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 연구의 핵심은 지역(region)에 대한 연구인데, 지역은 스케일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년 동안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대체적으로 볼 때, "대한지리학회지"는 "한국지역지리학회지"보다 지역 스케일이 큰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는 "대한지리학회지"보다 지역 스케일이 작은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다. 그리고 두 학회지의 논문 분석을 통하여, 읍 면 스케일(1)과 시 군 스케일(2)을 합친 비율이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그와 반대로 시 도 스케일(3), 시 도보다 큰 스케일(4), 국가 스케일(5)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지역 스케일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한국 지리학계의 발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지리학 연구의 핵심은 지역(region)에 대한 연구인데, 지역은 스케일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년 동안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대체적으로 볼 때, "대한지리학회지"는 "한국지역지리학회지"보다 지역 스케일이 큰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는 "대한지리학회지"보다 지역 스케일이 작은 논문을 상대적으로 많이 게재하였다. 그리고 두 학회지의 논문 분석을 통하여, 읍 면 스케일(1)과 시 군 스케일(2)을 합친 비율이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그와 반대로 시 도 스케일(3), 시 도보다 큰 스케일(4), 국가 스케일(5)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지역 스케일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한국 지리학계의 발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cale of region that has been cove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대한지리학회지)"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한국지역지리학회지)" over the last 20 years. Generally speaking, it was found that "The Journal of t...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cale of region that has been cove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대한지리학회지)"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한국지역지리학회지)" over the last 20 years. Generally speaking, it was found that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has published a relatively more number of articles with larger scale of region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has published more articles with smaller scale of region than the counterpart journal. Also,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utilizing both town/village scale(읍 면 스케일) and city/county scale(시 군 스케일) has increased continuously with marginal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combining single metropolis/province scale(시 도 스케일), multiple metropolis/province scale(시 도보다 큰 스케일), and state scale(국가 스케일) has decreased continuously in general. In sum,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useful data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the Korean geograph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the scale of region that has been cove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대한지리학회지)"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한국지역지리학회지)" over the last 20 years. Generally speaking, it was found that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has published a relatively more number of articles with larger scale of region and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has published more articles with smaller scale of region than the counterpart journal. Also,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utilizing both town/village scale(읍 면 스케일) and city/county scale(시 군 스케일) has increased continuously with marginal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the studies in both journals combining single metropolis/province scale(시 도 스케일), multiple metropolis/province scale(시 도보다 큰 스케일), and state scale(국가 스케일) has decreased continuously in general. In sum,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useful data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 to the Korean geographer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렇다면 실제로 한국 지리학계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은 어떤가? 얼마나 많은 지리학 논문들이 ‘community(지역사회)’ 혹은 ‘neighborhood(근린지구)’를 다루었는가? 그런데 한국 지리학계의 논문들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 지리학계의 지역 스케일을 고찰하는 논문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에서 다룬 지역 스케일을 다섯 단계로 나누어 연도별로 고찰한다. 두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① 1994년~1998년, ② 1999년~2003년, ③ 2004년~2008년, ④ 2009년~2013년의 네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두 학회지에 게재된 해당 논문 수를 양적으로 비교한다.
한국 지리학자들이 선호하는 지역 스케일은 어떤 스케일인가?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많이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한국 지리학계의 많은 학회지 중에서 두 학회지만 선택하여 분석하는데, 『대한지리학회지』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가장 오랜 전통있는 지리학회지이기 때문에, 그리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는 지역 연구를 표방하여 출범한 학회의 지리학회지이기 때문에 선택한다.
제안 방법
이 연구에서는 자연 현상만을 다루는 자연지리학 분야의 논문은 연구대상에서 배제하고, 인문 현상만을 다루거나 혹은 자연·인문 현상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논문만을 연구대상에 포함한다.
한국 지리학계의 많은 학회지 중에서 두 학회지만 선택하여 분석하는데, 『대한지리학회지』는 한국 지리학계에서 가장 오랜 전통있는 지리학회지이기 때문에, 그리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는 지역 연구를 표방하여 출범한 학회의 지리학회지이기 때문에 선택한다.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 중에서 지역을 다루는 논문을 조사하여 그 지역 스케일을 분석한다. 먼저 두 학회지의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은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하고, 두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가도 조사한다.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 중에서 지역을 다루는 논문을 조사하여 그 지역 스케일을 분석한다. 먼저 두 학회지의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은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하고, 두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가도 조사한다.
