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단결석과 애착유형이 중학생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폭력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chool Truancy and Attachment Types on School Bully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Physical Bullying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7 no.2, 2014년, pp.90 - 99  

김희영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조미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s of and the association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ttachments to parents, peers, and teachers, truancy, and school bullying. Methods: Data on middle school student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Children and Youth Survey 2010 (N=2,968). The inde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애착 유형과 학교 무단결석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0년 한국 아동 · 청소년 통합조사」로 실시한 과제 중 우리나라 중 · 고교생과 학부 모의 가족의식 · 가정생활의 실태를 파악하여 청소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 2010년 통합조사의 기초분석데 이터를 이용하여 중학생들의 애착유형, 학교 무단결석, 학교폭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애착 유형, 학교 무단결석, 학교폭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lweus는 학교폭력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학교폭력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어서 한 가지로 정의할 수 없으나, 학교폭력 연구의 대표학자인 Olweus (2003)는 힘의 불균형 상태에서 어느 한 개인이나 집단이 희생자 한명을 상대로 지속적으로 혹은 반복적으로 조롱, 괴롭힘, 별명 부르기, 때리기, 밀기 등과 같은 부정적 행위로 학교폭력을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2013년 7월 30일 개정)에 의하면 학교폭력을 학교 내 ․ 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 ‧ 유인, 명예훼손 ‧ 공갈, 강요 ‧ 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 ‧ 폭력 정보 등에 의한 신체 ‧ 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에서는 학교폭력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학교폭력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어서 한 가지로 정의할 수 없으나, 학교폭력 연구의 대표학자인 Olweus (2003)는 힘의 불균형 상태에서 어느 한 개인이나 집단이 희생자 한명을 상대로 지속적으로 혹은 반복적으로 조롱, 괴롭힘, 별명 부르기, 때리기, 밀기 등과 같은 부정적 행위로 학교폭력을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2013년 7월 30일 개정)에 의하면 학교폭력을 학교 내 ․ 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 ‧ 유인, 명예훼손 ‧ 공갈, 강요 ‧ 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 ‧ 폭력 정보 등에 의한 신체 ‧ 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정의를 살펴볼 때 학교폭 력의 유형은 정신적인 피해를 주는 정신적 폭력과 신체적 가해를 주는 신체적 폭력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부모애 착, 교사애착, 또래애착은 학교폭력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특히, 가정과 학교환경의 보호요인으로 알려진 부모애 착, 교사애착, 또래애착은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졌다(Choi & Cho, 2013; Kim, 2005). 부모 애착의 경우 부모의 공격적인 양육태도, 부모와의 갈등수준과 자녀간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학교폭력 가해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Shin, 2006), 학생이 인지하는 교사의 지지와 교사에 대한 친밀감이 높을수록 학교폭력이나 비행수준이 낮다고 보고하였다(Do, 2007). 또래애착의 경우 애착의 대상인 친구의 유형에 따라 학교폭력에 정적인 또는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는데, 즉 비행 청소년이거나 공격적인 친구를 애착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경우 친구의 비행행동을 모방 하여 반사회적 행동이나 학교폭력의 경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Kim,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udit Commission. (1990). Children in mind. London; Audit: Commission. 

  2. Baker, M. L., Nady Sigmon, J., & Nugent, M. E. (2001). Truancy reduction: Keeping students in school.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3. Bengtson, V. L., Cutler, N. E., Mangen, D. J., & Marshall, V. W. (1985). Generations, cohorts, and relations between age groups. In R. H. Binstock & E. Shanas (eds.),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2nd ed). NY: VNR. 

  4. Bowen, G. L., & Chapman, J. M. (1996). Poverty, neighborhood danger, social support, and the individual adaptation among at-risk youth in urban areas. The Journal of Family Issues, 17 (5), 641-666. 

  5. Catalano, R. F., & Hawkins, J. D. (1996). The social development model: A theory of antisocial behavior. In J. D. Hawkins (Ed.), Delinquency and Crime Current Theories (pp.149-19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Chang, H. N., & Romero, M. (2008). Present, engaged, and accounted for: The critical importance of addressing chronic absence in the early grades. National Center for Children in Poverty Mailman. School of Public Health at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NY. 

  7. Choi, J. Y. (2012). The effect of the parent attachment in adolescence on experiencing both victimization and aggression of violence: The protective effect of peer attac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8. Cho, M. K., & Kim, H. Y.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truancy and adolescent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 (6), 103-125. 

  9. Cho, Y. J. (2002). College students's attitude to parent caregiv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Choi, S., & Cho, Y. I. (2013). Influenc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n bystanders' roles in school bullying among Korean-Americ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4 (1), 37-81. 

