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post-stroke depression (PSD) and cold, heat,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s. Methods : Twenty-eight PSD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STROKE center and measured with questionnaires for cold, heat, deficiency and excess patternva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PSD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BDI와 HDRS를 사용하였다. BDI와 HDRS는 점수가 높을수록 심한 우울증을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PSD의 한열허실 변증과 CAR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BDI와 HDRS를 이용하여 PSD의 정도를 측정한 후에 한열허실 변증과의 연관성도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표된 한열허실 변증방법21을 이용하여 PSD의 한열허실 변증을 분석하고 타액 cortisol의 CAR을 측정하여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열허실 변증과 우울증 척도로 널리 사용되는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22,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DRS)23 측정치의 상관관계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에서 입원 및 외래 치료를 받은 PSD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는 Brain CT 혹은 MRI에서 뇌졸중을 진단받은 환자로 기존 연구24를 근거로 하여 BDI가 14점 혹은 HDRS가 7점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IRB심의를 통과한 후 시행되었다(IRB 번호: 2011-3).
  •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에서 입원 및 외래 치료를 받은 PSD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는 Brain CT 혹은 MRI에서 뇌졸중을 진단받은 환자로 기존 연구24를 근거로 하여 BDI가 14점 혹은 HDRS가 7점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처리

  • 을 이용하여 PSD의 한열허실 변증을 분석하고 타액 cortisol의 CAR을 측정하여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열허실 변증과 우울증 척도로 널리 사용되는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22,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DRS)23 측정치의 상관관계도 분석하였다.
  • Cortisol의 총 분비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그래프 아래 전체의 넓이(Area under the curve with respect to the global, AUCg)를 계산하였고, Cortisol의 증가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증가한 부분의 그래프 아래 넓이(Area under the curve with respect to the increase, AUCi)를 계산하였다. 한열허실 변증과 CAR, BDI 그리고 HDRS 측정치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 측정은 측정자가 대상자와 대화하는 방법으로 시행하였으며, 숙련된 한의사 한 명이 시행하였다. BDI는 Beck의 기준22을 따랐으며, HDRS는 Hamilton의 기준23을 따랐다.
  • Cortisol의 수집은 각각 지급된 튜브에 타액을 뱉는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CAR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상직후, 기상 15분후, 기상 30분후, 기상 45분 후에 각각 타액을 수집하였다.
  • CAR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상직후, 기상 15분후, 기상 30분후, 기상 45분 후에 각각 타액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타액은 냉동보관 되었으며, 수집된 타액은 방사면역검정법(modified radioimmunoassay)25를 시행하여 cortisol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후 우울증(Post Stroke Depression, PSD)이란? 뇌졸중 후 우울증(Post Stroke Depression, PSD) 은 뇌졸중 후 기분장애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 나는 질환이다1. PSD의 증상은 주관적인 무력감, 기상시의 우울감, 불안한 예감, 자율신경 불안증상, 수면장애, 성욕감퇴 등으로 나타난다2.
한의서에서 설명하는 한열허실은 무엇인가? 황제내경을 포함한 다양한 한의서에서는 한열허실로 질병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17. 일반적으로 허증은 외사가 인체를 침범했을 때, 동원된 기혈의 힘이 약한 상태를 말하며, 실증은 인체를 침범한 외사가 강력하여 이에 동원된 기혈의 힘도 강한 상태를 말한다18. 또한 한증은 외부로부터 한사가 침입하거나, 신체의 양기가 부족해졌을 때 나타나며, 열증은 외부로부터 열사가 칩입하거나, 신체의 양기가 과항진되었을 때 나타난다19. 그러나 우울증에 관련된 변증20을 시도한 적은 있었지만, PSD를 따로 변증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아직 시도되지 않았다.
PSD의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졸중 후 우울증(Post Stroke Depression, PSD) 은 뇌졸중 후 기분장애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 나는 질환이다1. PSD의 증상은 주관적인 무력감, 기상시의 우울감, 불안한 예감, 자율신경 불안증상, 수면장애, 성욕감퇴 등으로 나타난다2. 각 연구에 따라 PSD에 대한 정의가 다르기 때문에 PSD의 빈도는 11~72%로 다양하게 나타나기도 하지만3, Kim4, King 등5은 PSD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종성. 뇌졸중후 발생하는 감정장애: 우울, 불안, 감정조절장애, 분노조절장애, 그리고 피로. 대한신경과학회지 2005;23(1):1-8. 

