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누룩을 이용한 ale맥주 제조 및 품질특성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ale beer with Nuruk, a Korean fermentation starter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2, 2017년, pp.132 - 140  

정수지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정장호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 누룩을 맥주의 당화과정에 첨가하여 얻은 맥주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발효 직후에 급격히 줄어들어 숙성기간과 저장기간 동안 비슷한 수치로 이어졌다. pH는 발효 직후 5.7에서 4.1-4.2까지 낮아졌고, 숙성과 저장 기간을 거치면서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미생물은 대부분 효모균으로 숙성기간인 6일에 약 $5.16{\times}10^5CFU/mL$에서 13일 $2.92{\times}10^6CFU/mL$로 균수는 증가하였다. 맥주의 색은 SRM 색도와 색차계로 분석한 결과 SRM은 누룩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발효, 숙성, 저장 기간 내내 높은 수치를 보였다. 색차계에서는 누룩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명도의 L값은 약간 낮아지고 a값은 마이너스 값으로 초록색에 가깝고 황색도의 b값은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맥주의 점도는 누룩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점도가 낮았다. 쓴맛 또한 누룩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은 값이 나왔다. 아미노산도는 누룩 첨가구에서 더 높은 값이 나타났으나 첨가구내에서의 차이는 없었다. 거품 안정성은 대조구 $135.62{\pm}10.28$으로 N15는 $368.24{\pm}23.25$으로 대조군보다 2배 이상 유의적으로 차이 나는 결과를 보였다. 유리당의 포도당, 설탕, 엿당은 발효, 숙성과 숙성 기간 동안 줄어들었고 유기산말산, 시트르산이 효모의 대사산물로 발효, 숙성, 저장 기간에 그 수치가 높아졌다. 누룩을 맥주 당화과정의 효소제 역할로 이용한 실험결과를 통해 맥주 공정 중 당화과정에 누룩을 첨가함으로 새로운 특성의 맥주가 생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ruk, a traditional Korean alcoholic beverage starter, was evaluated as an additional saccharifying agent comprising up to 1.5% (w/w) of malt weight in ale-type beer processing. Sample characteristics were monitored during fermentation, ripening, and storage. Beer containing nuruk showed higher n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β-Amylase는 내산성을 가졌고, 누룩 존재 미생물 중 거미줄곰팡이속(Rhizopus)과 누룩곰팡이속(Aspergillus)의 곰팡이 효소들은 β-amylase를 가지고 있다(11)는 점에서 맥주 당화과정에 첨가함으로써 맥주 발효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효소제들을 보충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 곡물주의 당화발효제인 전통제조방식의 시판 누룩을 맥주 제조 시 당화과정에 첨가함으로써 발효방식 개선과 새로운 관능적 품질을 가진 ale 맥주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술의 제조를 위한 발효 방식에는 무엇이 있는가? 술의 제조를 위한 발효 방식에는 맥주와 같이 당화와 발효 공정이 구분되는 단행 복발효방식과 막걸리, 약주, 청주 등 당화와 발효가 동시에 일어나는 병행 복발효방식이 있다(1,2). 맥주는 기원전 4000년경부터 기록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음료 중 하나이며 보리, 홉(hop), 물을 주원료로 이용해서 만들며 효모를 통해 발효되는 알코올음료로(3) 당화와 발효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대표적인 단행복발효주의 한 형태이다.
맥주의 주원료는? 술의 제조를 위한 발효 방식에는 맥주와 같이 당화와 발효 공정이 구분되는 단행 복발효방식과 막걸리, 약주, 청주 등 당화와 발효가 동시에 일어나는 병행 복발효방식이 있다(1,2). 맥주는 기원전 4000년경부터 기록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음료 중 하나이며 보리, 홉(hop), 물을 주원료로 이용해서 만들며 효모를 통해 발효되는 알코올음료로(3) 당화와 발효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대표적인 단행복발효주의 한 형태이다.
소규모 맥주 업체들이 중온숙성방식의 ale계 맥주를 판매할 수 있게 된 이유는? 2014년 4월, 주세법이 개정되면서 소규모 맥주 제조업체에서도 맥주를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그동안 대량생산에 의해 생산되는 하면 발효인 저온숙성방식의 larger계 맥주 종류가 주를 이루던 맥주 시장이 소규모업체들에서 생산되는 상면 발효인 중온숙성방식의 ale계 맥주 종류를 접하게 되면서 소비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맥주를 맛보고 폭 넓은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ong SS, Byung DP, Bong KK, Lee CH.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oduced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wa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53-457 (2011) 

