aβ를 주입한 AD mouse model의 행동실험을 실시하여 기억 및 학습능력 회복을 통한 AD 예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는 어떤 활성성분을 갖는가? 최근에는 김치의 비만억제, 지질 저하 효과(6,7), 동맥경화 예방(8), 항산화(9), 항돌연변이, 항암 효과(10,11), 항균 및 probiotics 생산 효과(12)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김치의 활성성분으로는 발효과정과 관련 있는 유산균, β-sitosterol, phenol compounds, 3- (4'-hydroxyl-3',5'-dimethoxyphenyl)propionic acid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6,8,11), 노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 중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AD의 예방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를 표준화된 레시피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ICR mouse에 Aβ를 주입한 AD mouse model의 행동실험을 실시하여 기억 및 학습능력 회복을 통한 AD 예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AD의 주요한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Alzheimer's disease(AD)는 노화 상태에서 나타나는 만성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 신경퇴행성 치매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기억력 손실로 인한 인지기능의 현저한 감소와 행동장애를 일으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AD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뇌신경전달 물질인 acetylcholine의 감소 및 amyloid beta(Aβ) 단백질의 응집으로 인한 뇌세포의 퇴행으로 알려져 있다(1). 특히 신경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amyloid precursor protein(APP)으로부터 발생된 Aβ가 AD를 유발하는 신경섬유종을 만드는 가장 주요한 물질임이 밝혀졌다 (2,3).
김치는 어떤 식품인가? 김치는 우리나라 식생활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것으로 배추, 무 등의 여러 가지 채소류를 소금에 절인 다음 마늘, 고추 등의 향신료와 젓갈 등의 부재료를 첨가하여 숙성시킨 전통 발효식품이다(5). 또한 김치에는 식이섬유소,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및 젖산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유기산과 미생물의 대사산물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and P, Singh B. 2013. A review on cholinesterase inhibitors for Alzheimer's disease. Arch Pharm Res 36: 375-399. 

  2. Lee SW, Kim DH, Yun JH, Kim JW, Jung EY, Lee SG, Lee KS, Kim TH, Lyu YS, Kang HW. 2008. The effects of antioxidant and anti-Alzheimer on hydrogen peroxide and ${\beta}$ -amyloid peptide-induced PC 12 cells by Semen Ziziphi Spinosae water extract. J Orient Neuropsychiatry 19: 179-193. 

  3. Kim YI, Park JY, Choi SJ, Kim JK, Jeong CH, Choi SG, Lee SC, Cho SH, Heo HJ. 2008.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amyloid ${\beta}$ peptide-induced neurotoxicity. Korean J Food Preserv 15: 743-748. 

  4. Kwon YE. 2007. Inhibitory potency of acetylcholinesterase and amyloid beta(1-42) peptide aggregation to the extracts of enthusiasm reducing herbals. Kor J Pharmacogn 38: 308-311. 

  5. Bang BH, Seo JS, Jeong EJ. 2008.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21: 51-55. 

  6. Kwon JY, Cheigh HS, Song YO. 2004.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powder in rats fed high fat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014-1019. 

  7. Kwon MJ, Song YO, Song YS. 1997. Effects of kimchi on tissue and fecal lipid composition and apolipoprotein and thyroxine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07-513. 

  8. Kim HJ, Lee JS, Chung HY, Song SH, Suh H, Noh JS, Song YO. 2007. 3-(4'-hydroxyl-3',5'-dimethoxyphenyl)propionic acid, an active principle in Kimchi, inhibit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in rabbits. J Agric Food Chem 55: 10486-10492. 

  9. Cheigh HS, Yu R, Choi HJ, Jun HK. 1996. Biosynthesis of L-ascorbic acid by microorganism in kimchi fermentation process. J Food Sci Nutr 1: 37-40. 

  10. Park KY, Kim HC, Jung KO. 2000. Anticarcinogenic effect of kimchi extract on 2-AAF-induced rat hepatocarcinogenesis system. J Korean Assoc Cancer Prev 5: 81-86. 

  11. Cho EJ, Choi JS, Kim SH, Park KY, Rhee SH. 2004.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active compounds from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Assoc Cancer Prev 9: 98-103. 

  12. Kim M, Lee SJ, Seul KJ, Park YM, Ghim SY. 2009.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24-32. 

  13. Cho EJ, Lee SM, Park KY. 1998. Standardization of kinds of ingredient in Chinese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56-1463. 

  14. Hatano T, Edamatsu R, Hiramatsu M, Mori A, Fjuita Y, Yasuhara T, Yoshida T, Okuda T. 1989.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tannins with co-existing substances,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superoxide VI anion radical, and on 1,1-diphenyl-2-picrylhydraq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2016-2021. 

  15. Chung SK, Osawa T, Kawakishi S. 1997. Hydroxyl radical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rassica nigra). J Biosci Biotech Biochem 61: 118-123. 

  16. Laursen SE, Belknap JK. 1986.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s in mice. Some methodological refinements. J Pharmacol Meth 16: 355-357. 

  17. Bevins RA, Besheer J. 2006. Object recognition in rats and mice: a one-trial non-matching-to-sample learning task to study 'recognition memory'. Nat Protoc 21: 1306-1311. 

  18. Montgomery KC. 1952. A test of two explanations of spontaneous alternation. J Comp Physiol Psychol 45: 287-293. 

  19. Morris R. 1984.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a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Methods 11: 47-60. 

  20. Lee YO, Cheigh HS. 1996.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freeze dried kimchi. J Life Sci 6: 66-71. 

  21. Choi JY, Cho EJ, Lee HS, Lee JM, Yoon YH, Lee S. 2013. Tartary buckwheat improves cognition and memory function in an in vivo amyloid- ${\beta}$ -induced Alzheimer model. Food Chem Toxicol 53: 105-111. 

  22. Bergin DH, Liu P. 2010. Agmatine protects against ${\beta}$ -amyloid25-35-induced memory impairments in the rat. Neuroscience 169: 794-811. 

  23. Mamiya T, Kise M, Morikawa K. 2008. Ferulic acid attenuated cognitive deficits and increase in carbonyl proteins induced by buthionine-sulfoximine in mice. Neurosci Lett 430: 115-118. 

  24. Gerlai R. 2001. Behavioral tests of hippocampal fucntion: simple paradigms complex problems. Behav Brain Res 125: 269-277. 

  25. Yoon I, Lee KH, Cho J. 2004. Gossypin protects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cells from oxidative stress- and ${\beta}$ -amyloid-induced toxicity. Arch Pharm Res 27: 454-459. 

  26. Kwak JH, Jo YN, Kim HJ, Jin SI, Choi SG, Heo HJ. 2013. Protective effects of black soybean seed coat extracts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toxic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57-261. 

  27. Ramassamy C. 2006. Emerging role of polyphenolic compounds in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 review of their intracellular targets. Eur J Pharmacol 545: 51-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