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미세 분쇄한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의 항산화,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및 xanthin oxidase 억제 활성
Antioxidant,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nd xanthin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Saururus chinensis leaves by ultrafine grind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1, 2014년, pp.75 - 81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미세 분쇄를 하였을 때 입자가 작아질수록 추출수율이 높아져 약 2.5배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일반 분쇄한 시료 추출물에서 69.8%의 전자공여능 억제효과가 관찰되었고, 미세분쇄와 초미세분쇄 추출물에서는 각각 70.7과 83.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분쇄 추출물과 미세분쇄 및 초미세분쇄 후 추출물 모두 97% 이상의 높은 ABTS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분쇄 방법에 따른 항산화력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일반 분쇄한 시료 추출물 보다 미세분쇄와 초미세분쇄 추출물에서 더 높은 PF값을 확인하였으며, 50% ethanol 초미세분쇄 추출물에서 1.8 PF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미세분쇄와 초미세분쇄 추출물에서는 일반분쇄 추출물에 비해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TBARS 억제율이 높아지며, 물 추출물보다 ethanol 추출물의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Xanthin oxidase 저해의 경우 초미세분쇄 후 효소억제 증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활성은 일반분쇄 추출의 경우 물 추출물에서는 억제활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50% ethanol 추출물에서 24%의 억제율이 확인되었다. 또한, ethanol 추출물의 억제효과가 물 추출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50% ethanol 초미세분쇄 추출물에서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 아주 약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을 뿐 나머지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biological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Saururus chinensis by ultra-fine grinding for functional food source are examined. It is more effective to use ethanol than water when extracting phenolic compounds. Approximately 2.5 times higher extraction yield were shown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초미세 분쇄 기술은 1차 가공처리 기술을 넘어서 한약재 추출물의 용해도를 증진시켜 체내 흡수율 증가시킴으로 기능성 식품 소재나 식의약 소재 등 고부가 가치소재로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24,25). 따라서 삼백초잎으로 부터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phenolic compounds를 추출하기 위하여 일반분쇄, 미세분쇄 및 초미세분쇄 추출 등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phenolic compounds의 용출량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Table 1에서와 같이 물보다 ethanol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초미세 분쇄를 하였을 때 추출 수율이 증가하여 입자 크기에 대한 추출수율이 입자가 작아질수록 추출수율이 높아져 약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미세 분쇄가 삼백초잎으로 부터 생리활성물질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추출물이 나타내는 다양한 생리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삼백초가 가지는 한방에서 어떤 질환 치료에 사용되었는가? 삼백초는 삼백초과(Saurcer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건조한 것이 약용으로 사용되며(1,2), 어성초(Houttuynia cordata)와 혼동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완전히 다른 식물로 분류된다. 삼백초가 가지는 약리적 효능은 해열, 해독, 소염, 소종 등의 작용이 있어 한방에서 수종, 각기 간염, 황달및 암 등의 치료제로 이용되어 왔다(2). 삼백초에 함유된 주요 성분으로 hyperin, rutin, quercetin 및 quercetrin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있다(3-5).
specific surface area의 증가효과는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가? 초미세분쇄는 입자크기가 작아짐에 따라서 specific surface area의 증가효과와 capillary effect가 나타나게 된다. 표면적 증가효과는 표면현상과 연관성이 촉매반응에 큰 영향을 미쳐 생리활성 발현의 변화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모세관효과는 근본적인 물성을 변화시킴으로서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현상들이 나타난다고 한다(12,13).
삼백초에 함유된 주요 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삼백초가 가지는 약리적 효능은 해열, 해독, 소염, 소종 등의 작용이 있어 한방에서 수종, 각기 간염, 황달및 암 등의 치료제로 이용되어 왔다(2). 삼백초에 함유된 주요 성분으로 hyperin, rutin, quercetin 및 quercetrin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있다(3-5). 식물계에 다량 존재하는 flavonoid는 천연 항산화제로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flavonoid는 지방질의 산화, 활성산소의 소거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막는 역할을 함으로 노화방지, 암 및 심장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지연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오늘날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Lee ST, Park JM, Lee HK, Kim MB, Cho JS, Heo JS (2000) Component comparison in different growth stages and organs of Saururus chinensis Bail. Korean J Med Crop Sci, 8, 312-318 

