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선편이 파프리카의 미생물 생장에 있어서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병합처리의 효과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Fumaric Acid on the Microbial Growth in Fresh-cut Paprika (Capsicum annuum L.)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7 no.1, 2014년, pp.83 - 87  

정승훈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박승종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천호현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송경빈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선편이 파프리카의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의 병합 살균 처리의 효과와 그에 따른 미생물의 생장 변화를 분석하였다. 병합처리를 통해 파프리카에서의 총 호기성 세균과 접종된 L. monocytogenes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0.82, 1.21 log CFU/g의 감균 효과를 얻었다. 또한 저장 10일 후에는 미생물 수가 1.21, 2.10 log CFU/g 감소하였다. 파프리카 시료를 10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를 측정한 결과를 Gompertz model을 이용하여 최대성장속도와 유도기를 구함으로써 미생물의 생장 예측 모델에 적용하였다. 모델 식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R^2$, $A_f$, $B_f$, 등의 값을 계산한 결과, 모두 1에 가까운 결과가 나와 측정값과 예측된 값 사이의 적합성이 뛰어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의 병합처리는 신선편이 파프리카에 오염된 미생물 수를 감소시킬 뿐 만 아니라, 미생물의 최대성장속도를 감소시키고 유도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미생물 생육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ClO_2$) and fumaric acid on the microbial growth in fresh-cut paprika were investigated. After the combined treatment, the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inoculated Listeria monocytogenes in the paprika sample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저장온도, 포장조건, 살균처리 등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시간의 경과 따른 미생물 수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학적 모델이 개발되고 있는데(Huang, 2013), 아직 신선편이 파프리카 저장 중 미생물 수, 세척 또는 살균 처리 후의 미생물 수 예측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이 파프리카의 미생물 수에 있어서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의 병합 살균처리의 효과뿐만 아니라 미생물 생장 예측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Gompertz model(Lu 등, 2007)을 적용하여 저장 중 미생물 수 변화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이 파프리카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써,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의 화학적 처리를 병합시킨 허들 기술(Leistner, 2000)을 사용하여 각기 다른 살균작용으로 상승효과를 유도하였다. 이산화염소는 염소에 비해 약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선편이 파프리카의 살균 기술 중 각기 다른 살균작용으로 상승효과를 유도한 기술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이 파프리카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써,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의 화학적 처리를 병합시킨 허들 기술(Leistner, 2000)을 사용하여 각기 다른 살균작용으로 상승효과를 유도하였다. 이산화염소는 염소에 비해 약 2.
신선편이 채소가 빠른 품질저하 및 미생물 오염에 취약한 이유는? 신선편이 채소는 깎거나 자르는 등의 물리적인 가공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조직이 약해져 빠른 품질저하가 일어날 뿐만 아니라 미생물에 의한 오염에 취약하다(González-Aguilar 등, 2004). 특히 Listeria monocytogenes는 5oC 이하의 냉장온도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여 신선편이 농산물의 중요한 위해미생물로 알려져있다(Fang 등, 2013).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의 화학적 처리를 병합시킨 허들 기술에서 푸마르산의 효과는? 또한 식품의 유기물과 반응하여 trihalomethanes 같은 발암물질을 생성하지 않고, 식품의 풍미에도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과채류의 비가열 살균처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Keskinen 등, 2009; López-Gálvez 등, 2010). 또한, 푸마르산은 식품의 저장 중 pH를 낮춰 미생물 생육을 억제시키는 유기산의 한 종류로써, 이산화염소수와 병합처리 시 살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Kim 등, 2009a,b; Kim 등,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USA. 

  2. Artes F, Gomez P, Aguayo E, Escalona V, and Artes-Hernandez F (2009) Sustainable sanitation techniques for keeping quality and safety of freshcut plant commodities. Postharvest Biol Tec 51, 287-96. 

  3. Chun HH and Song KB (2013) The combined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fumaric acid, and ultraviolet-C with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enriched in CO2forinactivating preexisting microorganism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oculated on buckwheat sprouts. Postharvest Biol Tec 86, 118-24. 

  4. Chun HH, Park SJ, Jung SH, and Song KB (2013) Predicting and extending the shelf life of red cabbage sprou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518-23. 

