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유형과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rt Asset and Its Categories as Creative Place Asset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7 no.1, 2014년, pp.28 - 44  

정수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세계는 각각의 지역이 가진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여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조적 지역재생의 관점에서 장소마케팅과 장소자산이 어떠한 특징을 갖는가 하는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장소자산의 구성요소로서 '예술'을 독립된 콘텐츠로 인식하고, 새로운 지역재생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으로서 어떻게 도입되고 사용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소자산에 대한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예술자산의 개념을 새롭게 정리하였으며,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지역재생의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가능성과 활용가치를 검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era of glocalization arrives, each area of the world with the uniqueness trying to enhance competitive advantage. In this context, the 'Art asset' should be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Content' in terms of place marketing & creative regional regeneration. Especially in a place as a compon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문화와 예술을 분류하지 않고 하나의 구성요소로 인식하고, 도구적 관점에서 접근했기 때문에 주체를 중심으로 한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본 원고에서는 예술자산의 구성요소들을 장소마케팅적 관점에서 인위적으로 투입 가능한 하나의 독립된 콘텐츠로 인식하고자 한다. 이는 예술자산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각각을 지역 생태계내의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인정하고, 형태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 것이다.
  • 각각의 사례들은 지역의 특수한 상황에 적합한 각각의 유형으로 투입되었으며, 이로 인해 기대하는 가치 역시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들 사례는 모두 지역이 가진 한계(예를 들어, 부정적 이미지, 혹은 장소자산의 결여 등)을 극복하여 새로운 장소성의 구축을 통해 지역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데, 그 궁극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
  • 이상 분류한 각각의 예술자산의 유형은 지역의 상황에 따라 독자적으로 투입되기도 하지만, 각각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작용하며 지역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도 한다. 논의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 다음에서는 예술자산이 지역을 재생시킨 국내외 대표적인 몇몇 사례의 분석을 통해 지역재생에서 예술자산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는 예술자산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각각을 지역 생태계내의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인정하고, 형태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콘텐츠의 유형과 함께 이를 실행하는 주체의 문제도 역시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예술자산을 표 3과 같은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는 창조적 지역재생의 관점에서 장소마케팅과 장소자산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장소자산의 구성요소로서‘예술’을 독립된 콘텐츠로 인식하고, 새로운 지역재생의 수단으로서 어떤 형태로 도입되고 사용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러나 본 원고에서는 예술자산의 구성요소들을 장소마케팅적 관점에서 인위적으로 투입 가능한 하나의 독립된 콘텐츠로 인식하고자 한다. 이는 예술자산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각각을 지역 생태계내의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인정하고, 형태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콘텐츠의 유형과 함께 이를 실행하는 주체의 문제도 역시 살펴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장소 자산에 대한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예술자산의 개념을 제시하고 정리하였으며, 이를 도입 방식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한 각각의 유형은 해당 사례의 분석을 통해 다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창조적인 지역재생의 핵심요소로서 예술자산의 가능성과 활용가치를 검토하고자 한다.
  • 화천은 지리적 특성상 농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아니며, 특화할 수 있는 지역의 자산을 갖고 있지도 않다. 이에 화천군은 장소자산의 인위적 도입을 통하여 지역의 새로운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감성테마문학공원을 조성할 목적으로 이외수 작가에게 화천군으로 이주할 것을 제안하고, 작가가 거주하는 지역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을 펼쳐왔다. 이 사업은 강원 화천군 상서면 다목리 799 일대를 감성마을로 조성하고, 국내 최초의 살아있는 작가의 기념관, 작가의 작업실, 문학 산책로 등 다양한 관광콘텐츠를 구축하였으며, 작가 이외수를 지역의 홍보대사로 임명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의 이미지를 쇄신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 특히 장소자산의 구성요소로서‘예술’을 독립된 콘텐츠로 인식하고, 새로운 지역재생의 수단으로서 어떤 형태로 도입되고 사용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재생의 의미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초기 도시재생의 의미가 산업구조의 변화 및 신도시·신시가지 위주의 도시 확장으로 상대적으로 낙후되고 있는 기존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창출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하드웨어적 재생을 의미했다면, 점차 장소자산이나 문화 중심적 경쟁을 반영하는 연성적 지역 개발의 개념으로,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이 부각되고 있다(이정훈, 2008). 더 나아가 최근의 도시재생은 인터넷과 SNS의 발달과 함께 보다 인간중심 적인 측면에서 도시의 주체, 즉 소비자를 중심으로 하는 휴먼웨어와 콘텐츠웨어 중심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이병민·이원호·김동윤, 2013).
최근의 도시재생의 특징은? 초기 도시재생의 의미가 산업구조의 변화 및 신도시·신시가지 위주의 도시 확장으로 상대적으로 낙후되고 있는 기존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창출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하드웨어적 재생을 의미했다면, 점차 장소자산이나 문화 중심적 경쟁을 반영하는 연성적 지역 개발의 개념으로,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이 부각되고 있다(이정훈, 2008). 더 나아가 최근의 도시재생은 인터넷과 SNS의 발달과 함께 보다 인간중심 적인 측면에서 도시의 주체, 즉 소비자를 중심으로 하는 휴먼웨어와 콘텐츠웨어 중심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이병민·이원호·김동윤, 2013). 이와 같이 도시재생의 패러다임 변화는 비단 경제성장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도시 발전을 위한 전략적 측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창조적 재생은 어떤 노력이라고 볼 수 있는가? 창조적 재생이란, 주어진 조건과 현실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량을 발휘하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지역에 있는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약점을 강점으로 바꾸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강형기, 2010). 즉, 지역의 오래된 경관, 쓸모없이 버려진 장소를 무차별적으로 파괴하고 없애 새로운 건조환경(bulit environment)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을 위해 이를 새롭게 활용하는 것으로(공윤경·양홍숙, 2011), 물리적 환경을 문화적 환경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