특정한 사례 지역을 설정한 지리학 논문의 경우에, 그 사례 지역을 연구지역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의 연구지역이 어떤 스케일에 해당하는지를 조사하고, 다섯 단계의 지역 스케일에 해당하는 논문의 수를 양적으로 고찰하면서 두 학회지의 차이점과 시대적 변화성을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대한지리학회지』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에서 다룬 지역 스케일을 다섯 단계로 나누어 연도별로 고찰한다. 두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① 1994년~1998년, ② 1999년~2003년, ③ 2004년~2008년, ④ 2009년~2013년의 네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두 학회지에 게재된 해당 논문 수를 양적으로 비교한다. 그리고 특정 연도를 기준으로 전후 연도를 포함한 통계를 분석하여 전체적인 추이를 분석한다.
두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① 1994년~1998년, ② 1999년~2003년, ③ 2004년~2008년, ④ 2009년~2013년의 네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두 학회지에 게재된 해당 논문 수를 양적으로 비교한다. 그리고 특정 연도를 기준으로 전후 연도를 포함한 통계를 분석하여 전체적인 추이를 분석한다.
이 장에서는 『대한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 년동안 게재된 논문의 지역 스케일을 조사하여 다섯 단계에 해당하는 논문의 수를 양적으로 고찰한다. 다섯 단계의 지역 스케일에 해당하는 논문 수를 집계하고 또한 전후 연도를 포함하는 논문 수를 집계한다.
이 장에서는 『대한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 년동안 게재된 논문의 지역 스케일을 조사하여 다섯 단계에 해당하는 논문의 수를 양적으로 고찰한다. 다섯 단계의 지역 스케일에 해당하는 논문 수를 집계하고 또한 전후 연도를 포함하는 논문 수를 집계한다. 또한 지역 스케일의 변화를 ① 1994년~1998년, ② 1999년~2003년, ③ 2004년~2008년, ④ 2009년~2013년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의 해당 논문 수를 양적으로 비교한다.
다섯 단계의 지역 스케일에 해당하는 논문 수를 집계하고 또한 전후 연도를 포함하는 논문 수를 집계한다. 또한 지역 스케일의 변화를 ① 1994년~1998년, ② 1999년~2003년, ③ 2004년~2008년, ④ 2009년~2013년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의 해당 논문 수를 양적으로 비교한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표 2>, <표 3>, <표 4>, <표 5>와 같다.
이 장에서는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의 연구지역 스케일을 조사하여 다섯 단계에 해당하는 논문의 수를 양적으로 고찰한다. 다섯 단계의 지역 스케일에 해당하는 논문 수를 집계하고 또한 전후 연도를 포함하는 논문 수를 집계한다.
다섯 단계의 지역 스케일을 과 같이 표로 작성하여 『대한지리학회지』 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의 지역 스케일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섯 단계의 지역 스케일을 <표 1>과 같이 표로 작성하여 『대한지리학회지』 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의 지역 스케일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섯 단계의 지역 스케일에 해당하는 논문의 수를 양적으로 고찰하면서 두 학회지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이 어떻게 다른 가를 비교하였고, 또한 두 학회지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도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 논문의 지역 스케일을 ① 읍·면 스케일, ② 시·군 스케일, ③ 시(특별시와 광역시)·도 스케일, ④ 시(특별시와 광역시)·도보다 큰 스케일, ⑤ 국가 스케일의 다섯 단계로 구분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 논문의 지역 스케일을 ① 읍·면 스케일, ② 시·군 스케일, ③ 시(특별시와 광역시)·도 스케일, ④시(특별시와 광역시)·도보다 큰 스케일, ⑤ 국가 스케일과 같이 다섯 단계로 구분하였다.
성능/효과
경북 문화산업 특성과 정책을 분석하여 경북문화콘텐츠지원센터 설립계획을 평가한 논문(이철우·최정수, 2008)의 경우, 경북지역에 관한 자료를 많이 수집하여 분석하였지만 연구의 핵심은 안동에 건립할 문화콘텐츠지원센터에 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의 연구지역은 경북지역이 아니라 안동시에 건립할 문화콘텐츠지원센터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와 같이 한국 지리학계의 논문 중에는 특정 지역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지만, 그 특정 지역을 연구지역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첫째, 읍·면 스케일(①)과 시·군 스케일(②)이큰 진폭을 가지면서도 점차로 증대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시·도 스케일(③), 시·도보다 큰 스케일 (④), 국가 스케일(⑤)을 합친 비율을 보면,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지역지리학회지』는 『대한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상대적으로 작은 논문을 좀 더 많이 게재하는 경향이 있고, 『대한지리학회지』 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상대적으로 큰 논문을 좀 더 많이 게재 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학회지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이 다소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지역지리학회지』는 『대한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상대적으로 작은 논문을 좀 더 많이 게재하는 경향이 있고, 『대한지리학회지』 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보다 지역 스케일이 상대적으로 큰 논문을 좀 더 많이 게재 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학회지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이 다소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즉, 두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읍·면 스케일(①)과 시·군 스케일(②)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시·도 스케일(③), 시·도보다 큰 스케일 (④), 국가 스케일(⑤)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즉, 두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읍·면 스케일(①)과 시·군 스케일(②)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시·도 스케일(③), 시·도보다 큰 스케일 (④), 국가 스케일(⑤)을 합친 비율은 약간의 진폭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대한지리학회지』 의 시·도 스케일(③) 비율보다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의 시·도 스케일(③) 비율이 상당히 높다.
