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리 과정 중 시래기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Siraegi (Dried Radish Greens) according to Cook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4, 2014년, pp.609 - 618  

박초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조리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시래기의 항산화 관련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항균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한식 고유의 조리법인 나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80% ethanol에 추출한 시래기의 수율은 무친 후가 7.55%로 가장 높았으며, 데치기 전이 4.91%를 나타내었고, 데친 후가 0.33%로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3.57~129.85 mg GAE/100 g FW 범위로 무친 후 시래기가 $129.85{\pm}0.62mg$ GAE/100 g FW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무친 후가 $35.56{\pm}1.19mg$ CH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4가지의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 결과, 무친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시래기에서만 활성이 나타났는데, B. cereus와 E. cloacae 두 균에 대해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E. coli와 P. aeruginosa 두 균에 대해서는 10 mg/disc의 농도에서만 각각 9.25 mm, 9 mm의 clear zone을 생성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radical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의 활성이 증가하여 시래기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항균 활성 측면에서는 시래기를 조리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좋으나, 건조 나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특성상 반드시 불린 후 조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무치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되어 항산화 효능이 증가하므로 시래기를 섭취할 경우, 가능하면 장시간 물에 삶는 조리법은 피하고, 무치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valuated the yield of extract, antioxidant compounds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antioxidant (DPPH assay, ABTS assay, Oyaizu's assay, FRAP assa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iraegi (dried radish greens) according to cooking process (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The yield of 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리방법인 무침으로 시래기를 조리 한 후, 조리과정 중 시래기의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평가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나물 조리법에 대한 장점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 본 실험에서는 조리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시래기의 항산화 관련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한식 고유의 조리법인 나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80% ethanol에 추출한 시래기의 수율은 무친 후가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래기란 무엇인가? 무의 뿌리부분은 무채, 깍두기, 단무지 등으로 사용되며, 잎 부분은 무청 김치로 이용하거나, 무청을 건조하여 나물이나 국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Ku 등 2006). 시래기는 무청을 데쳐서 말려둔 것으로 비타민과 칼슘, 무기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시래기에 함유된 풍부한 식이섬유는 장내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대장암 예방에 도움을 준다. 특히 시래기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식이섬유가 3~4배 이상 늘어나 영양이 더욱 우수해지고, 칼슘과 비타민 D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Yoon HS 2012).
조리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시래기의 항산화 효능이 증가하는 원인은? 따라서 항균 활성 측면에서는 시래기를 조리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좋으나, 건조 나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특성상 반드시 불린 후 조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무치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되어 항산화 효능이 증가하므로 시래기를 섭취할 경우, 가능하면 장시간 물에 삶는 조리법은 피하고, 무치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시래기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식이섬유의 변화는? 시래기는 무청을 데쳐서 말려둔 것으로 비타민과 칼슘, 무기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시래기에 함유된 풍부한 식이섬유는 장내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대장암 예방에 도움을 준다. 특히 시래기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식이섬유가 3~4배 이상 늘어나 영양이 더욱 우수해지고, 칼슘과 비타민 D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Yoon HS 2012). 우리 민족은 자연환경과 사회 경제적인 영향 등에 의해 식량자원이 부족하여 야생 식물의 이용을 발달시켰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겨울철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을 보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식품인 나물을 장기 저장해 두어 1년 내내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rano MB, Cano A, Acosta M. 2001. The hydrophilic and liphophilic contribution to total antioxidant activity. Food Chem 73:239-244 

  2.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70-79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4. Bogin E, Abrams M. 1976. The effect of garlic extract on the activity of some enzymes. Food Cosmet Toxicol 14:417-419 

  5. Cha YJ, Lee HY, Jeong EJ. 2008. Changes of biological activites of two ascidians,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by cooking. J Life Sci 18:109-113 

  6. Choi NS, Oh SS, Lee JM. 2001.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745-752 

  7. Chung YC, Chiang BH, Wei JH, Wang CK, Chen PC, Hsu CK. 2008. Effect of blanching, drying and extraction processe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am (Dioscorea alata). Int J Food Sci Technol 43:859-864 

  8. Fellegrini N, Roberta R, Min Y, Catherine RE.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enbenzo 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379-389 

  9.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0. Han YL, Lee SY, Lee JH, Lee SJ. 2013. Cellular flavonoid transport mechanisms in animal and plant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137-141 

  11. Hong JJ, Ahn TH. 2005. Changes in total flavonoid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leafy vegetables (spinach, chard and whorled mallow) by blanching tim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190-194 

  12. Hong SH, Kim MJ, Oh CH, Yoon SH, Song YO. 2010. Antiradical capacities of perilla, sesame and sun flower oil. J Food Sci Nutr 15:51-56 

  13. Hoult JBS, Paya M. 1996. Pharmacological and biochemical actions of simple coumarins: Natural products with therapeutic potential. Gen Pharmacol 27:719-722 

  14. Kang DY, Shin MO, Shon JH, Bae SJ. 2009.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elastrus orbiculatus. J Life Sci 19:52-57 

  15. Kang MJ, Yun HS, Shin JH. 2012. 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s. J Agric Life Sci 46:129-139 

  16. Kim HJ. 2010. Study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ulfur containing vegetables. Ms Thesis, Chungnam Univ. Daejeon, Korea 

  17. Kim JH, Kim JK, Kang WW, Ha YS, Choi SW, Moon KD. 2003. Chemical compositions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s of saffl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33-738 

  18. Kim JS. 2012. Greens Notebook (Namul Suchup). pp.204-205. Woodumji 

  19. Kim JY, Park SH, Lee KT. 2009. Sulforaphane content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oked broccol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564-569 

  20. Ku KH, Lee KA, Kim YE. 2008.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390-395 

  21. Ku KH, Lee KA, Kim YL, Lee YW.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dried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80-785 

  22. Lee BH, Kim DR, Kang SM, Kim MR, Hong JI. 2010. Changes in the chemical s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urcuminoids under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97-102 

  23.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9-36 

  24. Lee YM, Bae JH, Kim JB, Kim SY, Chung MN, Park MY, Ko JS, Song J, Kim JH. 2012.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ur sweet potato varieties by cooking condition. Korean J Nutr 45:12-19 

  25. Oboh G. 2004. Effect of blanch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tropical green leafy vegetables. Science Direct 38:513-517 

  26. Oh HJ, Kim CS. 2007.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ed soybean foods (Chungkukjang,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503-1510 

  27.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 J Nutr 44:307-315 

  28. Park JW, Lee YJ, Yoon S. 2007.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s in fermented soy products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ifferent assays. Korean J Food Culture 22:353-358 

  29. Park SW, Yoo YJ. 1997.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before cooking on mineral retention in Siraegi (raddish leaves). Korean J Soc Food Sci 13:635-638 

  30. Sakiko A, Yukikp Y.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 of welsh onion (Allium fistulosum) and the effect of thermal treatment. Food Sci Technol Res 13:67-72 

  31. Sher A.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from medicinal plants. Gomal J Med Sci 7:72-78 

  32. Yoon HS. 2012. Greens Cooking (Namul Yori). pp.128-129. Haseo 

  33.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