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여성의 산전 우울 및 영향요인
Pregnant Women's Antenatal Depression and Influencing Factor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1, 2019년, pp.112 - 123  

고민선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지순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산학협력) ,  박세연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오지원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antenatal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Methods: With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a total of 396 pregnant women were recruited from a lo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 Measurements incl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Beck의 산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임신 중 위험요인[10,11]이나 임신 중 스트레스[5,13,14]를 바탕으로 임신 중 우울 영향요인을 탐색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내 임산부의 임신 중 우울 발생률을 확인하고 임신 중 우울군에 따라 임산부의 일반적 특성, 임신 중 스트레스, 임신 중 우울 예측 요인에 차이를 확인하고, 임신 중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파악하여 여성건강간호사가 임신 중 우울 예방을 위한 간호 실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신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 중 우울 위험도를 파악하고 임신 중 우울 예측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여성의 임신 중 우울의 빈도와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 예측 요인의 유의성과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산후 우울 이론을 개발한 Beck은 산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확인된 요인을 중심으로 산후 우울 예측 도구를 개발하였다[10,11]. 이 도구는 산후 우울을 예측하는 임신 중 요인과 산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Beck의 산후 우울 예측 도구 중 임신 중 예측 요인을 사정하여 이들이 임신 중 우울을 설명하는 요인인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임산부의 임신 중 우울 관련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문헌에서 제시한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산과적 요인을 관련 요인으로 탐색하였다[4-6,12,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 중 우울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일반인의 우울 발병률은 10–15%이며, 우울 성향이 있는 사람들의 자살률은 일반인에 비해 20배 이상 높고, 이는 개인의 삶의 질 저하는 물론 가족 및 사회 전체에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우울을 2030년까지의 질병 부담의 주요 요인으로 보고 있다[1]. 임신 중 우울은 모성과 태아 생존의 위험 요인인데, 임신 중 우울은 조산 및 저체중 출생 위험[2], 산후 우울 및 부모기 적응과 아동의 인지-정서 기능 발달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3]. 임산부에게 주로 사용되는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 우울 도구로 절단점 10점 이상을 기준으로 우울을 평가할 때 2008년 국내 연구에서는 임신 중 우울 비율은 26.
임신 중 우울을 유발하는 유의한 영향 요인은? 임산부의 임신 중 우울 발생률은 35.9%이고, 임신 중 우울의 유의한 영향 요인은 임신 중 불안 경험, 무직 상태, 낮은 자아존중감과, 높은 지각된 스트레스였다. 따라서 간호사는 임신 초기부터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신 중 우울을 주기적으로 모니터할 필요가 있고, 임신 중 우울 예측 요인과 스트레스 정도를 사정하여 산전 교육과 상담 시 우울 예방 교육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임신 기간에 따른 임신 중 우울 발생률 차이는? 0%로 나타나[5] 10년 동안 임신 중 우울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임산부 추적조사[6]에 따르면 임신 초기에 우울은 19.3%로 높았지만 임신이진행되면서임신 2기 13.8%, 3기 14.0%로감소하다가산후의우울은 16.8%로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90% 이상의 대부분의 성인들이 산후 우울은 특별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반면, 과반수 이상은 임신 중 우울이 정상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7] 임신 중 우울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우울 유병률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교육 및 상담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pine JP, Briley M. The increasing burden of depression.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2011;7(Suppl 1):3-7. 

  2. Liu C, Cnattingius S, Bergstrom M, Ostberg V, Hjern A. Prenatal parental depression and preterm birth: a national cohort study. British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6;123(12):1973-1982. 

  3. Brummelte S, Galea LA. Postpartum depression: etiology, treatment and consequences for maternal care. Hormones and Behavior. 2016;77:153-166. 

  4. Choi SK, Ahn SY, Shin JC, Jang DG. A clinical study of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9;52(11):1102-1107. 

  5. Kim MO, Kim YL. The mediating effect of fatig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stress and depression during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8;24(1):81-89. 

  6. Chung JH. Prevalence and risk factor of pregnancy complications. Report No. 2016-ER-6306-0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7. Highet NJ, Gemmill AW, Milgrom J. Depression in the perinatal period: awareness, attitudes and knowledge in the Australian population.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11;45(3):223-231. 

  8. Nonacs R, Cohen LS. Depression during pregnancy: diagnosis and treatment options.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2;63 Suppl 7:24-30. 

  9. Elek SM, Hudson DB, Fleck MO. Couples' experiences with fatigue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Family Nursing. 2002;8(3):221-240. 

  10. Beck CT. Revision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2;31(4):394-402. 

  11. Beck CT.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n update. Nursing Research. 2001;50(5):275-285. 

  12. Kim HW, Jung YY. Influencing factors on antenatal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2):95-104. 

  13. Kim YL, Chung CW. Factors of prenatal depression by stress-vulnerability and stress-coping model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1):38-47. 

  14. Kim YL, Hwang S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antenatal depression.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8;43(4):336-343. 

  15. Youn JH, Jeong IS.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225-235. 

  16. Kim YK, Hur JW, Kim KH, Oh KS, Shin YC.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version of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8;47(1):36-44. 

  17. Cox JL, Holden JM, Sagovsky R.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87;150(6):782-786. 

  18. Murray D, Cox JL. Screening for depression during pregnancy with the Edinburgh Depression Scale (EDDS).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1990;8(2):99-107. 

  19. Underwood L, Waldie K, D'Souza S, Peterson ER, Morton S. A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on antenatal and postnatal depressio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16;19(5):711-720. 

  20. Youn JH, Jeong IS. Predictive validity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revised. Asian Nursing Research. 2011;5(4):210-215. 

  21. Records K, Rice M, Beck CT.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revised.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7;15(3):189-202. 

  22. Beck CT, Records K, Rice M. Further development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revised.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6;35(6):735-745. 

  23. Cho H, Hyun M.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and self 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riticis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1;16(1):49-62. 

  24. Cohen S, Kamarck T,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83;24(4):385-396. 

  25. Kim MW, Yang HS, Kim JR. A study on agreements among screening tests and related factors with postpartum depression.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09;52(11):1133-1143. 

  26. Ashley JM, Harper BD, Arms-Chavez CJ, LoBello SG. Estimated prevalence of antenatal depression in the US populatio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16;19(2):395-400. 

  27. Husain N, Parveen A, Husain M, Saeed Q, Jafri F, Rahman R, et al. Prevalence and psychosocial correlates of perinatal depression: a cohort study from urban Pakista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11;14(5):395-403. 

  28. Ogbo FA, Eastwood J, Hendry A, Jalaludin B, Agho KE, Barnett B, et al. Determinants of antenatal depression and postnatal depression in Australia. BMC Psychiatry. 2018;18(1):49. 

  29. Biratu A, Haile D. Prevalence of antenatal depression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pregnant women in Addis Ababa, Ethiopia: a cross-sectional study. Reproductive Health. 2015;12:99. 

  30. Corbani IE, Rucci P, Iapichino E, Quartieri Bollani M, Cauli G, Ceruti MR, et al. Comparing the prevalence and the risk profile for antenatal depressive symptoms across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2017;63(7):622-6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