둘째, 『한국지역지리학회지』의 읍·면 스케일(①) 비율은 23.3%를 차지하지만, 『대한지리학회지』의 읍·면 스케일(①) 비율은 12.2%에 불과하다.
첫째, 『대한지리학회지』의 국가 스케일(⑤) 비율은 33.4%를 차지하지만, 『한국지역지리학회지』의 국가 스케일(⑤) 비율은 14.0%에 불과하다. 국가 스케일(⑤)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는 논문 비율을 보면, 『한국지역지리학회지』의 비율보다는 『대한지리학회지』의 비율이 훨씬 더 높다.
후속연구
지리학 이외의 다른 학문 분야에서는 흔히 지역을 연구 이전에 주어진 조건으로 간주하지만, 지리학자들은 지역의 상이성과 지역 설정 자체를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간주한다. 이처럼 지역이 지리학 연구의 핵심이라면, 한국 지리학계의 주요 두 지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지역 스케일을 고찰해보는 연구는 바람직한 지역 스케일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한국 지리학계의 발전을 위해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의 연구지역은 서울·인천·경기·충북·충남에 걸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근래 한국 지리교육학계에서는 초·중· 고등학생의 수준에서 수용하기 쉬운 지역 스케일을 지역학습에 적절한 지역 스케일이라고 제안하는 몇 편의 논문들이 발표되었지만, 이러한 논문 들은 오로지 지역학습의 바람직한 대상을 전제로 발표되었을 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한지리학 회지 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의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이 연구가 한국 지리학자들에게 지역 스케일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앞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뿐만 아니라 다른 지리학 학술지 논문의 지역 스케일에 대해서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한지리학 회지 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의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 스케일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이 연구가 한국 지리학자들에게 지역 스케일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앞으로 『대한지리학회지』 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뿐만 아니라 다른 지리학 학술지 논문의 지역 스케일에 대해서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미국·영국· 프랑스·독일·일본 등의 선진국 지리학자들이 선호하는 지역 스케일과 한국 지리학자들이 선호하는 지역 스케일을 비교해보는 연구도 한국 지리학계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가 될 수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등질지역은 무엇인가?
지리학자들은 지역을 등질지역(homogeneous region) 과 기능지역(functional region)으로 분류한다. 등질지역은 ‘어떤 사상(事象)이나 성질이 유사한 지역 범위’, 즉, ‘하나 또는 여러 가지 현상이 비슷하거나 같게 분포함으로써 성격을 같이 하는 공간적 범위’를 나타내고, 기능지역은 ‘어떤 중심지의 기능이 미치는 범위’, 즉, ‘일정한 기준에 의해 서로 밀접한 공간 관계를 갖는 범위’를 나타낸다. 등질 지역은 균등지역(uniform region)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기능지역은 결절지역(nodal regi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 지리학의 연구대상이 되는 지역의 스케일을 어떻게 나누었는가?
지리학의 연구대상이 되는 지역(region)은 그 스케일이 매우 다양하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지리학계 논문의 지역 스케일을 ① 읍・면 스케일, ② 시・군 스케일, ③ 시(특별시와 광역시)・도 스케일, ④시(특별시와 광역시)・도보다 큰 스케일, ⑤ 국가 스케일과 같이 다섯 단계로 구분하였다. 다섯 단계의 지역 스케일을 <표 1>과 같이 표로 작성하여 대한지리학회지 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에 지난 20여 년 동안 게재된 논문의 지역 스케일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기능지역은 무엇인가?
지리학자들은 지역을 등질지역(homogeneous region) 과 기능지역(functional region)으로 분류한다. 등질지역은 ‘어떤 사상(事象)이나 성질이 유사한 지역 범위’, 즉, ‘하나 또는 여러 가지 현상이 비슷하거나 같게 분포함으로써 성격을 같이 하는 공간적 범위’를 나타내고, 기능지역은 ‘어떤 중심지의 기능이 미치는 범위’, 즉, ‘일정한 기준에 의해 서로 밀접한 공간 관계를 갖는 범위’를 나타낸다. 등질 지역은 균등지역(uniform region)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기능지역은 결절지역(nodal regi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