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생활습관에 따른 체력과 골밀도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by Lifestyles on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2, 2014년, pp.447 - 453  

이순희 (삼육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경훈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유재현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생활습관에 따라 골밀도와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에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C보건소를 내원한 여성 331명을 대상으로 운동습관에 따라 비운동군, 저빈도운동군(주당 2회 이하 운동), 중정도운동군(주당 3회 이상)으로, 음주습관에 따라서는 비음주군과 저음주군(주당 2회 이하 음주), 고음주군(주당 3회 이상), 염분섭취수준에 따라 저염식이군, 중염식이군, 고염식이군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측정변인은 골밀도와 최대산소섭취량, 체지방률, 악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으로 하였으며,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운동습관에 따라서 one-way ANOVA를 각각 실시하였다. 운동습관이 많을수록 골밀도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음주습관과 염분섭취수준에 따른 골밀도 및 체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염분섭취가 많을수록 체중과 체지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은 골밀도와 체력유지에 도움을 주며, 고염식이는 체중증가의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is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induced exercise habits, drinking habits and salt consumption habits on middle-age women. Using a cross-sectional approach, we studied 331 middle-age women who visited the C heal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40∼60세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생활습관(운동, 음주, 식염섭취)에 따른 체력 및 골밀도를 분석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계획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생활습관에 따른 체력 및 골밀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운동습관에 따른 골밀도 및 최대산소섭취량에서는 운동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력에 구성되어지는 것은 무엇인가? 향상된 건강관련체력과 골밀도는 생활습관병을 예방하고 개선시켜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한다[9]. 체력은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으로 구성된 건강관련체력과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협응성 등으로 구성되어진 운동기술관련 체력으로 구분되는데, 40대 이상에서는 건강관련체력이 건강관리에 있어 중요하게 여겨진다[10].
신체활동의 장점은 무엇인가? 김소영[11]은 신체활동이 신체의 기능을 향상시켜 사망률이나 당뇨, 골다공증, 뇌졸중의 유병률을 감소시키며, 약물치료와 비교하여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부작용이 없으며 즐거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고 하였다. 대구지역의 성인 여성 202명을 대상으로 한 최미자 등[4]의 연구에 의하면 주 3회 30분 이상 운동을 하는 성인여성의 경우 척추골밀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하였으며, 박미자[12]는 폐경 후 여성들 중 전혀 운동을 하지 않은 집단에서 골다공증이 53.
고염식이는 골수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체중조절을 위한 부적절한 식이제한은 칼슘 섭취의 기회를 줄여 혈중의 적정 칼슘농도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골기질로부터 칼슘을 유리시켜 골소실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1일 2.3g의 나트륨 부하 시 40mg의 칼슘이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부적절한 다이어트와 염분 섭취는 골감소를 촉진 할 수 있다. 또한 고염식이는 소장에서 영양분의 흡수를 촉진시키는데, 많은 양의 영양분 흡수는 간에서 중성지방으로 전환하여 피하에 축적시켜 체지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un Ok Woo, Sangsoo Bae, Dong Hyun Kim, A Case-control Study on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Some Korean Outpatient Women of One General Hospital of Seoul.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J Prev Med Public Health, Vol. 26, No. 2, pp.320-336. 1995. 

  2. Wasnich, R. D. Bone mass measurements in diagnosis and assessment of therapy. Am J Med, Vol. 91, pp.54-58. 1991. 

  3. Sungsoo Kim, Samjun Lee, Youngpyo Kim, Yongseok Jee, Jaehyun Lee, Jaehyun Yoo, Chulwon Lee, Sunyoung Kang, Jungee Park, Exercise and Health. 21century Education. 2007. 

  4. Mi-Ja Choi, Un-Jung Lee, Yun-Jung Jung, Relations of Exercis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 Women. Journal of Exercise Nutrition & Biochemistry, Vol. 10, No.3, pp. 243-253, 2006. 

  5. Jaehyun Yoo, Eunkyung Park, Kwangwook Yoo, A study of bone mass &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induced exercise & drinking habits on pre & post-menopause of female. Exercise Science, Vol.20, No.1, pp. 27-34, 2011. 

  6. Young-Mee Kang,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of middle aged women. Ehwa University Graduate School, MS dissertation. 1999. 

  7. Wolff I, Croonenborg JJV, Kemper HCG, Kostense PJ, Twisk JWR.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programs on bone mass: A meta-analysis of published controlled trials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Osteoporos Int, Vol. 9, No.1, pp. 1-12, 1999. 

  8. Mitchell M. A, & Kettewell P.J. Physiological stress and welfare of broiler chickens in transit. poult sci, Vol. 77, No.2, pp. 1803-1814, 1998. 

  9. Duck-Hyun Nam, Evaluation of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Bone Density for Postmenopausal Women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ies Using Subjectiv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Korean society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Vol. 14, No.1, pp. 45-58, 2012. 

  10. Cheol-Ho Lee, Dae-Hyuk Choi,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for Bone Mineral Density, VO2max, Health related Fitness in Korean Middle-aged women. Kore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Vol. 44, No. 1, pp. 255-264, 2005. 

  11. So-Young Kim, The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by the IPAQ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7-2008.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8, No. 2, pp. 15-25, 2011. 

  12. Mie-Ja Park,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Nutrient Intake and Lifestyles of Postmenopausal Women in Chungnam.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3, No. 12, pp. 61-78. 2005. 

  13. Soon-keun Kim, A Study on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BMD) by Life Habit and Physical Condition .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Science, Vol. 29, No. 3, pp.177-184. 2006. 

  14. Fehily, A. M, Coles, R. J, Evans, W.D, & ELwood, P, Factors affecting bonedensity in young adults. Am J Clin Nutr, Vol. 56, pp. 579-586. 1992. 

  15. Spencer, H, Rubio, E, Indpreika, M., & Seitam, A. Chronic alcoholism frequently overlooked cause of osteopenia. Am J Med, Vol. 80, pp. 393-397. 1986. 

  16. Eung-Soo Kim, Tae-Yong Lee, Sok-Goo Lee, Man-Chul Park, In-Taek Hwang, Dong-Bae Lee, Effects of Alcohol Drinking on Bone Mineral Density and Serum Estradiol Level in Postmenopausal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Vol. 7, No. 2, pp. 1-22. 2001. 

  17. Rapuri, P. B, Gallagher, J. C, Balhorn, K.E, & Ryschon, K. L. Alcohol intake and bone metabolism in elder women. Am J Clin Nutr, Vol. 45, pp. 495-516. 2000. 

  18. Venkat, K. K, Arora, M. M, Singh, P, Desai, M, & Khatkhatay, I. Effect of alcohol consumptio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hormonal parameters in physically active male soldiers. Bone, Vol. 45, pp. 449-45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