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수종인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8.5 시나리오에 따른 임목 재적의 시 공간적 변이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규모의 예측을 위해 5차임상도와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기후와 공간의 변이가 임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기상 및 지형인자를 반영한 생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시, 도별 산림통계와 모형 결과를 비교한 결과, 비교적 높은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를 고려하였을 때, 소나무림의 임분 재적은 현재 $131m^3/ha$에서 2050년에는 $212.42m^3/ha$까지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현재의 기후가 유지될 경우에는 $221.92m^3/ha$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일부 고산지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나무림의 생장률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특히 해안지역과 남부지역에서 생장률의 감소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후변화가 소나무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시 공간에 따라 정량화 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후변화 적응을 고려한 산림관리 및 시업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spatio-temporal variation of forest tree volume based on the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8.5 scenario, targeting on Pinus densiflora forests which is the main tree species in South Korea. To estimate nationwide scale, $5^{th}$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수종인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RCP8.5 시나리오에 따른 산림 재적의 시·공간에 따른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개체목의 재적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직경과 수고 정보가 필요하며, 이를 공간적으로 확장하여 임분 규모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임목의 임분 평균 크기, 면적, 밀도(Stand density, n/ha)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5차 임상도 정보를 통해 현재 소나무림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생장량을 예측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미래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임분 재적의 시·공간적인 변이를 예측하는데 있다.
  • 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임상도의 범주형 자료를 적용한 것과 검증 자료의 한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도 자료 중, 임분 재적 추정에 적용되는 영급, 경급, 소밀도 자료는 모두 범주형 자료로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중간값을 이용하여 임분 재적을 산출하였으며, 이는 모형의 오차율을 높이는데 기여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구축된 통계자료의 한계로 모형의 검증에 사용된 표본의 개수가 제한적이었으며, 이는 추후 지역별 산림자료가 더 세밀하게 구축된다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미래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임분 재적의 시·공간적인 변이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한 자료는?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미래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임분 재적의 시·공간적인 변이를 예측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NFI자료와 임상도 자료를 사용했으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8.5 시나리오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임분의 공간적, 기후적 변이를 고려하기 위해 지형과 기상 인자를 포함하는 생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우리나라의 소나무림이 감소하고 있는 원인은? 우리나라의 산림의 주요 임상 중 하나인 소나무림은 전체 산림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으나,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과 가뭄 스트레스, 산불·산사태 등의 산림재해, 소나무병충해(재선충, 솔껍질깍지벌레, 솔잎혹파리)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계속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2; Kim et al., 2011; Song et al.
산림은 육상생태계에 어떤 기여를 하는가? , 2012). 산림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육상생태계 유일한 탄소흡수원(Carbon sink)으로써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CO2를 흡수(Sequestration)하고 바이오매스 형태로 저장 (Storage) 함으로 기후변화 영향 저감과 완화에 기여하지만, 다른 생태계와 마찬가지로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받는다(Dale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yun, J., Lee, W.K., Kim, M., Kwak, D.A., Kwak, H., Park, T., Byun, W.H., Son, Y., Choi, J.K., Lee, Y.J., Saborowski, J., Chung, D.J., and Jung, J.H. 2013. Radial growth respons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to topographic and climatic factors in South Korea. Journal of Plant Ecology 6(5): 380-392. 

  2. Byun, J.G., Lee, W.K., Nor, D.K., Kim, S.H., Choi, J.K., and Lee, Y.J.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radial growth and topographic and climate factors in red pine and oak in central regions of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9(6): 908-913. 

  3. Choi, S., Lee, W.K., Kwak, D.A., Lee, S.C., Lim, J.H., and Saborowski, J. 2012. Predicting forest cover changes in future climate using hydrological and thermal indices in South Korea. Climate Research 49: 229-245. 

