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화기에 기록된 안료명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f Pigments name on Ceremonial writing of Youngsan Ritual Ceremony Buddhist Painting, BongJeongs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0 no.1, 2014년, pp.13 - 25  

송유나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김규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에 대한 비파괴성분 분석과 현미경 관찰을 통해 괘불에 채색된 안료의 화학적 성분 및 채색 기법을 해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괘불의 화기에 명시되어 있는 채색 재료의 명칭에 대한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백색 안료는 연백, 황색 안료는 석황, 유기염료, 적색 안료는 진사/주, 연단, 대자, 적색 염료을 사용하였으며, 녹색 안료는 석록 또는 녹염동광, 청색 안료는 석청, 쪽, 흑색은 먹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화기에 명시된 안료 이름은 주홍, 중청, 하엽, 황단, 황금 등으로 주홍은 진사(천연) 또는 주(인공), 중청은 석청, 하엽은 석록 또은 녹염동광, 황단은 석황, 황금은 금박인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rpreted the chemicals of the pigments and the coloring techniques employed on Youngsan Ritual Ceremony Buddhist Painting through a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and a microscopic observat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na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의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무기안료에 대한 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불화에 사용된 안료의 종류를 추정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화기에 적혀있는 안료명과의 비교를 통해 전통 안료의 정확한 명칭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 괘불도에 사용된 안료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 백색은 연분, 황색은 석황, 등황, 적색은 진사/주, 연지, 연단, 녹색은 석록 또는 녹염동광, 청색은 석청, 쪽, 흑색은 먹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바탕으로 괘불의 화기에 나타난 안료명과 비교를 통해 전통 안료명에 대한 명확한 성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괘불이란 무엇인가? 괘불(掛佛)은 야외 의식에 사용하는 불화로 괘불이라는 용어의 掛는 ‘끈 같은 것으로 매달아’ 또는 ‘∼에 매달아 놓은 것’ 이라는 의미로 괘불은 어디에 매달아 놓은 부처라는 뜻이 된다. 현존하는 괘불들은 조선 후기에 영산대회를 실행하면서 내걸었던 거대한 크기의 불화들이 대부분이다.
조선시대에는 안료를 무엇에 따라 명명하였는가? 우리나라 전통 안료는 색상별로 시기에 따라 다양한 명칭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남아있는 기록은 안료의 화학적 구성 성분 보다는 형태, 색상, 산지 등에 의해 명명되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현대에 들어 전통 안료에 대한 맥이 단절되고 전승되지 못하는 실정으로 이에 대한 연구도 많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화기는 불화의 제작 특성과 불교사상, 신앙 의례 등과 더불어 채색에 쓰이는 안료에 대한 기록을 확인 할 수 있는 이유는? 또한 이들 괘불은 화기(畵記)를 가지고 있다. 화기는 불화 자체에 남겨져 있는 글귀로 불화의 명칭, 조성시기, 봉안장소 등이 먼저 기록되고 연화질, 시주질, 산중질 등이 쓰여 있다(Lee, 2003 ; Kim, 2008). 따라서 화기는 불화의 제작 특성과 불교사상, 신앙 의례 등과 더불어 채색에 쓰이는 안료에 대한 기록을 확인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ong, M.S., 1969, Sanlimgyeobgjehaeje, Lee, C.N. translation, Hyunamsa, Original edition Lated Choseon dynasty. (in Korean with Chinenese) 

  2. Hwang, H.J., 2008, The Reconstrcuting Building and Painting Buddhist of Ansung Chiljang Temple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Master'e Thesis of Korea University of Korea, 2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im, G.H., and Kim., N.Y., 2010, Characteristic of pigments by Nondestructive analysis on Buddha painting in Yeongju Buseok temple, Report on restoration of Buddha painting in Yeongju Buseok temple , Gochang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65-97.(in Korean) 

  4. Kim, G.H., and Song, Y.N., 2010, Characteristic of pigments by Nondestructive analysis on Buddha painting in Namhae Yongmun temple, Report on restoration of Buddha painting and manufacture of storage in Namhae Yongmun temple, Namhae County and Gochang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55-66.(in Korean) 

  5. Kim, J.H., Korean Buddhist Painting, 2008, The World of Iridescent Buddhist Art.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ee, D.H., 1645, Jukchanghanhwa. (in Chinese) 

  7. Lee, J.A., 2005, Study on Obulhoi Gwaebulhwa of Chiljang Temple, Master's Thesis in Dongguk University, 65-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Y.S., 2004, Study on Gwaebultaeng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Doctor's Thesis in Dongguk University, 7-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Moon, S.Y., 2010, A Study if pigments applied on painitngs since the mid-JoseonDynasty, 8-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Sanlimgyengje, Book 3, Japbang(Chapter), Jomuk Pyeon (Part) 

  11. Seo, Y.G., Choseon Dynasty of Korea, Limwongyeongjeji. (in Chinese) 

  12. Song, E.S., 1997, Chengonggaemul, Choi. J. Translaton, Jeontong Munhwasa, Original edition 1637. (in Korean with Chinese) 

  13. Song, Y.N., Kim, J.H., Song, J.J., and Kim, G.H., 2013, a Colored Pigments Characteristics on Buddha Painting of the late Choseon Dynasty in Korea,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in East Asia proceeding, 206-2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