  2. Pohjasvaara T, Vataja R, Leppavuori A, Kaste M, Erkinjuntti T. Depression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oor long-term functional outcome post-stroke. Eur JNeurol 2001;8(4):315-9. 

  3. Robinson RG. Poststroke depression: prevalence, diagnosis, treatment, and disease progression. Biol psychiatry 2003;54(3):376-87. 

  4. Kim P, Warren S, Madill H, Hadley M.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Qual Life Res 1999; 8(4):293-301. 

  5. King RB.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1996;27(9):1467-72. 

  6. Kauhanen M-L, Korpelainen J, Hiltunen P, Brusin E, Mononen H, Maatta R, et al. Poststroke depression correlate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neurological deficits. Stroke 1999;30(9):1875-80. 

  7. Neau J-P, Ingrand P, Mouille-Brachet C, Rosier M-P, Couderq C, Alvarez A, et al. Functional recovery and social outcome after cerebral infarction in young adults. Cerebrovasc Dis 1998;8(5):296-302. 

  8. 이정훈, 박세진, 박상동. 뇌졸중후 우울증의 정도와 운동기능의 회복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2;13(2):101-6. 

  9. 한윤희. 임애진, 김성례, 김지영, 감경윤. 뇌졸중 후 우울변화가 인지 및 상지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11;19(2):39-51. 

  10. Born J, Hansen K, Marshall L, Molle M, Fehm HL. Timing the end of nocturnal sleep. Nature 1999;397(6714):29-30. 

  11. Clow A, Thorn L, Evans P, Hucklebridge F. The awakening cortisol response: methodological issues and significance. Stress 2004;7(1):29-37. 

  12. Pruessner J, Wolf O, Hellhammer D, Buske- Kirschbaum A, Von Auer K, Jobst S, et al. Free cortisol levels after awakening: a reliable biological marker for the assessment of adrenocortical activity. Life Sci 1997;61(26):2539-49. 

  13. Neidert S, Katan M, Fluri F, Morgenthaler N, Schuetz P, Mueller B, et al. Cortisol as a prognostic marker of outcome in acute ischemic cerebrovascular events. Endocrine Abstracts 2009;20;OC3.6. 

  14. Marklund N, Peltonen M, Nilsson T, Olsson T. Low and high circulating cortisol levels predict mortality and cognitive dysfunction early after stroke. J Intern Med 2004;256(1):15-21. 

  15. Reding M, Orto L, Willensky P, Fortuna I, Day N, Steiner SF, et al. Th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an indicator of depression in stroke but not a predictor of rehabilitation outcome. Arch Neurol 1985;42(3):209. 

  16. Saban KL, Mathews HL, Bryant FB, O'Brien TE, Janusek LW. Depressive Symptoms and Diurnal Salivary Cortisol Patterns Among Female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Biol Res Nurs 2012;14(4):396-404. 

  17. 안규석. 논단 : 한의학의 변증체계와 그 내용. 동의병리학회지 1987;2(-):6-11. 

  18. 테라사와카츠토시. 증례로 배우는 동서의학 초판: 군자출판사; 2005, p. 141-50. 

  19. 전국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편. 한방병리학. 서울: 일중사; 2004, p. 186-436. 

  20. 강형원, 장현호, 강인선, 문형철, 황유진, 유영수. 우울증(憂鬱症)의 한방적(韓方的) 이해(理解)에 관한 문헌고찰(文獻考察).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1;12(2):1-15. 

  21. 최산호, 임형문, 오재건, 임진영, 강형원, 김윤식, 등. 중풍 후 우울증의 변증안에 대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26(3):367-75. 

  22.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561-71. 

  23. Hamilton M.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 1960;23(1):56. 

  24. Youn J-I, Sung K-K, Song B-K, Kim M, Lee S.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Therapy on Post-Stroke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ifferent Degrees of Motor Function Impairments: a Pilot Study. J Phys Ther Sci 2013;25(6):725. 

  25. Ahn RS, Lee YJ, Choi JY, Kwon HB, Chun SI. Salivary cortisol and DHEA levels in the Korean population: age-related differences, diurnal rhythm, and correlations with serum levels. Yonsei Med J 2007 Jun 30;48(3):379-88. 

  26. Pruessner JC, Kirschbaum C, Meinlschmid G, Hellhammer DH. Two formulas for computation of the area under the curve represent measures of total hormone concentration versus timedependent change. Psychoneuroendocrinology 2003; 28(7):916-31. 

  27. 이상관.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Cortisol 분비의 일주기 차이 : 반복측정에 따른 Area Under the Curve 분석법 사용.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 31(4):829-36. 

