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학적으로 유발된 망막흐림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와 인식 대비도의 변화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Decrease of Visual Acuity and the Change in Contrast Threshold According to the Level of Optically Induced Retinal Defocu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1, 2014년, pp.93 - 98  

김상엽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문병연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조현국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광학적으로 유발된 망막흐림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와 대비도의 변화에 따른 개인차를 알아보았다. 방법: 전체 69안을 대상으로 소수시력 각 단계별로 10단계의 다른 대비도로 구성된 시표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굴절이상을 완전교정한 후 눈 앞에 +0.25 D씩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망막흐림을 유발한 다음 각 시표에 대한 단안시력과 인식대비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유발된 망막상의 흐림이 증가됨에 따라 시력은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0.25 D 부가하여 유발된 망막흐림에서 시력저하의 개인차는 1.2~0.6의 범위로 나타났다. +0.50 D와 +0.75 D 부가되었을 경우 각각 1.0~0.3과 0.9~0.1 범위의 개인차를 보였다. +1.00 D가 부가되었을 때 일부 0.1 시표를 인식하지 못하는 대상안이 나타났고, +1.75 D 부가된 경우 모든 대상안들이 0.1 시표를 인식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망막흐림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인식 대비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최종적인 굴절이상 교정값을 결정할 때 잔여굴절이상의 정도에 따른 시력감소의 개인차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were aim to investigate individual difference of visual acuity (VA) decrease and the change of contrast threshold (CT) according to the level of optically induced retinal defocus. Methods: A total of 69 eyes were examined using consist of ten-graded decimal vision chart (Landolt's r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0 D의 망막흐림에도 독서속도 및 재주시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16,17] 따라서 망막상의 흐림이 존재하더라도 요구되는 시각적 활동영역에 따라 시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달라지지만, 시력과 대비감도와 같이 정밀한 분별능력을 요하는 시각능력에 대해서는 약도의 망막흐림에도 개인차에 따른 인지특성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유발된 망막흐림정도에 따른 시력저하의 개인적 차이 및 대비식별능력을 알아보고 임상현장에 적용가능한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역시 대비도를 달리한 최소분리시력표를 사용하여 일정한 조명조건에서 광학적으로 유발시킨 망막흐림의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시력저하의 개인차와 인식 대비도의 개인차를 조사하여 임상현장에서 안경교정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시각기능에서 사물의 인지와 분별능력의 수준은 무엇에 따라 달라지나? 인간의 시각기능에서 사물의 인지와 분별능력의 수준은 망막상의 질적상태에 의해 달라진다.[1] 특히 미교정굴절이상이나 부적절한 굴절교정은 망막에 흐린 상을 쉽게 유발하여 시력 및 대비감도를 저하시켜 원활한 시각수행능력을 방해한다.
망막상의 흐림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망막상의 흐림은 시력저하 뿐만 아니라 다른 시각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Sehlapelo 등[10]과 Wood 등[11]은 망막흐림이 색각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Rosen 등[12]의 연구에서는 1.00 D정도의 망막흐림이 주변시의 정상적인 역할을 저해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반면 일반적인 독서활동이나[13,14] 골프퍼팅[15]과 같은 중·근거리에 해당하는 시각적 활동영역에서는 2.00 D까지의 망막흐림에서도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제한된 시간 안에 순간적인 시각자극이 발생하는 TV 자막인식과 같은 근거리 시각수행활동에서는 이보다 적은 1.00 D의 망막흐림에도 독서속도 및 재주시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16,17] 따라서 망막상의 흐림이 존재하더라도 요구되는 시각적 활동영역에 따라 시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달라지지만, 시력과 대비감도와 같이 정밀한 분별능력을 요하는 시각능력에 대해서는 약도의 망막흐림에도 개인차에 따른 인지특성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유발된 망막흐림정도에 따른 시력저하의 개인적 차이 및 대비식별능력을 알아보고 임상현장에 적용가능한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람의 원활한 시각수행능력을 방해하는 증상은? 인간의 시각기능에서 사물의 인지와 분별능력의 수준은 망막상의 질적상태에 의해 달라진다.[1] 특히 미교정굴절이상이나 부적절한 굴절교정은 망막에 흐린 상을 쉽게 유발하여 시력 및 대비감도를 저하시켜 원활한 시각수행능력을 방해한다.[2] 이러한 사실은 의도적인 광학적 흐림이 시표인식이나 대비감도능력을 저해한다는 실험을 통해서도 보고된 바 있고,[3-7] Johnson 등[8]은 이런 조건에서 조명 및 물체의 대비저하가 복합되면 더욱 심각한 시력저하를 유발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mpbell FW, Green DG. Optical and retinal factors affecting visual resolution. J Physiol. 1965;181(3):576-593. 