  2. Kim JH, Kwon YH, Lee AR, Kim HR, Ahn BH. Manufacture of koji using fungi isolation from nuruk and identification of koji molds. Kor. J. Mycol. 40: 187-190 (2012) 

  3. Koh JS. Alcoholic Beverage. Yuhan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60-70, 90-91 (2005) 

  4. Whiting GC. Organic acid metabolism of yeasts during fermentation of alcoholc beverages-a review. J. I. Brewing 82: 84-92(1976) 

  5. One YH. Story of Beer. Hakmun Publishing Inc., Gyeonggi, Korea. pp. 14-17, 22-25 (2003) 

  6. Jo HC. My Own Beer Brewing. Nuxusbook, Seoul, Korea. pp. 13-15, 76-87 (2013) 

  7. Kim KH, Park SJ, Kim JE, Dong HM, Park IS, Lee JH, Hyun SY, Noh BS.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types of pale ale be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142-147 (2013) 

  8. Chol DC. Study on establishment of micro brewery restaurant.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Seoul, Korea (2003) 

  9. Hyeun SK, Kwon YA, Lee SJ.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wed beer with rice adjunct. Food Eng. Prog. 16: 139-144 (2012) 

  10. Kwon YA, Lee KG, Hong KW, Lee SJ. Improving qualities of rice beer using enzymes and amino acids. Food Eng. Prog. 16: 151-156 (2012) 

  11. Lee SC. Use of enzymes in beer brewing. Korea Alcohol Liquor Ind. Assoc. 17: 50-70 (1997) 

  12. Bae SM. Traditional alcoholic drink manufacturing technology: Takju yakju. Woog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07-111 (2002) 

  13. Kim JH. Multivariate analysis for feasibility of korean six-row barleys for beer brewing.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014) 

  14. NTS. Analysis of Liquor Regulatory. Liquors Licence Aid Center, Seoul, Korea. pp. 1-68 (2008) 

  15. ASBC. The Society. American Society of Brewing Chemists. Methods of Analysis, St. Paul, MN. USA (1976) 

  16. Lee HS, Park YS, Bai DH.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rice wine) fermented with koji by starch types. Food Eng. Prog. 18: 215-221 (2014) 

  17. Brnyik T, Vicente AA, Dostlek P, Teixeira JA. Continuous beer fermentation using immobilized yeast cell bioreactor systems. Biotechnol. Progr. 21: 653-663 (2005) 

  18. Kaneda H, Takashio M, Tamaki T, Osawa T. Influence of pH on flavour staling during beer storage. J. I. Brewing 103: 21-23 (1997) 

  19. Song SH, Lee CH, Lee SH, Park JM, Lee HJ, Bai DH, Yoon SS, Choi JB, Park YS. Analysis of microflora profile in korean traditional nuruk. J. Microbiol. Biotechnol. 23: 40-46 (2013) 

  20. Deb P, Talukdar SA, Mohsina K, Sarker PK, Sayem SMA. Produc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amylase enzym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P-001. Springerplus 2: 154 (2013) 

  21. Naidu MA, Saranraj P. Bacterial amylase: A review. Int. J. Pharm. Biol. Sci. Arch. 4: 274-287 (2013) 

  22. Szab E, Borbly M, Sipos P, Cornelia P, Adriana C. Analysis of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colour of brewed beer samples. Oradea University. Oradea, Romania. pp. 373-377 (2013) 

  23. Granato D, Branco GF, Faria Jde A, Cruz AG. Characterization of Brazilian lager and brown ale beers based on color,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using chemometrics. J. Sci. Food. Agr. 91: 563-571 (2011) 

  24. Han JY, Schwarz, PB. Arabinoxylan composition in barley, malt, and beer. J. Am. Soc. Brew. Chem. 54: 216-220 (1996) 

  25. Lee JD. Designing Great Beers. Life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257-286 (2005) 

  26. Bamforth CW, Kanauchi M. Interactions between polypeptides derived from barley and other beer components in model foam systems. J. Sci. Food Agric. 83: 1045-1050 (2003) 

  27. Harris G, Thompson CC. The uptake of nutrients by yeasts III. the maltose permease of a brewing yeast. Biochim. Biophys. Act. 52: 176-183 (1961) 

  28. Harris G, Thompson CC. Uptake of nutruents by yeasts maltotriose permease and the utilization of maltotriose by yeasts. J. I. Brewing 66: 293-297 (1960) 

  29. Kim CH. Food Microbiology. Yuhan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28-30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