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urse Embedded Assessment 기반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체제 개발
Development of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Nursing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2, 2017년, pp.135 - 145  

남성미 (거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nursing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the developmental research method. Resul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문제목, 키워드, 초록, 원문을 읽은 후 본 연구의 목적을 만족하는 논문 9편을 선정하였고, 이들 논문의 참고문헌에 있는 3편의 논문을 추가하였다. 또한 CEA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는 미국 대학 홈페이지의 Office of assessment에 제시된 자료를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국내논문 7편, 해외논문 12편과 8개 대학의 Office of assessment의 자료이다.
  • 본 연구는 CEA를 적용한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 체계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Reeves (2000)의 개발연구 방법(Developmental Research Method)에 근거하여 설계되었다.
  • 본 연구는 지속적인 교육 개선과 평가가 용이한 CEA 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간호교육인증평가 담당자인 연구자가 교육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제적 맥락 안에서 논리적 절차에 따라 평가체계를 개발하였다.
  • 간호교육인증평가의 목적은 성과기반 교육체제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선을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다(KABONE, 2014). 본 연구는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개선과 교육의 질 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고자 CEA 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체계를 개발하였다. CEA는 프로그램학습성과를 교육과정에 연계하고 교수·학습활동과 평가를 통합하여 수업 환경 내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 결과물을 근거로 프로그램학습성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CEA 기반 평가체계를 개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학습자는 평가 대상이면서 동시에 평가자로서의 능동적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행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매 학기말 학생 스스로 자신의 학습성과 달성도를 확인하고 부족한 영역에 대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학생용 CQI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해 표준화된 루브릭을 갖춘 CEA 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체계를 논리적 절차에 따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가설 설정

  • • 셋째, 개발된 CEA 기반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체계는 타당하고 신뢰할만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과기반평가란? 교과기반평가(Course Embedded Assessment [CEA])는 교수·학습과정에서 코스 목적, 목표 및 학생들의 수행결과를 프로그램학습성과에 대응시켜 평가하는 것으로(Han, 2009), 미국의 각 대학이나 프로그램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CEA는 시험문제나 수행과제와 같은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개별 학생들의 평가를 실시한다는 점에서 기존 수업평가와 동일하나, 위 결과를 근거로 학생집단의 학습성과 성취수 준을 평가하는 이차적 과정이 추가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Gerretson & Golson, 2004; Han, 2009).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국내논문 7편, 해외논문 12편과 8개 대학의 Office of assessment의 자료인 이유는? 검색된 해외학술지 논문은 1999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것으로 이중에서 동일한 저자가 같은 주제로 여러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경우 하나의 논문만을 선정하였다. 논문제목, 키워드, 초록, 원문을 읽은 후 본 연구의 목적을 만족하는 논문 9편을 선정하였고, 이들 논문의 참고문헌에 있는 3편의 논문을 추가하였다. 또한 CEA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는 미국 대학 홈페이지의 Office of assessment에 제시된 자료를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국내논문 7편, 해외논문 12편과 8개 대학의 Office of assessment의 자료이다.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교육은 무엇으로 부각되었나?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교육은 지식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고 활용하는 핵심역량 개념이 키워드로 부각되었다.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간호사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학습 성과를 제시하여 성과기반 교육체제를 구축하는 동시에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선체제를 마련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ABONE],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2015, January). Standard of Accreditation Engineering Education (KEC2015). Retrieved January 6, 2015, from the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Web site: http://www.abeek.or.kr/intro/stendard 

  2.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08, October). The Essential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Retrieved July 6, 2014, from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Web site: http://www.aacn.nche.edu/education-resources/BaccEssentials08.pdf 

  3. Ammons, J. L., & Mills, S. K. (2005). Course Embedded Assessments for evaluating cross-functional integration and improv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ssues in Accounting Education, 20(1), 1-19. 

  4. Bae, H. S. (2008). Theory-driven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Seoul: Wonmisa. 

  5. Gerretson, H., & Golson, E. (2004). Introducing and evaluating Course Embedded Assessment in general education. Assessment Update, 16(6), 4-6. 

  6. Goodrich, H. (2000). Using rubrics to promote thinking and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57(5), 13-18. 

  7. Han, J. Y. (2009). The review on adaptation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for program outcome assess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12(3), 96-106. 

  8. Kang, J. C., & Lee, S. S. (2011). Design Based Research (DBR) as field research method to improve instructions.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Methodology, 23(2), 323-354. 

  9. Kim, B. K., & Park, J. Y. (2008).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of program outcomes. Journal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11(4), 46-51. 

  10. Kim, B. N., & Kim, S. O. (2014). A study on assessment system for nursing bachelor degree program outcomes: Focused on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1), 154-166. 

  11. Kim, C. S. (2007). A study of strategic approach for course and program outcomes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10(2), 73-86. 

  12. Kim, J. G. (2014). A development on the Course Embedded Assessment model for program outcome assess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Computer & Communication Research, 10(1), 67-79. 

  13. Kim, M. L., Yoon, W. Y., Kim, D. H., & Chung, J. T. (2007). Model development and strategy plan for implementing program outcomes and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10(4), 29-42. 

  14. Kim, S. (2012).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learning outcom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4(2), 89-92. http://dx.doi.org/10.3946/kjme.2012.24.2.89 

  15. Kim, S. H., Kim, S. Y., Seo, M. W., & Yang, G. S. (2009).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meta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Evaluation, 22(3), 557-585. 

  1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4, September).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esentation. Paper presented at the workshop of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Seoul. 

  17. Lee, J. Y. (2014, October). An application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to NCS based engineering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Seoul. 

  18. Mertler, C. A. (2001). Designing scoring rubrics for your classroom.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7(25), 1-10. 

  19. Moskal, B. M. (2000). Scoring rubrics: What, when and how?. Retrieved July 3, 2014, from http://PAREonline.net/getvn.asp?v7&n3 

  20. Moskal, B. M., & Leydens, J. A. (2000). Scoring rubric development: Validity and reliability. Retrieved July 3, 2014, from http://pareonline.net/getvn.asp?v7&n10 

  21. Polit, D. F., & Beck, C. T. (2006).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9(5), 489-497. 

  22. Reeves, T. C. (2000). Enhancing the worth of instructional technology research through "design experiments" and other development research strategie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Instructional Technology Research for the 21st Century, 27, 1-15. 

  23. Saaty, T. L. (1994). Highlights and critical points in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74(3), 426-447. 

  24. Shin, H. J., Kim, S. P., & Kang, W. H. (2008). An analysis for the Course Embedded Assessment tool to validate program outcom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7(4), 82-95. 

  25. Soung, Y. M. (2012). Development of a rubric for assessing students' science writ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6. Whitfield, D. (2003). From university wide outcomes to Course Embedded Assessment of CS1. Journal of Computing Sciences in Colleges, 18(5), 210-220. 

  27. Yoon, S. Y. (2013, July). Classification of learning outcomes in the field of nursing. Paper presented at the workshop of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Daejeon. 

  28. Yang, H. M., & Hwang, S. Y. (2014). Development of clinical scenarios and rubric for a program outcome-based evaluation for students' adult health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6(6), 653-667. http://dx.doi.org/10.7475/kjan.2014.26.6.653 

  29. Zimmaro, D. M. (2004). Developing grading rubrics. Retrieved October 12, 2014, from http://bsuenglish101.pbworks.com/f/rubricshandout.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