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증에 대한 예측모형
A Prediction Model for Depression Risk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7 no.2, 2014년, pp.317 - 330  

김재용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  민병주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  이재훈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  장재승 (분당서울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  하태현 (분당서울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  하규섭 (분당서울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  박태성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극성 장애조증 삽화(manic episode)와 주요 우울삽화(major depressive episode)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주요 우울삽화 시기에는 양극성 장애 환자들의 810%가 자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양극성 장애 환자를 치료할 때,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사법은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밀턴 우울평가척도 점수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선형혼합효과모형(linear mixed effects model)과 전이모형(transition model)을 제시하였다. 예측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을 방문하여 초진일 당시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가 8 점 이상인 환자들의 정보를 사용하였다. 첫 조사시점부터 6개월, 12개월 후 세 차례에 걸쳐 관측된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선형혼합효과모형과 전이모형에 적합시켰다. 그 결과를 토대로 특정시점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예측하였다. 첫 조사시점부터 6개월, 12개월 후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사용해 선형혼합효과모형과 전이모형에 적합 시켰다. 이 모델들을 이용해 조사시점부터 24개월 후의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점수를 예측한다. 이 예측모델은 조사된 24개월 후의 점수와 예측된 24개월의 후의 점수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polar disorder is a psychopathy characterized by manic and major depressive episode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degree of depression when treating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because 810% of bipolar patients commit suicide during the periods in which they experience major depressive ep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Ham-D점수를 이용하여, 양극성 장애 환자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방법은 제시된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양극성 장애 환자의 우울증상 척도를 예측하는 통계모형을 만들고자 한다. 환자의 첫 방문과 6개월 뒤의 두 번째 방문, 12개월 뒤의 세 번째 방문에 시행했던 Ham-D 검사를 바탕으로, 초진일로부터 24개월 뒤의 Ham-D 검사 수치를 선형혼합효과 모형(linear mixed effects model)과 전이모형(transition model)을 통해 예측할 것이다.
  • 그러나 과거의 자료들을 통해 모형이 잘 적합되었다 할지라도, Ham-D점수 예측의 정확성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시된 열 가지 모형에 기반하여 초진일로부터 24개월 뒤의 Ham-D점수를 예측해 보고, 29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실제 Ham-D점수와 비교해봄으로써, 모형을 평가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사법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양극성 장애 환자를 치료할 때,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사법은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밀턴 우울평가척도 점수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선형혼합효과모형(linear mixed effects model)과 전이모형(transition model)을 제시하였다.
양극성 장애란? 양극성 장애는 조증 삽화(manic episode)와 주요 우울삽화(major depressive episode)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주요 우울삽화 시기에는 양극성 장애 환자들의 810%가 자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극성 장애 환자를 치료할 때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양극성 장애는 조증 삽화(manic episode)와 주요 우울삽화(major depressive episode)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주요 우울삽화 시기에는 양극성 장애 환자들의 810%가 자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양극성 장애 환자를 치료할 때,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kaike, H. (1974).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19, 716-723. 

  2. Berk, M., Malhi, G. S., Cahill, C., Carman, A. C., Hadzi-Pavlovic, D., Hawkins, M. T., Tohen, M. and Mitchell, P. B. (2007). The Bipolar Depression Rating Scale (BDRS): its development, validation and utility, Bipolar Disorders, 9, 571-579. 

  3. Bland, R. C. (1992). Psychiatric Disorders in America: The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 Journal of Psychiatry and Neuroscience, 17, 34. 

  4. Bowden, C. L. (2001). Strategies to reduce misdiagnosis of bipolar depression, Psychiatric Services, 52, 51-55. 

  5. Bonney, G. E. (1987). Logistic regression for dependent binary observations, Biometrics, 951-973. 

  6. Davis, C. S. (2002). Statistical Methods for the Analysis of Repeated Measurements, Springer texts in statistics, Springer, New York. 

  7. Demyttenaere, K. and De Fruyt J. (2003). Getting what you ask for: on the selectivity of depression rating scales,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72, 61-70. 

  8. Diggle, P. (2002). Analysis of Longitudinal Data, Oxford University Press, USA. 

  9. Doehrmann, O., Ghosh, S. S., Polli, F. E., Reynolds, G. O., Horn, F., Keshavan, A., Triantafyllou, C., Saygin, Z. M., Whitfield-Gabrieli, S., Hofmann, S. G., Pollack, M. and Gabrieli, J. D. (2013). Predicting treatment response in social anxiety disorder from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70, 87-97 

  10. Fahrmeir, L. and Kaufmann, H. (1987). Regression models for non-stationary categorical time series, Journal of Time Series Analysis, 8, 147-160. 

  11. Fahrmeir, L. and Lang, S. (2001). Bayesian inference for generalized additive mixed models based on Markov random field prior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C (Applied Statistics), 50, 201-220. 

  12. Hamilton, M. (1960).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23, 56. 

  13. Hamilton, M. (1966). Assessment of change in psychiatric state by means of rating scale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59(Suppl 1), 10. 

