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솔잎분말과 생즙을 첨가한 쌀 마들렌의 항산화성과 품질 특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Madeleine Add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3, 2014년, pp.446 - 453  

김원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지명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현숙 (조선대학교 생명공학과) ,  허영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말식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솔잎의 기능성을 부여한 쌀가루 가공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동결건조 한 솔잎분말과 압착에 의한 솔잎생즙을 각각 첨가하여 쌀 마들렌을 제조하였고 이화학적, 텍스쳐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제품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솔잎을 첨가한 제품의 항산화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높음을 확인하였고, 같은 소재의 솔잎도 첨가되는 물질의 상태가 달라 제품의 품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들렌의 비체적은 솔잎분말을 첨가하였을 때를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였으며 텍스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쌀 마들렌의 선호도는 솔잎분말 첨가 제품이 더 좋게 평가되었다. 위의 결과 솔잎의 향과 맛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이 있는 솔잎 쌀 마들렌을 제조하려면 솔잎분말을 쌀가루에 대해 0.6~1.8%, 솔잎생즙 0.6% 첨가한 것이 전체적인 선호도가 높았으며 그중 솔잎향과 전체적인 맛이 높은 쌀 마들렌은 솔잎분말을 쌀가루에 대해 1.2% 첨가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health functional gluten-free rice madeleines added with pine needle, rice flours were prepared by adding different contents (0.6, 1.2, and 1.8% on rice flour basis) of freeze-dried pine needle powder (PP) and extract (PE, by pressing pine needles). The preparation, textural and sensory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본 연구는 일반계 가공용 다수확 벼로 개발된 보람찬 백미를 처리한 쌀가루로 기능성을 가진 글루텐 프리 쌀 마들렌을 개발하기 위해 쌀가루에 솔잎분말과 솔잎을 압착하여 추출한 생즙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마들렌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 검은콩 청국장 가루(20), 복승아즙(21)과 효소 저항성 쌀 전분첨가 마들렌(22)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는 밀가루를 사용하였는데 이를 글루텐 프리 쌀 마들렌으로 개발하고 여기에 기능성이 확인된 솔잎분말과 솔잎생즙을 첨가하여 품질이 향상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Yim MH, Hong TG, Lee JH. 2006.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extracts of pine needles (Pinus densiflora). Food Sci Biotechnol 15: 582-588. 

  2. Choi MY, Choi EJ, Lee E, Rhim TJ, Cha BC, Park HJ. 1997.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extract.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293-297. 

  3. Kim YS, Shin DH. 2005. Volatile component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 and Z.) extracts. Food Microbiol 22: 37-45. 

  4. Zeng WC, He Q, Sun Q, Zhong K, Gao H. 2012. Antibacterial activity of water-soluble extract from pine needles of Cedrus deodara. Int J Food Microbiol 153: 78-84. 

  5. Kim SM, Cho YS, Sung SK, Lee IG, Lee SH, Kim DG.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13-19. 

  6. Park YS, Jeon MH, Hwang HJ, Park MR, Lee SH, Kim SG, Kim M.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analysis of proanthocyanidins from pine (Pinus densiflora) needles. Nutr Res Pract 5: 281-287. 

  7. Choi HS, Hang D, Cho SJ, Kang SC, Sohn ES, Lee SP, Pyo S, Son E. 2006.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extracts in macrophages. Korean J Food Sci Nutr 11: 105-109. 

  8. Jeon JR, Kim JY, Lee KM, Cho DH. 2005. Anti-obese effects of mixture contained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375-381. 

  9. Jeon JR, Kim JY. 2006.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n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nd obesity in high-fat diet fed rats. Biol Pharm Bull 29: 2111-2115. 

  10. Kim JD, Yoon TH, Choi M, Im KJ, Ju JS, Lee SY. 1991.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ine leaf on lipid parameters in rats. Korean J Gerontolgy 1: 47-50. 

  11. Yen GC, Duh PD, Huang DW, Hsu CL, Fu TY. 2008. Protective effect of pine (Pinus morrisonicola Hay.) needle on LDL oxidation and its anti-inflammatory action by modulat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Food Chem Toxicol 46: 175-185. 

  12. Park G, Paudyal DP, Park Y, Lee C, Hwang I, Tripathi GR, Cheong H. 2008.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plasma cholesterol, fibrinolysis and gastrointestinal motility. Biotechnol Bioprocess Eng 13: 262-268. 

  13. Lee HG, Han JY. 2002.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of pine leave powders and different types of sweetener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64-172. 

  14. Lee HJ, Cui CB, Choi HT, Kim SH, Ham YA, Lee DS, Ham SS.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vaporized liquid of water-boiled pine needle. Korean J Food Preserv 12: 179-183. 

  15. Renzetti S, Bello FD, Arendt EK. 2008. Microstructure, fundamental rheology and baking characteristics of batters and breads from different gluten-free flours treated with a microbial transglutaminase. J Cereal Sci 48: 33-45. 

  16. Shin M, Gang DO, Song JY. 2010. Effects of protein and transglutaminase on the preparation of gluten-free rice bread. Food Sci Biotechnol 19: 951-956. 

  17. Turabi E, Summu G, Sahin S. 2010. Quantitative analysis of macro and micro-structure of gluten-free rice cakes containing different types of gums baked in different ovens. Food Hydrocolloid 24: 755-762. 

  18. Kim MH, Kim HJ, Kim MY, Kim MR. 2008. Optimization of spirulin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ulture 23: 761-770. 

  19. Shin M, Gang DO, An YH. 2007. Rice bread and the preparation of rice bread and thereof. Korean Patent 0742572. 

  20. Jang JO. 2007. Quality properties of madeleine added with black bean Chungkukjang flou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840-845. 

  21. Lim YT, Kim DH, Ahn JB, Choi SH, Han GP, Kim GH, Jang KI.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with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juice. Korean J Food & Nutr 25: 664-670. 

  22. Kim W. 2008. Effect of addition of enzyme-resistant rice RS3 on qualit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Korean J Human Ecology 19: 191-201. 

  23. Park SJ, Ha KY, Shin M. 2012. Properties and qualities of rice flours and gluten-free cupcakes made with higher-yield rice varieties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21: 365-372. 

  24. Medcalf DF, Gilles KA. 1965. Wheat starches: I.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Cereal Chem 42: 558-568. 

  25.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for Clinical Chemistry, St. Paul, MN, USA. Method 72-10. 

  26. Jin YI, Hong SY, Kim SJ, Ok HC, Lee YJ, Nam JH, Yoon YH, Jeong JC, Lee SA. 2010.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mino acid components of mungbean cultivars grown in highland area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29: 381-387. 

  27. Kim WJ, Kim JM, Huh YR, Shin M.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upcak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613-622. 

  28. Kim JN, Shin WS. 2009.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ffon cake made with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9-76. 

  29. Lee HJ, Do JR, Kwon JH, Kim HK. 2011.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42-948. 

  30. Jeon JR, Kim HH, Park G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685-692. 

  31. Jung HA, Kim SH, Lee MA. 2009.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6: 506-511. 

  32. Lee JH, Son SM. 2011. Effect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of sponge cakes. Food Eng Prog 15: 376-381. 

  33. Lee HG, Kim HJ. 2000.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ang-ja-byung by different ingredient. Korean J Soc Food Sci 16: 342-3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