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Assessment System for Nursing Bachelor Degree Program Outcomes: Focused on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2, 2014년, pp.154 - 166  

김복남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순옥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core of accreditation for nursing education is to improve the ability and quality of graduates through a CQI system based on outcomes. For program outcomes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assessment, objec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최근 간호계에서 요구되는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성과에 따른 학습자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간호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에 대해 탐구해 보고,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편성 사례를 제시하였으며, 성과기반 교육과정의 달성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와 평가방법을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PO 12개 중 PO3에 대한 사례를 들어 평가도구와 채점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의 학습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관련 지식과 정보를 탐구하고 평가체계 개발 사례를 제시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PO3의 학습성과 개선은, 분석평가는 1년마다 PO3의 학습성과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하여 결과에 따라 달성목표를 상향조정 한다든지 또는 미달성 시 문제점 등을 찾아내어 차기 학기 교육과정 개선에 반영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개선은 목표달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에 집중되며, 목표를 달성한 경우에는 달성목표를 상향 조정하거나, 교육과정의 개편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상대평가는 선발주의적 관점에서 규준을 지향하는 평가(norm-referenced) 이며, 절대평가는 발달주의적 관점에서 준거를 지향 하는 평가(criterion-referenced)이다[6].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 학사학위 핵심역량 달성을 위한 PO의 수행평가를 위하여 이행수준, PC의 수행수준, 평가 도구 및 자율개선구조 등으로 구성한 준거지향 평가체계 모델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프로그램 학습성과의 평가체계 모델(안)과 PO3의 평가체계 사례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요구하는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에서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구성 및 운영하고 학습성과 평가체계를 개발하여 적용하기 위해 먼저 간호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하고, 성과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성과에 따른 학습자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교육평가의 주요목적은 교수학습의 개선과 이를 통한 학습효과의 극대화라 할 수 있다[9].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역시 프로그램의 개선과 이를 통한 졸업생의 능력 및 자질(품질)향상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의 개선은 학습성과(교육의 직접적 수행 목표), 교육과정, 교육평가의 개선을 의미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졸업생의 능력 및 자질 향상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기관은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논리적인 개념의 정립과 그에 따른 전반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교육기관이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영하였을 때에는 프로그램 실행평가를 통하여 프로그램 계획 단계에서 기대하고 결정한 사항이 어느 정도 충족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프로그램 단계별로 달성해야 하는 목표는 재학 중에는 교과과정과 외국어능력, 체험활동, 봉사활동 등의 비교과과정별 목표를 달성하고, 졸업 시에는 프로그램 학습성과를 달성하고, 졸업 후에는 프로그램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때 PO의 달성 여부를 학생의 교과목 학점 취득 및 이수여부 만으로 평가하기는 곤란하며, PO의 달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체계와 평가방법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육기관은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논리적인 개념의 정립과 그에 따른 전반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의 의미는 무엇인가?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는 학습자가 학생들이 무엇을 아는가의 문제보다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실제 삶과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념을 분석하여 실천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2]. 교육과정 구성방향이 "실무능력 강화"로 변화하면서 전통적인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서 배제되었던 실천, 일, 경험, 실천지 등을 주요개념으로 하는 역량기반교육으로 전환하고[3], 교육받은 결과로서 실제로 무엇을 행할 수 있는 능력에 관심을 두고, 수행을 강조함으로써 교육평가 방식 또한 그러한 역량을 평가하는 수행평가 (performace assessment)가 정착되고 있다[4].
최근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은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 최근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2주기 간호교육인증평가를 통하여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체계 적용을 요구하고 있다. 즉, 간호학 학사학위 교육기관은 학생들이 '일반간호사의 직접간호 수행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반드시 갖추어야 할 7가지의 핵심역량과,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학생이 졸업 시 갖추어야 할 능력과 자질을 의미하는 교육의 직접적 목표인 프로그램 학습성과(Program Outcome, PO) 12가지를 달성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학습성과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체계를 갖추어야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ong JE, Park JW, Yoo MS. Nursing program learning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system- centrally about improvement of applying skills of the nursing process based on critical thinking skills-the first time learning and research-based nursing curriculum presentation competition.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13. 

  2. Kim BK, Park JY.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of program outcomes.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08;11(4):46-57. 

  3. Park MJ. A new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008;26(4):173-197. 

  4. Baek SG. Principles of performance assessment. Seoul: Kyoyookbook; 2000. 

  5. Stiggins RJ. Student-centered classroom assessment.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1994. 

  6. Kim JG. Curriculum and assessment. Seoul: Dongmunsa; 2009. 

  7. McMillan JH.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3rd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2004. 

  8. Park YK.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se assessment and program objective evalu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Toward a practical evaluation of program objectiv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10;13 (4):87-92. 

  9. Yu I-K.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rial schemes of an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07;10(2):62-72. 

  10. Hur D. Case study with regard to ABEEK assessment process for program outcom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09;12(1):57-63. 

  11. Jin SH, Cho WS. A case analysis of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s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of South Korea and USA.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11;14(2):13-20. 

  12. Lee YT, Lim C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using reflection journ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13;16(3):42-50. 

  13. Besterfield-Sacre M, Shuman LJ, Wolfe H, Atman CJ, Mc- Gourty J, Miller RL, et al. Defining the outcomes: A framework for EC-2000. IEEE Transactions on Education. 2000;43 (2):100-110. http://dx.doi.org/10.1109/13.848060 

  14. Choi HS. Curriculum and education evaluation. Gyeonggi-do: Kyoyookbook; 2008. 

  15. Bloom BS, Engelhart MD, Committee of College and University Examin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New York: David McKay; 1956. 

  16. Kim JY, Kang SJ, Kang BS, Kim DI.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ystem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11;14(6):41-47. 

  17. Kim M, Yoon W, Kim D, Chung JT, Kim B. The study of assessment tool as an outcomes achievement: Part 3 Undergraduate thesi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07;10(1):97-108. 

  18. Goodrich H.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1997;54(4):14-17. 

  19. Marzano RJ, Pickering D, McTighe J. Assessing student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the dimensions of learning model.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3. 

  20. Arter JA, McTighe J. Scoring rubrics in the classroom: Using performance criteria for assessing and improving student performance. Thousand Oaks, CA.: Corwin; 2001. 

  21. Krathwohl DR, Bloom BS, Masia BB.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II affective domain. New York, NY: David McKay; 1963. 

  22. Arranz P, Ulla SM, Ramos JL, Del Rincon C, Lopez-Fando T. Evaluation of a counseling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staff.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5;56(2):233-239. http://dx.doi.org/10.1016/j.pec.2004.02.017 

  23. Kim IS, Jang KS, Lee MH, Ha NS, Hong YM, Lee TH. New nursing management. Seoul: Hyunmoonsa; 2009. 

  24. Stuart GW, Sundeen SJ. Principles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 2nd ed. Toronto: Mosby; 1983. 

  25. Yim HB, Koh OJ, Cho H, Kim HK, Chong SO, Shon JN. Study on perceived concept about therapeutic communication of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war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96;5(1):88-99. 

  26. George JB. Nursing theories: The base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2. 

  27. Hwang E-M. Non-verbal behavior for effective communication. Textlinguistics. 2008;24:313-335. 

  28. Ju JS.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hip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5. 

  29. Choi EY.(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skills group on high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ommunication ability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4. 

  30. Hyland T. Reconsidering competence.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1997;31(3):491-503. http://dx.doi.org/10.1111/1467-9752.000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