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Disabled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4 no.1, 2014년, pp.71 - 84  

한은정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이정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권진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신슬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이정석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nformal care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placing a significant burden on the lives of family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disabled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가족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주부양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장기요양 수급자를 지속적으로 돌볼 수 있도록 부양에 대한 부담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장기요양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수급자의 가족주부양자에 초점을 두고, 배경 및 상황 특성, 스트레스 요인 특성, 대처 자원 특성 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이후 변화된 부양 특성을 분석모형에 포함하여 부양부담감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개발하는 데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 2008년 7월 도입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여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10]. 즉 독립적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뿐만아니라 그 가족원들이 부양부담에서 벗어나 경제활동 및 사회활동에 전념할수있도록 하는 것도 본 제도의 기대효과중의 하나이다.
가족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란 무엇인가? 가족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란 가족원이 환자 간호에 따른 자신의 상황을 얼마나 고통스럽게 인식하는가 하는 정도로, 다시 말하면 가족이 환자를 돌보는 결과로서 인지한 정서적 안녕, 신체적 건강, 사회적 생활, 경제상태의 정도로 정의된다[1]. 가족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은 건강문제가 발생하거나 우울을 경험하거나 스트레스를 통해 나타나고[2], 이로 인해 가족주부양자의 생활만족도를 떨어뜨리거나 우울을 증가시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2008년 7월 도입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여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10]. 즉 독립적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뿐만아니라 그 가족원들이 부양부담에서 벗어나 경제활동 및 사회활동에 전념할수있도록 하는 것도 본 제도의 기대효과중의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Zarit SH, Todd PA, Zarit JM. Subjective burden of husbands and wives as caregivers: a longitudinal study. Gerontologist 1986;26(3):260-266. 

  2. Campbell RL. Predictors of caregiver burden over a three month period following hospitalization of the patient [dissertation]. Philadelphia (PA):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1. 

  3. Amirkhanyan AA, Wolf DA. Caregiver stress and noncaregiver stress: exploring the pathways of psychiatric morbidity. Gerontologist 2003;43 (6):817-827. 

  4. Lee YM, Yoo IY. Care burden, depression and social welf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family caregiver for demented elderly. J Korean Gerontol Soc 2005;25(3):111-121. 

  5. Lee CJ, Lim BW. Effect on the life's quality of the long-term care service delivery system: focused on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the disabled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J Korean Policy Stud 2011;11(2):265-283. 

  6. Lee HJ. Caregiver burden in caring for elders before and after long-term care service in Korea. J Korean Acad Nurs 2012;42(2):236-247. 

  7. Lee YS, Suh MJ. A study on the family burden of chronically ill patient at hospital. Seoul J Nurs 1994;8(1):17-32. 

  8. Han SE.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utilizing the nursing home.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1;12(3):582-588. 

  9. Savundranayagam MY, Montgomery RJ, Kosloski K. A dimensional analysis of caregiver burden among spouses and adult children. Gerontologist 2011;51(3):321-331. 

  10.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Law No. 12067 (Aug 13, 2013). 

  11. Kim CW. Performance analysis of implementing long-term care insurance: social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insurance. Seoul: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Ministry of Heath and Welfare; 2011. 

  1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level of awareness, satisfaction and opinion on long-term care insurance research repor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13. Seomun JH, Jung YJ. A qualitative study on caregivers' burden experiences for the long-term care qualified elderly. J Soc Sci Stud 2011;22(4):3-30. 

  14. Han EJ, Lee JS, Kwon JH.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 financial burden of out-of pocket expenses for the nursing home service under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Korean J Health Policy Admin 2012; 22(3):383-402. 

  15. Park CJ, Lee SJ. The family caregivers' stress pathways by types of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J Korean Gerontol Soc 2011;31(3):831-848. 

  16. Kim YT, Cho DH. Effect on the care giving burden in terms of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of client's family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cused on the home based service. J Welf Aged 2012;56:115-136. 

  17. Lee YW, Kim HS, Cho IS. Factors influencing care burdens of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who request dementia domiciliary welfare servic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8;15(3):274-283. 

  18. Hannum Rose J, Bowman KF, O'Toole EE, Abbott K, Love TE, Thomas C, et al. Caregiver objective burden and assessments of patient-centered, family-focused care for frail elderly veterans. Gerontologist 2007;47(1): 21-33. 

  19. Lee EH. Impact of family function in the burden of the caregiving elderly dimentia patients. J Welf Aged 2003;19:173-197. 