  5. Corbo MR, Del Nobile MA, and Sinigaglia M (2006) A novel approach for calculating shelf life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106, 69-73. 

  6. Das BK, Kim JG, and Choi JW (2011) Efficacy of different washing solution and contact times on the microbial quality and safety of fresh-cut paprika. Food Sci Technol Int 17, 471-9. 

  7. Fang T, Liu Y, and Huang L (2013) Growth Kinetics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Spoilage Microorganisms in Fresh-Cut Cantaloupe. Food Microbiol 34, 174-81. 

  8. Gonzalez-Aguilar GA, Ayala-Zavala JF, Ruiz-Cruz S, Acedo-Felix E, and Dyaz-Cinco ME (2004) Effect of temperature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overall quality of fresh-cut bell peppers. LWT-Food Sci Technol 37, 817-26. 

  9. Howard LR, Smith RT, Wagner AB, Villalon B, and Burns EE (1994) Provitamin A and ascorbic acid content of fresh pepper cultivars(Capsicum annuum) and processed jalapenos. J Food Sci 59, 362-5. 

  10. Huang L (2013) Optimization of a new mathematical model for bacterial growth. Food Control 32, 283-8. 

  11. Keskinen LA, Burke A, and Annous BA (2009) Efficacy of chlorine,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solutions to decontaminate Escherichia coli O157:H7 from lettuce leaves. Int J Food Microbiol 132, 134-40. 

  12. Kim JY, Kim HJ, Lim GO, Jang SA, and Song KB (2010) The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treatment combined with UV-C on postharvest quality of 'Maehyang'strawberries. Postharvest Biol Tec 56, 254-6. 

  13. Kim YJ, Kim MH, and Song KB (2009a) Combined treatment of fumaric acid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UV-C irradiation to inactivate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oculated on alfalfa and clover sprouts. LWT-Food Sci Technol 42, 1654-8. 

  14. Kim YJ, Kim MH, and Song KB (2009b) Efficac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fumaric acid for inactivating pre-existing microorganism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broccoli sprouts. Food Control 20, 1002-5. 

  15. Lee JH, Chun HH, Oh DH, Park J, Won M, and Song KB (2012) Sensory and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Romain lettuce and kale affected by a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ultraviolet-C. Hort Environ Biotechnol 53, 387-96. 

  16. Lee Y, Howard LR, and Villalon B (1995)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 pepper (Capsicum annuum) cultivars. J Food Sci 60, 473-6. 

  17. Leistner L (2000) Basic aspects of food preservation by hurdle technology. Int J Food Microbiol 55, 181-6. 

  18. Lopez-Galvez F, Allende A, Truchado P, Martinez-Sanchez A, Tudela JA, Selma MV et al. (2010) Suitabilit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versus sodium hypochlorite as an effective sanitizer for preserving quality of fresh-cut lettuce while avoiding by-product formation. Postharvest Biol Tec 55, 53-60. 

  19. Lu ZX, Lu FX, Zhang LK, Bie XM, and Zou XK (2007) Predictive modeling and growth models of aerobic mesophilic bacteria on fresh-cut lettuce by hypochlorite-washing. J Food Safety 27, 157-68. 

  20. Oms-Oliu G, Rojas-Grau MA, Gonzalez LA, Varela P, Soliva-Fortuny R, Hernando MIH et al. (2010) Recent approaches using chemical treatments to preserve quality of fresh-cut fruit: A review. Postharvest Biol Tec 57, 139-48. 

  21. Posada-Izquierdo GD, Perez-Rodriguez F, Lopez-Galvez F, Allende A, Selma MV, Gil MI et al. (2013) Modeling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fresh-cut lettuce submitted to commercial process conditions: Chlorine washing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Food Microbiol 33, 131-8. 

  22. Vandekinderen I, Devlieghere F, Van Camp J, Kerkaert B, Cucu T, Ragaert P et al. (2009) Effects of food composition on the inactivation of foodborne microorganisms by chlorine dioxide. Int J Food Microbiol 131, 138-44. 

  23. Ye K, Wang H, Zhang X, Jiang Y, Xu X, and Zhou G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lecular predictive model to describe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vacuum-packaged chilled pork. Food Control 32, 246-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