  2. Kim SK, Kim YH, Kang DK, Chung SH, Lee SP, Lee SC (1998) Essential oil content and composition of aromatic constituents on leaf of Saururus chinensis, Angelica dahuriea and Cinidium officiane. Korea J Med Crop Sci, 6, 299-304 

  3. Choe KH, Yoon CH, Kwon SJ (1994)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of Saururaceac growing in Korean on flavonoid constituents of Saururus chinensis. J Korean Soc analytic Sci, 7, 11-15 

  4. Lee ST, Lee YH, Choi YJ, Lee YH, Choi JS, Heo JS (2001) Yield and bioactive component on different compostamounts and culture method of Saururus chinensis Bail. Korean J Med Crop Sci, 9, 220-224 

  5. Kim BH, Song WS (2000) The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I). J Korean Home Econom, 38, 1-9 

  6. Lim DK, Choi U, Shin DH (1996) Antioxidan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3-89 

  7. Park SS, Yu KH, Min TJ (1998) Antioxidan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fruiting bodies of mushrooms. Korean J Mycology, 26, 69-77 

  8. Lee JM, Son ES, Oh SS, Han DS (2001)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ries of edible plants. Korean J Diet Cul, 16, 504-514 

  9. Kim NM, Ko SR, Choi KJ, Kim WJ (1993) Effect of some factors on extraction of effectual componenets in cinnamon extract. J Korean Agric Chem Soc, 36, 17-22 

  10. Bell LN (2001) Stability testing of nutr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In : Handbook of nutr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Wildman REC(ed). CRC press, New York, p 501-516 

  11. Lopez-Rubino A, Gavara R, Lagaron JM (2006) Bioactive packaging: turning foods into healthier foods through biomaterials. Trends Food Sci Technol, 17, 567-575 

  12. Kim KH, Lee IH, Lee HS, Park JK (2003) R&D trend and information analysis of nanoparticles. Pros Ind Chem, 6, 46-61 

  13. Kim CS, Kim CS, Kim HI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 affected by grinding methods and steeping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76-1083 

  14. Kim JS, Lee JY, Park KT, An BJ, Lee SH, Cho YJ (2013) The biological activity from Prunella vulgari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20, 234-241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6. Pellegrin N, Roberta R, Min Y, Catherine RE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 benzothiazoline-6-sulfonic acid)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17. Andarwulan N,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ansformed and Ah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 

  18.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Enzymol, 105, 302-310 

  19.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20. Stirpe F,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2 

  21. Gavidson PH, Parish ME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J Food Technol, 43, 148-154 

  22. Stevenson TH, Lucia LM, Acuff GR (2000) Development of selective medium for isolation of Helicobacter pylori from cattle and beef samples. Appl Environ Micobiol, 66, 723-727 

  23. Choi HS, Kim MG, Shin JJ, Pack JM,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4. Han MR, Chang MJ, Kim MH (2007)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rice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60-166 

  25. Han MR, Kim AJ, Chang MJ, Lee SJ, Kim HS, Kim MH (2009)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corn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Food Bioeng Progress, 13, 335-340 

  26. Shin HL (2003) Biological activity of phenol compound from mulberry fruits. MS Thesis, Sa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 

  27. Aoshima H, Tsumoue H, Koda H,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 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28. Cho YJ, Ju IS, Chun SS, An BJ, Kim JH, Kim MU, Kwon OJ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76-281 

  29. Noro T, Fukushima S (1988) Inhibitors of xanthine oxidase from the flowers and buds of Daphne genkwa. Chem Pharm Bull, 31, 3984-3988 

  30. Miyoshi D, Richard LS (1975) Pulmonary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J Biol Chem, 250, 6762-6768 

  31. Funayama S, Hikono H (1979) Hypotensive principles of Diospyors kaki Leaves. Chem Pharm Bull, 27, 2865-2871 

  32. Stewart JM, Ferreira SH, Greene LJ (1971) An inhibitors of the pulmonary inactivation of bradykinin and conversion of angiotensin I to II. Biochem Pharmacol, 20, 157-163 

  33. Kameda K, Takaku T, Okyada H, Kimyra S (1987)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flavonoids isolated from leaves of persimmon o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tivity. J Natural products, 50, 680-6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