  4. Chun, J.H., Lim, J., and Lee, D.K. 2007. Biomass Estimation of Gwangneung Catchment Area with Landsat ETM+ Image. Journal of Korea Forest Society 96(5): 591-601. 

  5. Dale, V.H., Joyce, L.A., Mcnulty, S., Neilsom, R.P., Ayres, M.P., Flannigan, M.D., Hanson, P.H., Irland, L.C., Lugo, A.E., Peterson, C.J., Simberloff, D., Swanson, F.J., Stocks, B.J., and Wotton, B.M. 2001. Climate Change and Forest Disturbances. Journal of BioScience 51(9): 723-734. 

  6. Fang, J., Lechowicz, M.J. 2006. Climatic limits for the present distribution of beech (Fagus L.) species in the world. Journal of Biogeography 33: 1804-1819. 

  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Pachauri, R. K. and Reisinger, A.(Eds.). IPCC, Geneva, Switzerland. pp. 104. 

  8. Jung, J.H., Heo, J., Yoo, S.H., Kim, K.M., and Lee, J.B. 2010.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 in Danyang Area using kNN Algorithm and Landsat TM Seasonal Satellit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8(4): 119-129. 

  9. Kim, C.S., Park, J.H., and Jang, D.H. Changes of the Forest Types by Climate Changes using Satellite imagery and Forest Statistical Data: A case in the Chungnam Coastal Ares,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4): 523-538. 

  10. Kim, E.S., Kim, K.M., Lee, J.B., Lee, S.H., and Kim, C.C. 2011. Spatial upscaling of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Korea Forest Society 100(3): 455-465. 

  11. Kim, J.W. and Lee, D.K. A study o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vegetation using regional climate mode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9(5): 32-40. 

  12. Kim, M.I., Lee, W.K., Park, T.J., Kawk, H.B., Byun, J.Y., Nam, K.J., Lee, K.H., Son, Y.M., Won, H.K., and Lee, S.M. 2012. Developing dynamic DBH growth prediction model by thinning intensity and cycle: based on yield table dat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2): 266-278. 

  1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Carbon emission factor of major species for forest greenhouse gas inventory. 

  14. Korea Forest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1. Korea Forest Service, Seoul, 2011. p. 32. 

  15. Korea Forest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2. Korea Forest Service, Seoul, 2012. pp. 33-211. 

  16. Kwak, D.A., Lee, W.K., Son, Y., Choi, S., Yoo, S., Chung, D.J., Lee, S.H., Kim, S.H., Choi, J.K., Lee, Y.J., and Byun, W.H. 2012. Predicting distributional change of forest cover and volume in future climate of South Kore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8(2): 105-115. 

  17. Lee, M.A., Lee, W.K., Son, Y., Cho, Y.S., Song, C.C., Kim, T.M., Yu, L., and Tao, B. 2007. Sensitivity and Adaptability of Vegetation and Soil Carbon Storage to Climate Change with CEVSA Model in Korea. Proceedings of 2007 A3 Foresight Program, A3 Foresight Program. p. 24. 

  18. Oberhuber, W., Stumbock, M., and Kofler, W. 1998. Climatetree-growth relationships of Scots pine stands (Pinus sylvestris L.) exposed to soil dryness. Trees 13: 19-27. 

  19. Park, H.J., Shin, H.S., Roh, Y.H., Kim, K.M., and Park, K.H. 2012. Estimating Forest Carbon Stocks in Danyang Using Kriging Methods for Aboveground Biom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 16-33. 

  20. Song, K.M., Kim, C.S., Moon, M.O., and Kim, M.H. 2012. A change and distribution in Pinus densiflora forest of Mt. Halla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21(1): 41-47. 

  21. Yu, H., Lee, W.K., Son, Y., Kwak, D.A., Nam, K., Kim, M, Byun, J., Lee, S., and Kwon, T. 2013. Estimating carbon stocks in Korean forests between 2010 and 2110: a prediction based on forest volume-age relationships.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9(2): 105-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