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위느타리 신품종 '비산1호'의 육성 및 자실체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cultivar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Beesan No.1'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2 no.1, 2014년, pp.52 - 57  

신평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유영복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공원식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오연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위느타리(Pleurotus ferulae)의 품종 육성은 수량성이 높은 ASI 2803과 형태적으로 보기 좋은 국내 교배품종 ASI 2850의 단포자를 분리하여 교배하여 13개의 교잡주를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수량성이 높고 형태가 좋으면서 자실체 형성이 쉬운 균주 GW10-95를 선발하여 '비산1호'으로 명명되었다. 고유특성으로는 균사체 배양의 대선형성유무에서 모균주 ASI 2803 및 ASI 2850과 대치배양하였을 때 뚜렸한 대선을 형성하였다. 유전적으로는 RAPD primer를 이용하여 신품종 '비산1호'의 DNA 패턴은 모균주와는 다른 패턴을 형성하였다. 가변특성은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이며 pH의 범위가 pH5~8까지 넓게 형성되었다. 자실체 수량은 농가실증시험에서 245 g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길이는 ASI 2803보다 길고 굵어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기존의 아위느타리보다 수량성이 높아 큰느타리 대체품종 뿐만 아니라 수출 품종으로도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new cultivar of King oyster mushroom white variety (Pleurotus ferulae), GW10-95 as parental strain was selected by the method of Di-mon crossing between monokaryotic strain ASI 2850-24 derived from ASI 2850 and dikaryotic strain ASI 2803. The GW10-95(ASI 2803 ${\times}$ ASI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수집된 유전자원의 계통간 교잡을 통해 수량이 뛰어난 “비산1호”를 육성하고, 육성 경위 및 품종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위느타리의 분류학적 위치는? 아위느타리(Pleurotus eryngii var. ferulae)는 Ferulae속을 기주로 하는 이위측이 또는 아위고라고도 하는데 분류학적으로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균층강(Hymenomycetes), 산균목(Agaricales), 느타리과(Pleurotaceae), 느타리속(Pleurotus) 에 속하는 백색부후균의 일종으로서 남유럽, 중앙아시아,북아프리카(Lewinsohn et al, 2002) 등 초원지대 및 아열 대성 기후에 자생하고 건조한 스텝기후를 선호하는 전형 적인 초원형 부생균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자생하지 않는다(Hong et al, 2004a).
신품종 ‘비산1호’의 다른 품종과의 구별을 위해 DNA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모균주와 DNA밴드 패턴이 구별되는 밴드양상을 보이는 것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4와 같이모균주와 DNA밴드 패턴이 구별되는 밴드양상을 보였다.이러한 결과는 신품종 ‘비산1호’가 모본과 확연히 구별되어 신품종으로서 재배생산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아위느타리가 자생하는 지역의 기후적 특징은? 아위느타리(Pleurotus eryngii var. ferulae)는 Ferulae속을 기주로 하는 이위측이 또는 아위고라고도 하는데 분류학적으로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균층강(Hymenomycetes), 산균목(Agaricales), 느타리과(Pleurotaceae), 느타리속(Pleurotus) 에 속하는 백색부후균의 일종으로서 남유럽, 중앙아시아,북아프리카(Lewinsohn et al, 2002) 등 초원지대 및 아열 대성 기후에 자생하고 건조한 스텝기후를 선호하는 전형 적인 초원형 부생균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자생하지 않는다(Hong et al, 2004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am N, Shim MJ, Lee MW, Shin PG, Yoo YB, Lee TS. 2009. Phylogenetic relationship in different commercial strains of Pleurotus nebrodensis based on ITS sequence and RAPD. Mycobiology. 37(3):183-188. 

  2. Baldrian P, Gabriel J, Pospisck M. 1999. Improved isolated of nucleic acids from basidiomycetes fungi. Biotechniques. 27: 458-460. 

  3. Hong KH, Kim BY, Kim HK. 2004a.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 Pleurotus ferula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543-567. 

  4. Hong KH, Kim BY, Kim HK. 2004b.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Pleurotus ferula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5) :791-796. 

  5. Huang NL. 1996. Pleurotus eryngii var. nebrodensis. In: Huang NL (ed) Cultivation of 18 species of rare and delicious mushroom. Chinese Agriculture Press, Beijing, pp 17-21 

  6. Kawai G, Babasaki K, Neda H. 2008. Taxonomic position of Chinese Pleurotus "Bai-ling-Gu": it belongs to Pleurotus eryngii (DC.: Fr) Quel. And evolved independently in China. Mycoscience. 49:75-87. 

  7. Kim DS. 2002.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ferulea Lanzi. thesis for Ph.D. Chonbuk Univ. 

  8. Kim KH, Yoo YB. 2007. Breeding of the cultivar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and their construction of stabilized production system. The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p 96. 

  9. Korea Seed & Variety Service. 2013. Beesan No.1. Patent 2013- 203(2013.3.8.) 

  10. Korea Seed & Variety Service. 2013. Mihyang. Name Patent 2007- 1144(2007.10.25.) 

  11. Kwon KY, Cheong UJ. 2011. Mushmaru. Patent 10-2009- 0113872(2009.11.24.) 

  12. Lee DH, Koo CD, Who B C. Kang BG, Choi JS. 2009. Mycelial Culture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ferulae Strains. J Mushroom Sci Prod. 7(1):27-36. 

  13. Lewinsohn D, Wasser SP, Reshetnikov SV, Hadar Y, Nevo E. 2002. The Pleurotus eryngii species-complex in Israel: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a new taxon. Mycotaxon. 81:51-67. 

  14. Mao XL. 2001. Agaricales. In: Mao XL (ed) The macrofungi in China. Hen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Zhengzhou, pp 64-66. 

  15. Mu CJ, Cao YQ, Ma JY. 1987. A new variety of Pleurotus ferula and its culture characters. Acta Mycol Sin 6:153-156 

  16. Shin PG, Yoo YB, Kong WS, You CH, Oh SJ. 2004. Characterization of intraspecific hybrids by Di-mon crossing in Pleurotus eryngii. J Mushroom Sci Prod. 2(2):109-113. 

  17. The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orea Seed & Variety Service. 2012. Oyster Mushroom (Pleurotus (Fr.) Quel.), http://www.seed.go.kr. 

  18. Venturella G, Zervakis G, Rocca SL. 2000. Pleurotus eryngii var. elaeoselini var. nov. from Sicily. Mycotaxon. 76:419-42. 

  19. Venturella G. 2000. Typification of Pleurotus nebrodensis. Mycotaxon. 75:229-231. 

  20. Zhang JX, Huang CY, Ng TB, Wang HX. 2006. Genetic polymorphism of ferula mushroom growing on Ferula sinkiangensis. Appl Microbiol Biotechnol. 71:304-3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