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도사 괘불탱의 채색상태 및 사용 안료의 과학적 분석
Diagnosis of Coloration Status and Scientific Analysis for Pigments to Used Large Buddhist Painting(Gwaebultaeng) in Tongdosa Templ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3 no.6, 2017년, pp.431 - 442  

이장존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안지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유영미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경민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양산 통도사 괘불탱의 손상 및 채색 상태 유형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비파괴 방법과 박락된 시편의 교차분석을 통한 채색 안료의 종류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괘불탱의 손상 유형을 확인한 결과, 꺾임과 접힘, 들뜸, 결실, 박락 등이 관찰되었다. 채색 안료 분석 결과, 적색 계열의 안료는 연단과 진사, 유기 안료가 사용되었고, 녹색 안료는 공작석과 염화동(녹염동광)을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석청과 군청, 백색 안료는 연백활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황색 안료는 연백과 유기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연백 위에 유기 안료를 덧칠하였으며, 흑색 안료는 먹을 사용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락된 시료를 수습하여 안료의 입자상태 분석을 통해 녹색안료의 결정형을 쉽게 구분할 수 있었으며, 진한청색과 연한청색도 마찬가지로 입자의 크기나 형태가 원료의 상이함에 따라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황색과 자색은 입자감이 없는 유기안료를 사용하였으며, 특이하게 어두운 적색은 주황색과 먹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coloring status and the degree of damage and the kinds of pigments used in large buddhist painting (Gwaebultaeng) of Tongdosa temple using a scientific analysis methods. It was observed that the physical damage patterns of the Gwaebultaeng were folding,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박락된 시편이나 괘불궤 안에서 수습한 시편 14점에 대해서 실험실에서 정밀분석을 실시하여 비파괴 분석 결과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중복된 색상과 결과를 제외하고 주요 색상에 대한 20지점의 표면 상태 및 주요 검출 원소를 소개하였으며(Figure 3), 수습한 시료 6점의 정밀 분석 결과에 관해 기술하였다.
  • 본 연구는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는 보물 제1351호 에 대해 과학적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보존 상태와 채색 안료 등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상 괘불의 보존․복원방안 연구 및 안료의 시대별 제작특성의 학술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괘불탱에 사용된 안료는 무엇으로 추정되는가? 두 번째로 안료의 주요 검출 원소와 결정 구조 분석을 통해 적색 계열의 안료는 연단과 진사, 유기 안료가 사용되었고, 녹색 안료는 공작석과 염화동(녹염동광)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청색 안료는 석청과 군청, 백색 안료는 연분과 활석, 황색 안료는 백색 안료(연분+활석)에 유기안료를 혼합하거나 연분 위에 유기 안료로 덧칠하였으며, 흑색 안료는 먹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괘불의 보존관리가 어려운 이유는? 괘불은 일반적으로 화기(畵記)가 남아있는데 불화의 명칭과 조성 시기 등이 기록되어 있어서 괘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92). 이러한 괘불은 무게나 크기 또는 보관 장소 등의 한계로 인하여 이동에 제약이 있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보존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야외법회나 전시 등 특정한 목적이 있을 때만 현괘(懸掛)되고, 그 외에는 괘불궤 속에 말려진 상태로 장기간 보관되므로 다른 문화재와 같이 자주 모니터링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괘불탱이란 무엇인가? 이 중에서 괘불탱(掛佛幀)은 불교에서 특별한 법회나 의식이 있을 때 사용되는 대형 족자 형태 불화이며, 직물 및 지류 등을 바탕재로 하여 그 위에 안료를 이용하여 채색한 것이다(Lee, 2003). 괘불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이 없어 그 시기를 추정하기는 어려우나 전각 내의 탱화를 야외로 옮겨 사용하던 것에서 의식용 불화를 전담하는 대형불화의 형식으로 발전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Jeong, 2001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7, Treasure No. 1351 Tongdosa Gwaebultaeng. http://www.cha.go.kr/ (August 23, 2017)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15, Research report of large buddhist painting: Gwaebultaeng Treasure No. 1351 Tongdosa Gwaebultaeng, 19-21. (in Korean) 

  3. Gettens, R.J. and Stout, G.L., 1966, Painting materials: A short encyclopaedia. Dover Publications, Inc., New York, 91-181. 

  4. Han, M.S. and Hong, J.O., 2003, A study on the analysis of ancient pigments - Focus on the buddha pigments at the Ssanggye temple. Conservation Studies, 24, 131-1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eong, J.M., 2001a, Materials and techniques of Korean painting, color and fill in our pictures. Hakgojae, 23-69. (in Korean) 

  6. Jeong, J.M., 2001b, A study on the Gaebul painting of the late Chosun dynasty.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21-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Y.S., 2003, Study on Gwaebultaeng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H.H., Park, J.H., Hong, J.O., Ham, M.S., Seo, M.S. and Heo, J.S., 2012, The analytical study of pigments on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 buddhist temple in Suncheon - Focusing on pigments of Virupaksha -.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ral Heritage Studies, 45, 122-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Mazzeo, R., Joseph, E., Minguzzi, V., Grillini, G. and Baraldi, P., 2005, Scientific investigations of the Tokhung-ri mural paintings of the Koguryo er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Koguryo Mural Paintings Conservation International Seminar, 3-17. (in Korean) 

  10. Moon, H.S., Hong, J.O., Han, M.S. and Hwang, J.J., 2004,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s for buddhist ceremonial paintings. Investigation report for hanging paintings of Korea II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78-210. (in Korean) 

  11. Moon, S.Y., 2010, A study of pigments applied on paintings since the mid-Joseon dynasty. Docto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60-2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92, Investigation report for hanging paintings of Korea I, 69-82. (in Korean) 

  13. Shin, E.J., Han, M.S. and Kang. D.I., 2005, A study on the red painting of stone monuments.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38, 3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Yoo, Y.M., Han, M.S. and Lee, J.J., 2014, Species and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for traditional red and green pigments used in temple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4), 3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Yu, H.S., Cheon, J.H. and Park, S.W., 2007, The buddhist hanging scroll at Buseoksa viewed from conservation science, Buddhist hanging scroll at Buseoksa. National Museum of Korea, 37-4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