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방법에 따른 쇠비름의 항산화, 생리활성 및 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
Antioxidant,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3, 2014년, pp.389 - 396  

권유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조성묵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황승필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권기만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김재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윤광섭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쇠비름의 활용 및 생리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 추출방법을 알아보고자 환류냉각, 가압가열 및 저온고압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쇠비름 70%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수율은 환류냉각추출, 가압가열추출, 저온고압추출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색도에서는 저온고압추출에서 명도와 황색도가 높았고, 채도의 경우 가압가열 및 저온고압추출에서 높았다. 폴리페놀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저온고압추출이 환류냉각 및 가압가열추출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압가열추출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저온고압추출이 환류냉각 및 가압가열 추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낸 반면 철 이온에 대한 제거효과의 경우 환류냉각추출 및 가압가열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 및 XO 저해활성은 저온고압추출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AChE 저해활성에서는 저온고압추출, 가압가열추출, 환류냉각추출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TLC bioassay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특정 compound들에 의해 AChE 저해 활성이 나타났으며 퇴행성 질환의 하나인 치매의 예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온고압추출물이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70% ethanol extracts from Portulaca oleracea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reflux extraction, RE; autoclave extraction, AE; 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extraction, LTPE) were investigated. The freeze-dried powder yields of RE, AE, and LTPE were 33.78%, 30.8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기능성 소재활용에 관한 연구를 통해 쇠비름의 우수성이 밝혀져 왔으나 쇠비름의 소비 확대는 크게 진전되지 않고 있으며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쇠비름의 이용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생리활성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추출방법을 제시하고, 산업화에 적용할 방법을 모색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쇠비름이란 무엇인가?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쇠비름과(Portulaca)의 한해살이 식물로 돼지풀, 도둑풀, 말비름이라고 하며 생약명으로는 마치현(馬齒莧), 오행초(五行草고), 장명채(長命采), 마치채(馬齒採)라고 불린다. 우리나라 각지의 길가, 채소밭, 빈터 등지에서 자생하며, 줄기의 높이가 15~30 cm 내외로 털이 없고 줄기의 직경은 2~3 cm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땅위로 비스듬히 퍼지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쇠비름의 생약명은 무엇인가?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쇠비름과(Portulaca)의 한해살이 식물로 돼지풀, 도둑풀, 말비름이라고 하며 생약명으로는 마치현(馬齒莧), 오행초(五行草고), 장명채(長命采), 마치채(馬齒採)라고 불린다. 우리나라 각지의 길가, 채소밭, 빈터 등지에서 자생하며, 줄기의 높이가 15~30 cm 내외로 털이 없고 줄기의 직경은 2~3 cm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땅위로 비스듬히 퍼지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환류냉각추출(RE), 가압가열추출(AE), 저온고압추출(LTPE)로 추출방법을 달리한 쇠비름의 수율 차이는? 추출방법을 달리한 쇠비름의 수율 및 색도는 Table 1과 같다. 수율은 RE(reflux extraction), AE(autoclave extraction) 및 LTPE(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ex- traction)가 각각 33.78%, 30.80% 및 11.05%로 추출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RE>AE>LTPE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환류냉각추출과 가압가열추출에서 높은 수율을 나타내는 것은 열처리 공정에 의하여 불용성 세포벽의 수용화에 의해 수용성 식이섬유가 증가되는 현상과 더불어, 수용화 과정 중에 식물조직의 구조적인 변화에 따라 불용성 식물세포벽으로부터 식이섬유 성분의 용해가 용이해짐에 따른 결과로 사료된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Danrong Z, Yuqiong C, Dejiang N. 2009. Effect of water quality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Food Chem 113: 110-114. 

  2. Hung TM, Thung PT, Nhan NT, Mai NTT, Quan TL, Choi JS, Woo MH, Min BS, Bae KH. 2011. 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of alkaloids from Corydalis tuber. Nat Prod Sci 17: 108-112. 

  3. Yook CS. 1989.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Academic Press, Seoul, Korea. p 164. 

  4. Habtemariam S, Harvey AL, Waterman PG. 1993. The muscle relaxant properties of Portulaca oleracea are associat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potassium ions. J Ethnopharmacol 40: 195-200. 

  5. Xiang L, Xing D, Wang W, Wang R, Ding Y, Du L. 2005. Alkaloids from Portulaca oleracea L. Phytochemistry 66: 2595-2601. 