  28. Stetler C, Miller GE. Blunted cortisol response to awakening in mild to moderate depression: regulatory influences of sleep patterns and social contacts. J Abnorm Psychol 2005;114(4):697. 

  29. Huber TJ, Issa K, Schik G, Wolf OT. The psychotherapy inpatients suffering from depression. Psychoneuroendocrinology 2006;31(7):900-4. 

  30. Roberts AD, Wessely S, Chalder T, Papadopoulos A, Cleare AJ. Salivary cortisol response to awakening in chronic fatigue syndrome. Br J Psychiatry 2004;184(2):136-41. 

  31. Kuehner C, Holzhauer S, Huffziger S. Decreased cortisol response to awakening is associated with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in a nonclinical sample of young adults. Psychoneuroendocrinology 2007;32(2):199-209. 

  32. Schulz P, Kirschlbaum C, Pruszner J, Hellhammer D. Increased free cortisol secretion after awakening in chronically stressed individuals due to work overload. Stress Med 1998;14(2):91-7. 

  33. Lieb K, Rexhausen JE, Kahl KG, Schweiger U, Philipsen A, Helhammer DH, et al. Increased diurnal salivary cortisol in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J Psychiatr Res 2004;38(6) :559-65. 

  34. Kirschbaum C, Wust S, Strasburger C. 'Normal' cigarette smoking increases free cortisol in habitual smokers. Life Sci 1992;50(6):435-42. 

  35. Balodis IM, Wynne-Edwards KE, Olmstead MC. The other side of the curve: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tressor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tress reactivity. Psychoneuroendocrinology 2010; 35(9):1363-73. 

  36. Wirtz PH, Elsenbruch S, Emini L, Rudisuli K, Groessbauer S, Ehlert U. Perfectionism and the cortisol response to psychosocial stress in men. Psychosom Med 2007;69(3):249-55. 

  37. Wolf OT, Fujiwara E, Luwinski G, Kirschbaum C, Markowitsch HJ. No morning cortisol response in patients with severe global amnesia. Psychoneuroendocrinology 2005;30(1):101-5. 

  38. 조혜숙, 배경미. 한열허실(寒熱虛實) 변증(辨證) 진단(診斷) 설문지의 개발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2):288-93. 

  39. Fekedulegn DB, Andrew ME, Burchfiel CM, Violanti JM, Hartley TA, Charles LE, et al. Area under the curve and other summary indicators of repeated waking cortisol measurements. Psychosom Med 2007;69(7):651-9. 

  40. Edwards S, Clow A, Evans P, Hucklebridge F. Exploration of the awakening cortisol response in relation to diurnal cortisol secretory activity. Life Sci 2001;68(18):2093-103. 

  41. Schmidt-Reinwald A, Pruessner J, Hellhammer D, Federenko I, Rohleder N, Schurmeyer T, et al. The cortisol response to awakening in relation to different challenge tests and a 12-hour cortisol rhythm. Life Sci 1999;64(18):1653-60. 

  42. Hellhammer J, Fries E, Schweisthal O, Schlotz W, Stone A, Hagemann D. Several daily measurements are necessary to reliably assess the cortisol rise after awakening: state-and trait components. Psychoneuroendocrinology 2007;32(1):80-6. 

  43. 유현희, 이혜정, 장은수, 최선미, 이성근, 이시우. 한열 변증 설문지 개발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6):1410-5. 

  44. 이정아, 이재혁, 임승만, 박상동. 뇌졸중 후 우울증과 일상생활 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0;11(2):149-54. 

  45. 나병조, 정재한, 최창민, 홍진우, 김태훈, 이준우, 등. 중풍 후 우울증에 대한 반하후박탕의 유효성 및 적응증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3) :563-74. 

  46. 선종주, 정세연, 황재웅, 김석민, 정재한, 최창민, 등. 중풍 후 우울증 환자에 대한 향기침요법의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2):480-7. 

  47. 제준태, 이상관. 뇌졸중 후 우울증에 대한 황련 해독탕 약침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한 임상 시험. 대한약침학회지 2010;13(2):67-73. 

  48. 최지혜, 김래희, 윤종민, 문병순. 뇌졸중 후 우울증 침치료의 임상연구에 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1;25(6):1119-28. 

  49. Han H, Wu LM, Yang WM, Wang MX, Tang JJ, Wang H, et 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ndromes in post-stroke depression. Zhong Xi Yi Jie He Xue Bao 2010; 8(5):427-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