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분쇄에 의한 감국(Chrysanthemum incidicum Linne)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Chrysanthemum incidicum Linne by Ultrafine Grind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 2014년, pp.110 - 117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국 phenolic compound의 추출을 위한 최적 추출조건은 70% ethanol로 6시간 추출이 최적이었다. 그때 추출수율은 물 추출물이 $7.12{\pm}1.61$ mg/g, ethanol 추출물이 $7.51{\pm}2.14$ mg/g이었고 초미세분쇄 했을 경우 물 추출물이 $8.63{\pm}1.15$ mg/g, ethanol 추출물이 $9.33{\pm}1.35$ mg/g이었다. 감국 추출물의 항산화력 측정에서 DPPH는 일반분쇄 추출물이 83.52%, 초미세분쇄 추출물이 92.37%이었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의 경우 일반분쇄, 미세분쇄 및 초미세분쇄 추출물 모두 90% 이상이었다. Antixodant protection factor(PF)의 경우 초미세분쇄 한 감국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1.82 PF와 2.16 PF의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TBARS도 일반분쇄 및 미세분쇄에 비해 초미세분쇄 한 감국 추출물에서 더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감국 추출물의 xanthin oxidase 저해효과는 초미세분쇄 물 추출물이 67.53%, ethanol 추출물이 83.45%였다. Xanthin oxidase 저해는 물 추출물보다는 ethanol 추출물이, 초미세분쇄 추출물이 일반 추출물에 비해 효소억제효과가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는 초미세분쇄 추출물의 경우 물 추출물에서 24%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ethanol 추출물은 34%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감국 추출물의 elastase 억제효과는 미세분쇄 추출물의 저해율 20.34%에 비하여 초미세분쇄 추출물의 억제율이 25.56%로 더 우수한 기능성을 나타내었다. Hyaluronidase의 경우 감국 물 추출물에서는 억제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ethanol 추출물에서만 35%정도의 염증억제효과를 보여주었다. 감국 추출물에 의해 대식세포에서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억제 효과를 Western blot analysis로 측정한 결과 감국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이 100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40%와 15%의 발현억제를 나타내었고,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초미세분쇄에 의한 감국 추출물은 일반분쇄 추출물에 비해 고혈압과 통풍억제 효과가 확연히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biological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incidicum Linne by ultrafine grinding for functional food source are examine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from Chrysanthemum incidicum Linne were the highest when extracted for 6 hr with 70% ethanol. Th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생리활성 탐색 및 기능성 연구의 일환으로써 분쇄에 따른 감국 추출물의 항산화, 고혈압억제, 통풍억제 및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을 검토하여 기능성 식품 등의 산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oon OH, Cho JS. 2007.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hat water extracts from Chrysanthemum indicum 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8. 

  2. Park JH, Lee JK. 2000. The encyclopedia of medicinal plants. Shinilbooks Pub., Seoul, Korea. p 8. 

  3. Woo KS, Yu JS, Hwang IH, Lee YR, Yoon HS, Lee J, Jeong HS. 2008.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flower of Chrysantheum indicum, C. morifolium, and C. zawadskii. J Korean Soc Food Sci Nur 37: 805-809. 

  4. Hong UC. 2002. Essential oil compositions Chrysanthemum boreale and Chrysanthemum indicum.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08-113. 

  5. Jang DS, Park KH, Lee JR, Ha TJ, Park YB, Nam SH, Yang MS.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Hemisteptia lyrata, Chrysanthemum zawadskii and Chrysanthemum boreal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176-179. 

  6. Nam SH, Choi SD, Choi JS, Jang DS, Choi SU, Yang MS. 1997. Effect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M. against Sarcoma 180 implanted in ICR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44-147. 

  7. Shin KH, Kang SS, Seo EA, Shin SW. 1995. Isolation of aldose reductase inhibitors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boreale. Arch Pharm Res 18: 65-68. 

  8. Yoshikawa M, Morikawa T, Murakami T, Toguchida I, Harima S, Matsuds H. 1999. Medicinal flowers. I. Aldose reductase inhibitors and three new eudesmane-type sesquiterpenes, kikanols A, B and C,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mum indicum L.. Chem Pharm Bull (Tokyo) 47: 340-345. 

  9. Yoshikawa M, Morikawa T, Toguchida I, Harima S, Matsuda H. 2000. Medicinal flowers. II. Inhibitors of nitiric oxide production and absolute stereostructures of five new germacrane-type sesquiterpenes, kikanols D, D monoacetate, E, F and F monoacetate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nun indicum L. Chem Pharm Bull (Tokyo) 48: 651-656. 

  10. Park SH, Hwang HS, Han JH. 2004.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function. Korean J Nutr 37: 364-372. 

  11. Park SY, Kim JW. 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I). Kor J Pharmacogn 23: 264-267. 

  12.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4. Fellegrini N, Ka R, Yang M, Rice-Evans C. 1999. Screening of diatry carotenoids-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benze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15. Andarwulan N,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 

  16.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 302-310. 

  17.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8. Stripe F,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244: 3855-3862. 

  19. Cannell RJ, Kellam SJ, Owsianka AM, Walker JM. 198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10-14. 

  20. Oh MH, Lee JE, Kim SY, Kim SY, Park KC, Yun HY, Baek KJ, Kwon NS, Kim DS. 2009. Screening system establishment for potential anti-wrinkle agents using human fibroblast elastase.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 19-25. 

  21. Moon TC, Park JO, Chung KW, Son KH, Kim HP, Kang SS, Chang HW, Chang KC. 1999.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flavonoid components of Lonicera japonica. Yakhak Hoeji 43: 117-123. 

  22. Reissig JL, Stominger JL, Leloir LF. 1995. A modified colorimetric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N-acetylamino sugars. J Biol Chem 217: 959-966. 

  23. Cho YJ, AN BJ. 2008.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Cheongmoknosang (Morus alba L.)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44-48. 

  24. Cho YJ.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Jatrorrhizine from Phellodendron amurense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J Appl Biol Chem 54: 114-119. 

  25. Cho CW, Kim SW, Rho JH, Rhee YK, Kim KT. 2008.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saponin and acidic polysaccharide based on the red ginseng particle size. J Ginseng Res 32: 179-186. 

  26. Cho YJ, Chun SS, Kwon HJ, Kim JH, Lee KH, An BJ, Choo JW. 2006. Inhibitory effects of water and 80% 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xanthin oxid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114-124. 

  27. Heo JC, Lee KY, Lee BG, Choi SY, Lee SH, Lee SH. 2010. Anti-allergic activities of ultra-fine powder from persimmon. Korea J Food Preserv 17: 145-150. 

  28. Kim NK, Kim MH, Yoon CS, Choi SW. 2006.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aulownia coreana Uyeki leaf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 241-247. 

  29. Kanda N, Koike S, Watanabe S. 2005. IL-17 suppresses TNF- $\alpha$ -induced CCL27 production through induction of COX-2 in human keratinocytes. J Allergy Clin Immunol 116: 1144-1150. 

  30. Byun BY. 2005. Effects of Inonotus obliquus ethanol extract on cytokine expression in Raw 264.7 cell. Kor J Herbology 20: 55-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