  2. Atchison DA, Smoth G, Efron N. The effect of pupil size on visual acuity in uncorrected and corrected myopia. Am J Optom Physiol Opt. 1979;56(5):315-323. 

  3. Radhakrishnan H, Pardhan S, Calver RI, O'Leary DJ.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defocus on contrast sensitivity in myopes and non-myopes. Vision Res. 2004;44(16):1869-1878. 

  4. Rabin J. Optical defocus: difeential effects on size and contrast letter recognition threshold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4;35(2):646-648. 

  5. Bedell HE, Patel S, Chung ST. Comparison of letter and Vernier acuities with dioptric and diffusive blur. Optom Vis Sci. 1999;76(2):115-120. 

  6. Thorn F, Schwartz F. Effects of dioptric blur on Snellen and grating acuity. Optom Vis Sci. 1990;67(1):3-7. 

  7. Oen FT, Lim TH, Chung MP. Contrast sensitivity in a large adult population. Ann Acad Med Singapore. 1994;23(3):322-326. 

  8. Johnson CA, Casson EJ. Effects of luminance, contrast, and blur on visual acuity. Optom Vis Sci. 1995;72(12):864-869. 

  9. Kim SY, Cho HG. Minimal illumination to identify the chart in each visual acuity and deviation of identification capability according to illumination and chart contrast. J Korean Oph Opt Soc. 2013;18(4):549-554. 

  10. Sehlapelo RR, Oduntan AO. Effect of optical defocus on colour perception. S Afr Optom. 2007;66(2):77-81. 

  11. Wood JM, Atchison DA, Chaparro A. When red lights look yellow.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5;46(11):4348-4352. 

  12. Rosen R, Lundstrom L, Unsbo P. Influence of optical defocus on peripheral vis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1;52(1):318-323. 

  13. Chung ST, Jarvis SH, Cheung SH. The effect of dioptric blur on reading performance. Vision Res. 2007;47(12):1584-1594. 

  14. Levy-Schoen A, O'Regan JK. The effect of improper accommodation on the visual field and on eye movements in reading: In: Stark L, Obrecht G, eds. Presbyopia. New York, NY: Professional Press Books. 1987:178-184. 

  15. Bulson RC, Ciuffreda KJ, Hung GK. The effect of retinal defocus on golf putting. Ophthalmic Physiol Opt. 2008;28(4):334-344. 

  16. Thorn F, Thorn S. Television captions for hearing-impaired people: A study of key factors that affect reading performance. Journal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1996;38(3):452-463. 

  17. Xu JJ, Ciuffreda KJ, Chen H, Fan L. Effect of retinal defocus on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RSVP) digit recognition. J Behavioral Optometry. 2009;20(3): 67-69. 

  18. Woods RL, Strang NC, Atchison DA. Measuring contrast sensitivity with inappropriate optical correction. Ophthalmic Physiol Opt. 2000;20(6):442-451. 

  19. You YC, Choi TH, Lee HB. Normal contrast sensitivity for various ag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1):150-156. 

  20. Nio YK, Jansonius NM, Fidler V, Geraghty E, Norrby S, Kooijman AC. Age-related changes of defocus-specific contrast sensitivity in healthy subjects. Ophthal Physiol Opt. 2000;20(4):323-3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