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파를 첨가한 청국장 제조 가능성을 평가하고, 제조된 시료들을 대상으로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먼저 양파의 적정 첨가량을 판단하기 위해 노랑콩과 검정콩 각각의 중량을 기준으로 0, 5, 10, 20, 30%가 되도록 양파를 첨가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랑콩과 검정콩 청국장 모두 20% 양파 첨가 청국장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그래서 20%의 양파를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을 대상으로 특정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양파를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이 첨가하지 않은 청국장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총 페놀성 및 flavonoid 함량을 나타냈다. 그리고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평가에 있어서도 양파를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이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청국장보다 더 높은 radical-scavenging 활성을 나타냈다. 또 쥐 혈장 산화에 따른 CE-OOH 생성 억제능 평가에 있어서도 양파 첨가 청국장 추출물을 투여한 쥐혈장이 양파를 첨가하지 않은 청국장 추출물을 투여한 쥐 혈장에 비해 더 높은 산화 억제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들은 양파에 다량 함유된 quercetin을 포함한 flavonoid들과 발효과정 중 생성되는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들에 의한 효과라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가 국산 양파의 가공시장확대 및 청국장 소비의 저변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ellow and black soybean Cheonggukjangs (YBSC) prepared with an addition of onion (Allium cepa L.) in different contents (0, 5, 10, 20, and 30%, w/w) were manufactured, and the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The optimum addition ratio of onion was determined to be 20%. Total phenolic and flav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혈액의 저비중지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다량 존재하는 cholesteryl ester가 산화되어 생성되는 cholesteryl ester hydroperoxide(CE-OOH)는 건강한 일반인의 혈액 내에도 약 3 nM 수준으로 존재해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31).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LDL에 그 존재율이 높은 cholesteryl ester가 산화되어 생성되는 CE-OOH를 혈장산화의 지표성분으로 하여 혈장이 산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그 양을 검토함으로써 양파 첨가 청국장 투여 쥐 혈장의 피산화성을 검토하였다. 그래서 양파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노랑콩 청국장과 검정콩 청국장을 각각 제조하여 각 시료들의 추출물을 쥐에 경구투여 후, 얻어진 각 혈장을 대상으로 동이온 유도산화에 따른 CE-OOH 생성 억제능을 비교ㆍ평가하였다.
  • 하지만 이러한 청국장의 훌륭한 기능학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발효과정 중 생성되는 휘발성 암모니아계 화합물로 인해 소비자층이 넓지 못하며, 특히 외국으로의 수출에도 큰 어려움을 격고 있는 실정이다(17).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양파의 식품가공학적 활용성의 확대는 물론, 청국장의 기호성 개선을 목적으로 양파 첨가 청국장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제품화에 성공한 사례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랑콩과 검정콩 각각을 이용하여 기호성이 개선되고 기능성이 강화된 양파 첨가 청국장을 제조하여 그들의 산업적 활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노랑콩과 검정콩에 양파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양파 첨가 청국장의 제조가능성을 검토함은 물론, 제조 청국장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선호도가 높은 배합비율의 청국장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선별된 청국장을 대상으로 총 페놀성 화합물, 총 flavonoid의 함량 및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scavenging 활성 비교, 그리고 양파 첨가 청국장 추출물 투여 쥐 혈장을 대상으로 혈중 과산화물(cholesteryl ester hydroperoxide, CE-OOH) 생성억제능을 평가함으로써 양파 첨가 청국장의 기능성 향상 여부 평가 및 식품학적 우수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요법에서 사용된 양파의 효능은? 양파(Allium cepa L.)는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섭취되고 있는 근채류 채소 중의 하나로서 예로부터 해독, 장염, 해열, 이뇨, 소화촉진 등의 민간요법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1). 그리고 양파 및 그 추출물의 항산화(2), 항암(3), 항균(4), 항염증(5), 항동맥경화(6) 활성 등의 다양한 효능이 보고된 바 있다.
청국장은 무엇인가? 청국장은 고추장 및 된장과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 발효식품 중의 하나이며, 대두를 삶아 고초균(Bacillus spp.)으로 발효시켜 독특한 풍미를 내는 전통식품이다(11). 보고에 따르면 청국장의 섭취는 고혈압(12), 당뇨(13), 암(14), 골다공증(15) 등과 같은 질환의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알려져 있어 최근 청국장에 대한 식품기능학적 측면에서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16).
양파 첨가 청국장의 항산화능을 평가한 실험에서 사용된 청국장은 어떻게 제조되었는가? 노랑콩 및 검정콩 각각의 부피 약 3배에 해당하는 물을 이용하여 3회 이상 세척 후,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수침한 다음, 121℃에서 30분간 증자 후 약 50℃로 냉각하였다. 여기에 원료 대두 중량의 3%(v/w)에 해당하는 종균(Bacillus subtilis chungkook16, KCTC 10786BP) 배양액을 각각에 접종한 후, 41℃에서 24시간 발효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다. 위 방법에 따라 원료콩 중량의 0, 5, 10, 20, 30%에 해당하는 생 양파를 약 1 cm2정도의 크기로 절단한 다음 첨가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ng MS, Kim JG, Kim GH (2010) Survey on consumer's perception of fresh-cut root vegetabl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649-654 

