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렌틸콩 분말을 첨가한 마들렌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Added with Lentil (Lens culinaris)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2, 2016년, pp.1816 - 1822  

배단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렌틸콩 분말 첨가에 따른 마들렌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고자 밀가루 대비 렌틸콩 분말 0, 20, 40, 60%를 첨가한 마들렌을 제조하고 pH, 수분 함량, 비중, 굽기 손실률, 색도, 조직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렌틸콩 분말 첨가 마들렌의 품질은 렌틸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마들렌의 pH, 수분 함량 및 비중은 감소했지만, 굽기 손실률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 결과 마들렌의 crust와 crumb 모두 L값과 b값이 감소하고 a값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조직감 측정 결과 렌틸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점착성은 증가했지만,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렌틸콩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모든 평가항목에서 렌틸콩 분말을 20% 첨가한 마들렌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따라서 렌틸콩 분말 20%를 첨가하여 마들렌을 제조하면 마들렌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deleine added with lentil powder (LP). Madeleine was prepared with flour levels of lentil powder (0, 20, 40, and 60%). The pH, moisture, and specific gravity of madelein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LP, w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양 및 생리활성이 우수한 렌틸콩을 첨가한 마들렌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렌틸콩을 첨가한 마들렌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렌틸콩 분말 첨가에 따른 마들렌의 품질 특성은 첨가량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렌틸콩 분말 첨가에 따른 마들렌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고자 밀가루 대비 렌틸콩 분말 0, 20, 40, 60%를 첨가한 마들렌을 제조하고 pH, 수분 함량, 비중, 굽기 손실률, 색도, 조직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렌틸콩 분말 첨가 마들렌의 품질은 렌틸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마들렌의 pH, 수분 함량 및 비중은 감소했지만, 굽기 손실률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 결과 마들렌의 crust와 crumb 모두 L값과 b값이 감소하고 a값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
렌틸콩이 신체에 주는 이로운 영향은? 슈퍼 푸드로 주목받고 있는 렌틸콩은 인도, 유럽, 중동 등에서 재배되며 지방이 적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섬유질이 풍부하여 심장병, 암, 노화 방지에 도움을 주는 항산 화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1). 렌틸콩은 일반 콩에 비하여 지방의 함량이 낮은 관계로 저지방 식이로 인한 체중감량의 장점이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면서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저항성 전분, 올리고당을 골고루 포함하고 있다(2).
렌틸콩의 영양학적 이점은? 슈퍼 푸드로 주목받고 있는 렌틸콩은 인도, 유럽, 중동 등에서 재배되며 지방이 적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섬유질이 풍부하여 심장병, 암, 노화 방지에 도움을 주는 항산 화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1). 렌틸콩은 일반 콩에 비하여 지방의 함량이 낮은 관계로 저지방 식이로 인한 체중감량의 장점이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면서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 저항성 전분, 올리고당을 골고루 포함하고 있다(2). 이러한 렌틸콩의 영양성분은 단백질 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Food Chem 95 493 2006 10.1016/j.foodchem.2005.02.001 

  2. Eur Food Res Technol 215 478 2002 10.1007/s00217-002-0603-1 

  3.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273 2015 10.9721/KJFST.2015.47.3.273 

  4. Food Res Int 44 2515 2011 10.1016/j.foodres.2011.03.012 

  5. J Funct Foods 7 551 2014 10.1016/j.jff.2013.12.030 

  6. Ann Agric Sci 56 57 2011 10.1016/j.aoas.2011.07.001 

  7. Korean J Food Preserv 19 223 2012 10.11002/kjfp.2012.19.2.223 

  8. Korean J Human Ecology 19 191 2010 10.5934/KJHE.2010.19.1.191 

  9. Korean J Culinary Res 19 13 2013 

  10. J East Asian Soc Diet Life 17 840 2007 

  11. Korean J Food Nutr 25 664 2012 10.9799/ksfan.2012.25.3.664 

  12. Nature 181 1199 1958 10.1038/1811199a0 

  13.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 909 2010 

  14. J East Asian Soc Diet Life 23 341 2013 

  15. J Food Sci 51 640 1986 10.1111/j.1365-2621.1986.tb13899.x 

  16. Korean J Food Nutr 26 772 2013 10.9799/ksfan.2013.26.4.772 

  17.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4 2009 10.3746/jkfn.2009.38.10.1414 

  18.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717 2016 10.3746/jkfn.2016.45.5.717 

  19. J Home Econ Japan 41 71 1990 

  20.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12 2008 

  21. Korean J Culinary Res 21 41 2015 

  22. Food Chem 121 705 2010 10.1016/j.foodchem.2010.01.009 

  23. Annu Rev Nutr 17 353 1997 10.1146/annurev.nutr.17.1.353 

  24. Nutr Res 29 355 2009 10.1016/j.nutres.2009.05.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