  6. Park SH, Kim DK, Bae JH. 2011. The antioxidant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on Helicobacter pylori. Korean J Food & Nutr 24: 306-311. 

  7. Bea JH. 1999.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 on removing nicotine component of tobacc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607-612. 

  8. Won HR, Kim SH. 2011.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diet containing Portulaca oleracea L. ethanol extract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38-543. 

  9. Bae JH. 2012. The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on the pathogens of gastroenteritis in infants. Korean J Food & Nutr 25: 233-238. 

  10. Rashed AN, Afifi FU, Disi AM. 2003. Simple evaluation of the wound healing activity of a crude extract of Portulaca oleracea L. (growing in Jordan) in Mus musculus JVI-1. J Ethnopharmacol 88: 131-136. 

  11.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12. Abdel-Hameed ES. 2009.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rtain Egyptian Ficus species leaf samples. Food Chem 114: 1271-1277. 

  13. Baoshan S, Jorge MR, Isabel S. 1998. Critical factors of vanillin assay for catechins and proanthocyanidins. J Agric Food Chem 46: 4267-4274. 

  1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6. Saeedeh AD, Asna U.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1240. 

  17.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18. Yen GC, Duh PD, Tsai H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 307-313. 

  19. Kim KY, Nam KA, Kurihara H, Kim SM. 2008. Potent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purified from the red alga Grateloupia elliptica. Phytochemistry 69: 2820-2825. 

  20. Stirpe F, Della Corte E, Lorenzini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244: 3855-3863. 

  21. Ellman GL, Courtney KD, Andres jr V, Featherstone RM. 1961. A new and rapid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Biochem Pharmacol 7: 88-95. 

  22. Sandahl JF, Jenkins JJ. 2002. Pacific steelhead (Oncorhynchus mykiss) exposed to chlorpyrifos: benchmark concentration estimates for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Environ Toxicol Chem 21: 2452-2458. 

  23. Yang Z, Zhang X, Duan D, Song Z, Yang M, Li S. 2009. Modified TLC bioautographic method of screening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from plant extracts. J Sep Sci 32: 3257-3259. 

  24. Hwang JK, Kim CT, Hong SI, Kim CJ. 1994. Solubilization of plant cell walls by extrusion. J Korean Soc Food Nutr 23: 358-370. 

  25. Kang KM, Lee SH 2013.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Artemisia sp.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249-1254. 

  26. Kim JW, Kim JK, Song IS, Kwon ES, Youn KS. 2013.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rusalem artichoke leaves with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8-75. 

  27. Turkmen N, Sari F, Velioglu YS. 2005.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s on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green vegetables. Food Chem 93: 713-718. 

  28. Jiratanan T, Liu RH.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rocessed table beets (Beta vulgaris var, conditiva) and green beans (Phaseolus vulgaris L.). J Agric Food Chem 52: 2659-2670. 

  29. Woo JH, Shin SL, Jeong HS, Lee CH. 2010. Influence of applied pressure and heat treatment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leaves from Achillea alpina and 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 Korean J Plant Res 23: 123-130. 

  30. Gordon MH.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In Food Antioxidant. BJF Hudson, ed. Elsevier Applied Food Science Series, London, UK. p 1-18. 

  31.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 In Post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 Material in the Tropics. Uritani I, Garcia VV, Mendoza EM, ed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Japan. p 241-251. 

  32. Takashi Y, Yamamoto M, Tamura A. 1978. Studies on the formation of nitrosamines (VII); The effects of some polyphenols on nitrosation of diethylamine. J Food Hyg Soc Jpn 19: 224-229. 

  33. Kim HY, Lim SH, Park YH, Ham HJ, Lee KJ, Park DS, Kim KH, Kim S. 2011. Screening of ${\alpha}$ -amylase, ${\alpha}$ -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with Gangwon-do wild plant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08-315. 

  34. Vincenzo NT. 2001. Acetylcholinesterase in Alzheimer's disease. Mech Ageing Dev 122: 1961-1969. 

  35. Wagner H, Bladt S, Zgainski EM. 1984. Plant drug analysis: a thin layer chromatography atla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Tokyo. p 51-90. 

  36. Berkov S, Bastida J, Nikolova M, Viladomat F, Codina C. 2008. Rapid TLC/GC-MS identific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in alkaloid extracts. Phytochem Anal 19: 411-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