  2. Murota K, Hotta A, Ido H, Kawai Y, Moon JH, Sekido K, Hayashi H, Inakuma T, Terao J (2007) Antioxidant capacity of albumin- bound quercetin metabolites after onion consumption in humans. J Med invest, 54, 2007 

  3. Rho SN, Han JH (2000) Cytoxicity of gallic and onion methanol extract o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874-879 

  4. Nithyameenakshi S, Jeyaramraja P R, Manian S (2006) Cytotoxicity of the fungicides azoxystrobin and difenoconazole in root tips of Allium cepa L. Asian J Cell Biol, 1, 65-80 

  5. Takahashi M, Shibamoto T (2008)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nti- inflammatory activities of steam distillate from freeze- dried onion (Allium cepa L.) sprout. J Agric Food Chem, 56, 10462-10467 

  6. Moon JH, Nakata R, Oshima S, Inakuma T, Terao J (2000) Accumulation of quercetin conjugates in blood plasma after the short-term ingestion of onion by women. Am H Physiol Regulatory Integrative Comp Physiol, 279, 461-467 

  7. Bors W, Heller W, Michel C, Saran M (1990) Flavonoids as antioxidant: Determination of radical-scavenging effectiveness. Meth Enzymol, 186, 343-335 

  8. Lee JI, Cho YS, Shon MY, Kang KS, Seo KI (2000) Changes in physicochemical component and bacterial count during the fermentation of onion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 419-424 

  9. Cheun KS, Kang SG, Kang SK, Jung ST, Park YK (2005) Change of the flavonoids in onion vinegar fermented with onion juice and ethanol. Korean J Food Preserv, 12, 650-655 

  10. Kim HD, Kim WI, Suh JK, Choi JU, Lee MJ, Kim CY (2000) Effect of calcium spraying on storage quality of onion (Allium cepa L.).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9-22 

  11. Lee JJ, Lee DS, Kim HB (1999) Fermentation patterns of chungkookjang and kanjang by Bacillus licheniformis B1. Kor J Microbiol, 35, 269-301 

  12. Yang JL, Lee SH, Song YS (2003) Improving effect of powders of cooked soybean and chongkukjang on blood pressure and lipid metabolism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99-905 

  13. Kim HJ, Kim YC (2006)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 of chunggugjang powd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Environ Toxicol, 21, 139-146 

  14. Kwak CS, Kim MY, Kim SA, Lee MS (2006) Cytotoxicity on human cancer cells and antitumorigenesis of chungkookjang, a fermented soybean product, in DMBA-treated rats. Korean Nutr Soc, 39, 347-356 

  15. Lee YK, Lee MY, Kim MK, Choe WK, Kim SD (2004) Effect of calcium lactate and chungkukjang on calcium status in rat. J Food Sci Nutr, 9, 45-52 

  16. Kim JS, Yoo SM, Choe JS, Park HJ, Hong SP, Chang CM (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ungkugja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Agric Chem Biotechnol, 41, 377-383 

  17. Choe JS, Kim JS, Yoo SM, Park HJ, Kim TY, Chang CM, Shin SY (1996) Survey on preparation method and consumer response of chungkookjang. Korean J Soybean Res, 13, 29-43 

  18. Bae EA, Moon GS (199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soybe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03-208 

  19. Kim HE, Han SY, Jung JB, Ko JM, Kim Y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oybean paste) prepared with germinated regular soy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61-368 

  20. Kwon SH, Choi JH, Ko YR, Shon MY, Park SK (2003) Change in free sugar, organic ac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a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of whole black bean. Korean J Food Preserv, 10, 333-338 

  21.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gents. Amer J Enol Viticult, 16, 144-158 

  22. 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1997)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23. Abe N, Nemoto A, Tsuchiya Y, Hojo H, Hirota A (2000) Studies of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mechanism for a 2-pyrone compound. Biosci Biotech Biochem, 64, 306-333 

  24. Kim GD, Lee YS, Cho JY, Lee YH, Choi KJ, Lee Y, Han TH, Lee SH, Park KH, Moon JH (2010) Comparision of the content of bioactive substances and the inhibitory effects against rat plasma oxidation of conventional and organic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J Agric Food Chem, 58, 12300-12306 

  25. Jung KA, Park CS (2013)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juice from garlic, ginger, and onion. Korean J Food Preserv, 20, 134-139 

  26. Caridi D, Trenerry VC, Rochfort S, Duong S, Laugher D, Jones R (2007) Profiling and quantifying quercetin glucosides in onion (Allium cepa L.) varieties using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od Chem, 105, 691-699 

  27. Tsushida T, Suzuki M (1995) Isolation of flavonoid-glycosides in onion and identification by chemical synthesis of the glycosides. J Japan Soc Food Sci, 42, 100-108 

  28. Tsushida T, Suzuki M (1996) Content of flavonol glucosides and some properties of enzymes metabolizing the glucosides in onion. J Japan Soc Food Sci, 43, 642-649 

  29. Lonn ME, Dennis JM, Stocker R (2012) Action of "antioxidants" in the protection against atherosclerosis. Free Rad Biol Med, 53, 863-884 

  30. Steinberg D, Parthasarathy S, Carew TE, Khoo JC, Witztum JLN (1989) Beyond cholesterol. Modific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that increase its atherogenesity. N Engl J Med, 320, 915-924 

  31. Yamamoto Y, Niki E (1989) Presence of cholesteryl ester hydroperoxides in human blood plasma. Biochem Biophys Res Commun, 165, 988-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