  14. Hamilton, M. (1967).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for primary depressive illness, Britis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6, 278-296. 

  15. Hamilton, M. (1969). Standardised assessment and recording of depressive symptoms, Psychiatria, Neurologia, Neurochirurgia, 72, 201. 

  16. Hamilton, M. (1980). Rating depressive patients,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17. Hurvich, C. M. and Tsai, C. L. (1989). Regression and time series model selection in small samples, Biometrika, 76, 297-307. 

  18. Kalbfleisch, J. and Lawless, J. F. (1985). The analysis of panel data under a Markov assump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0, 863-871. 

  19. Kessler, R. C., McGonagle, K. A., Zhao, S., Nelson, C. B., Hughes, M., Eshleman, S., Wittchen, H. U. and Kendler, K. S. (1994). Lifetime and 12-month prevalence of DSM-III-R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1, 8. 

  20. Korn, E. L. and Whittemore, A. S. (1979). Methods for analyzing panel studies of acute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Biometrics, 35, 795-802. 

  21. Lafortune, S. and Wong, E. (1986). A state transition model for distributed query processing, ACM Transactions on Database Systems (TODS), 11, 294-322. 

  22. Leverich, G. S., Post, R. M., Keck, P. E. Jr., Altshuler, L. L., Frye, M. A., Kupka, R. W., Nolen, W. A., Suppes, T., McElroy, S. L., Grunze, H., Denicoff, K., Moravec, M. K. and Luckenbaugh, D. (2007). The poor prognosis of childhood-onset bipolar disorder, The Journal of Pediatr, 150, 485-490. 

  23. Marangell, L. B., Dennehy, E. B., Miyahara, S., Wisniewski, S. R., Bauer, M. S., Rapaport, M. H. and Allen, M. H. (2009). The functional impact of subsyndromal depressive symptoms in bipolar disorder: Data from STEP-BD,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14, 58-67. 

  24. McCulloch, C. E. and Neuhaus, J. M. (2001).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Wiley Online Library. 

  25. Milev, P., Ho, B. C., Arndt, S. and Andreasen, N. C. (2005). Predictive values of neurocognition and negative symptoms on functional outcome in schizophrenia: a longitudinal first-episode study with 7-year followup,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 495-506. 

  26. Montgomery, S. A. and Asberg, M. (1979). A new depression scale designed to be sensitive to chang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4, 382-389. 

  27. Muenz, L. R. and Rubinstein, L. V. (1985). Markov models for covariate dependence of binary sequences, Biometrics, 41, 91-101. 

  28. Osby, U., Brandt, L., Correia, N., Ekbom, A. and Sparen, P. (2001). Excess mortality in bipolar and unipolar disorder in Swede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8, 844. 

  29. Ozerdem, A., Tunca, Z. and Kaya, N. (2001). The relatively good prognosis of bipolar disorders in a Turkish bipolar clinic,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64, 27-34. 

  30. Rehm, L. P. and O'Hara, M. W. (1985). Item characteristics of the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 31-41. 

  31. Sadock, B. J., Kaplan, H. I. and Sadock, V. A. (2007). Kaplan & Sadock's Synopsis of Psychiatry: Behavioral Sciences/Clinical Psychiatr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2. Schiffer, R. (2007). Psychiatric Disorders in Medical Practice, Cecil Medicine, 23rd ed., Saunders Elsevier, Philadelphia, 420. 

  33. Schwar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6, 461-464. 

  34. Searle, S. R., Casella, G. and McCulloch, C. E. (1992). Variance Components, Wiley Online Library. 

  35. Spearing, M. K., Post, R. M., Leverich, G. S., Brandt, D. and Nolen, W. (1997). Modification of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s (CGI) Scale for use in bipolar illness (BP): The CGI-BP, Psychiatry Research, 73, 159-171. 

  36. Tohen, M., Waternaux, C. M. and Tsuang, M. T. (1990). Outcome in mania: A 4-year prospective follow-up of 75 patients utilizing survival analysi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7, 1106. 

  37. Tondo, L., Baldessarini, R. J. and Floris, G. (2001). Long-term clinical effectiveness of lithium maintenance treatment in types I and II bipolar disorder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The Journal of Mental Science, 178(Suppl 41), 184-190. 

  38. Treuer, T. and Tohen, M. (2010). Predicting the course and outcome of bipolar disorder: A review, European Psychiatry, 25, 328-333 

  39. Vonesh, E. F. and Chinchilli, V. M. (1997). Linear and Nonlinear Models for the Analysis of Repeated Measurements, CRC Press, 154. 

  40. Young, R. C., Biggs, J. T., Ziegler, V. E. and Meyer, D. A. (1978). A rating scale for mania: Reliability, validity and sensitivit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33, 429-435. 

  41. Zeger, S. L. and Qaqish, B. (1988). Markov regression models for time series: A Quasi-likelihood approach, Biometrics, 44, 1019-10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