  11. Choi, S. N. (1995). Human behavior theories and social work practice. Gyeonggi-do: Hanshin University Publisher. 

  12. Colorado Foundation for Families and Children. (2007). National center for school engagements: truancy toolkit.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www.ncjrs.gov/pdffiles1/pr/217271.pdf 

  13.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2004). Five year strategy for children and learners. London: DfES. 

  14. Do, G. B. (2007).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chool violence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Gyeongsan. 

  15. Henry, K. L., & Huizinga, D. H. (2007). School-relate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truancy among urban youth placed at risk. Journal of Primary Prevent, 28, 202-519. 

  16. Hwang, J. A. (2010).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School Violence: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t Icheon-si and Yeoju-gu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17. Kagan, J., & Gall, S. (eds.)(1998). Gale Encyclopedia of Childhood and Adolesce. New York: Gale Research. 

  18. Kim, C. K., & Rim, K. R. (2010). Causes of school violence and solutions. Law Study, 38, 173-198. 

  19. Kim, J. C., Cho, H. B., & Choe, W. H. (2010).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ger and the experience of bully. The Journal of Yeollin Education, 18 (1), 185-209. 

  20. Kim, J. Y., & Jo, H. B. (2010). Gender-specific theory through empirical testing of factors of girls' delinquency based on feministic perspectiv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0 (1), 275-285. 

  21. Kim, M. J. (2001). Factors influencing on school viol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0 (2), 241-253. 

  22. Kim, S. A. (2005). The effect of stress and attachment on offending and victimization experience among adolescents: A focus on dual experience group and general experience group.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6 (2), 5-36. 

  23. Kim, S. A.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 school, peers-related variables, and school viol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4 (1), 101-126. 

  24. Kim, T. G.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school life adjustment on the bullying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11 (4), 50-73. 

  25. Kim, Y. H., & An, S. M. (2008). A study 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family conflict, adolescent depression and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 (2), 1-31. 

  26. Korea Youth Violence Prevention Foundation. (2012). 2012 National survey report on school violence in Korea. Seoul: Author. 

  27. Lee, E. M. (2000). Study on main factors of juvenile violence in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8. Lee, G. S. (2006). The effects of stres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extracurricular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9. Lee, J. W. (2010). Korean survey on the familial consciousness of youth and parents in 2010 (NYPI Youth Report III-2010).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30. Lee, J. W., Oh, S. K., & Kim, E. J. (2010). A study on family rituals and family life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NYPI Youth Report 24).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31. Lee, M. J.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cademic stress,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their adap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32. Lindstadadt, M. A. (2005). Employing mediation to approach truants. Family Court Review, 43 (2), 303-322. 

  33. Loeber, R., & Farrington, D. P. (1998). Serious and violent juvenile offenders: Risk factors and successful interventions. Thousand Oaks. CA: Sage. 

  34. Ministry of Education. (2009). Educational Statistics. Retrieved May 3, 2010, from http://kess.kedi.re.kr/index 

  35. Nam, J. S. (2007).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attitude toward supporting adolescent's parents between generations & variables on their decision to support par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Seosan. 

  36. Olweus, D. (2003). A Profile of Bullying at School. Educational leadership, 60 (6), 12-17. 

  37. Park, J. K. (2009).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uvenile delinquency to parents and friends affection for children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38. Sampson, R. (2004). The Problem of Bullying in Schools.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39. Shin, H. K. (2006). A Study on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aggressive victims, passive victims, and bullies. Studies on Korean Youth, 17 (1), 297-323. 

  40. Shin, H. S. (2005). The effect of individual, family, and peer and school variable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er violence typ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2 (4), 123-149. 

  41. Shin, H. S. (2005). The influence of family structure variables and family violence variables on hidden delinquency committed by students. Family and Culture, 17 (2), 63-88. 

  42. Um, M. Y. (2000). Identifying the predictor variables of juvenile delinquency for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program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2 (8), 254-289. 

  43. Ministry of Education. (2012). The survey study of character education. Retrieved June 8, 2014 from http://m.mest.go.kr/web/100026/ko/board/view.do?bbsId294&pageSize10¤tPage121&encodeYnY&boardSeq32716&modeview 

  4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 School bullying Retrieved August 2, 2014,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query%ED%95%99%EA%B5%90%ED%8F%AD%EB%A0%A5%EC%98%88%EB%B0%A9+%EB%B0%8F+%EB%8C%80%EC%B1%85%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x32&y8#liBgcolor0 

  45. Yang, J. D., & Park, Y. K. (2009). Impact of Family and Peer Support on Self-Efficacy and Juvenile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 (4), 211-2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