  20. Lee JY, Kim YA. Relationship between family burden,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aregiver.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9;20(1):41-48. 

  21. Song MY, Choe GG. Buffering effects community-based service on primary care-giver's burden for senile dementia elderly. J Korean Gerontol Soc 2007;27(4):987-1014. 

  22. Son YJ, Kang KS, Kim SJ. The home care need and the burden of a primary family care giver with senile dementia pati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0;11(2):423-440. 

  23. Han GH, Son JY. The effects of motives for caregiving and family relationship quality on caregiving burden/reward of the spouse caregivers of frail elderly in Korea: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Fam Cult 2009;21(2): 81-109. 

  24. Nakagawa Y, Nasu S. Association between components of family caregivers' sense of burden and types of paid care services provided in Japan. Aging Ment Health 2011;15(6):687-701. 

  25. Lee SB. Effect on burden of families taking care of families who use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master's thesis]. Seoul: Dongguk University; 2012. 

  26. Pearlin LI, Mullan JT, Semple SJ, Skaff MM.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Gerontologist 1990; 30(5):583-594. 

  27. Schumacher KL, Dodd MJ, Paul SM. The stress process in family caregivers of persons receiving chemotherapy. Res Nurs Health 1993;16 (6):395-404. 

  28. Lee J, Friedmann E, Picot SJ, Thomas SA, Kim CJ.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Caregiving Appraisal Scale: a translation and validation study. J Adv Nurs 2007;59(4):407-415. 

  29. Lawton MP, Moss M, Hoffman C, Perkinson M. Two transitions in daughters' caregiving careers. Gerontologist 2000;40(4):437-448. 

  30. Bien B, Wojszel B, Sikorska-Simmons E. Rural and urban caregivers for older adults in Poland: percept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f caregiving. Int J Aging Hum Dev 2007;65(3):185-202. 

  31. Bedard M, Koivuranta A, Stuckey A. Health impact on caregivers of providing informal care to a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 rural versus urban settings. Can J Rural Med 2004;9(1):15-23. 

  32. Kivett VR, Stevenson MI, Zwane C. Very-old rural adults: functional status and social support. J Appl Gerontol 2000;19(1);58-77. 

  33. Dwyer MC, Miller RW. Using GIS to assess urban tree canopy benefits and surrounding greenspace distributions. Urbana: International Society of Arboriculture; 1990. 

  34. Lee MA. Rural-urban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caregivers' burden of impaired elders in Korea. J Welf Aged 2009;44:71-88. 

  35. Arai Y, Kumamoto K, Washio M, Ueda T, Miura H, Kudo AK. Factors related to feelings of burden among caregivers looking after impaired elderly in Japan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Psychiatry Clin Neurosci 2004;58:396-402. 

  36. Yoon HS, Cha HB, Cho YS. Factors affecting family caregivers' burden and depression to elderly with stroke. J Korean Gerontol Soc 2000;20 (2): 137-153. 

  37. Kim KS, Kim BJ, Kim KH, Choe MA, Yi MS, Hah YS, et al. Kwon SH. Subjective and objective caregiver burden in Parkinson's Disease. J Korean Acad Nurs 2007;37(2):242-248. 

  38. Seol Y. Analysis on recent trend of polarization and inequality: approach using household demographics. Seoul: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09. 

  39. Sung MJ, Kim JM. Income inequality and redistribution policies based on sectoral studies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2004. 

  40. Rhee, KO, Lee, MJ. A study on caregiving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impaired elderly. J Korean Gerontol Soc 2000;20(2):215-228. 

  41. Han GH, Lee SY.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n burden of spouse caregiver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J Korean Gerontol Soc 2009;29(2):683-699. 

  42. Bang SH, Jang HJ.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with a chronic disease and burden on family care-givers. J Korean Acad Nurs 2007; 37(1):135-144. 

  43. Monahan DJ, Hooker K. Health of spouse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the role of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Soc Work 1995;40(3): 305-314. 

  44. Kumamoto K, Arai Y, Zarit SH. Use of home care services effectively reduces feelings of burden among family caregivers of disabled elderly in Japan: preliminary results. Int J Geriatr Psychiatry 2006;21(2):163-170. 

  45. Lim JS, Hyun KR, Lee HY. Informal care activation plan for the development of long-term care systems.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46. Han EJ, Lee JM, Cho JW, Kim DH. Improvement plan on supportive system of long-term care services utilization.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12. 

  47. Kwon JD. Research on the demented elderly in Korea. Seoul: Hong Ik Je Publisher;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