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시적 자료를 이용한 아동 학업성취도 분석
A longitudinal data analysis for child academic achievement with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1, 2017년, pp.1 - 10  

이나은 (덕성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허집 (덕성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시적 자료를 이용한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한 기존의 분석들은 각 아동의 반복 측정된 자료들이 독립이라고 가정한 모형을 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고려한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선택하여 반복 측정된 경시적 자료의 종속성을 고려한 고정효과와 임의효과를 포함하는 선형혼합모형으로 분석하여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무엇인지, 각 아동의 특성들이 반영되는 임의절편과 임의기울기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 4, 7차 부가조사 중에서 아동용 설문문항에 대한 자료이고, 국어, 영어와 수학의 학업성취도 점수의 합을 아동 학업성취도로 한다.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한 분석 시에 다중공선성의 검토와 결측치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 오차의 상관행렬을 선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gitudinal data of Korean child academic achievement have been used to find the significant exploratory variables under the assumption of independent repeated measured data. Using the exploratory variables in previous research works, we analyze the linear mixed model incorporating the fixed and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아동 학업성취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각 아동들의 독립적 반복 측정된 자료들이라는 가정 하에 다중회귀분석이나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부가자료인 1, 4, 7차 년도의 자료를 사용하여 각 아동의 반복 측정된 자료의 종속성을 가정하고, 기존 연구 결과에서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거나 아동 학업성취도와 관련 있는 주요 설명변수들을 사용해 아동 학업성취도에 관한 분석을 선형혼합모형 (linear mixed model)으로 하고자 한다. 반복 측정된 경시적 자료를 이용한 선형혼합모형과 일반화선형혼합모형에 대한 최근의 연구로는 Lim과 Baek (2012), Jo와 Chang (2013), Shim 등 (2013), Kim 등 (2014), Jeon과 Lee (2014)와 Zhang과 Baek (2015) 등이 있다.

가설 설정

  • Diggle 등 (2001)은 같은 관측 연도 내에서 결측 횟수별 신뢰구간들이 모두 공통 구간을 가지는 경우에 무시할 수 있는 임의결측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한국복지패널의 결측 횟수별 및 연도별로 반응변수의 모평균에 대한 99% 신뢰구간을 Table 3.2에서 보여주고 있고, 같은 관측 연도 내에서 결측 횟수별 신뢰구간들이 모두 공통 구간을 가짐을 알 수 있기에 본 자료는 무시할 수 있는 임의결측 자료라 가정할 수 있다. 최근의 결측치에 대한 연구로는 Yoon과 Choi (2012)가 있다.
  • 임의효과와 오차항들은 서로 독립이라 가정한다. 서로 다른 개체들의 오차항끼리는 서로 독립이며, 각 개체의 반복 측정에 대한 오차항들은 독립이 아니어서 공분산들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즉,εi = (εi1, εi2, · · · , εini )T라 하면 εi와 bi의 확률분포는 각각 ni차와 m차 다변량정규분포로 다음과 같이
  • 이고 ε1, ε2, · · · , εm, b1, b2, · · · , bm은 서로독립이라 가정한다.
  • 확률벡터 bi = (b0i, b1i, · · · , bqi)T는 임의효과이며 εij은 오차항이다. 임의효과와 오차항들은 서로 독립이라 가정한다. 서로 다른 개체들의 오차항끼리는 서로 독립이며, 각 개체의 반복 측정에 대한 오차항들은 독립이 아니어서 공분산들을 가진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명변수들간의 선형종속성인 다중공선성 (multicollinearity)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설명변수들간의 선형종속성인 다중공선성 (multicollinearity)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분산팽창계수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계산하여 Table 3.1에서 보여주고 있다.
경시적 자료를 이용한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이용한 것은 무엇인가? 경시적 자료를 이용한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한 기존의 분석들은 각 아동의 반복 측정된 자료들이 독립이라고 가정한 모형을 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고려한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선택하여 반복 측정된 경시적 자료의 종속성을 고려한 고정효과와 임의효과를 포함하는 선형혼합모형으로 분석하여 아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무엇인지, 각 아동의 특성들이 반영되는 임의절편과 임의기울기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경시적 자료를 이용한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이러한 학업성취도에 대하여 경시적 자료 (longitudinal data)를 이용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Kim (2010)은 저소득층은 사교육비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지만 고소득층에서 사교육비는 매개변수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줌을 보였다. Kim과 Lee (2015)는 구조모형 분석으로 부모의 성취 지향적 양육태도가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을 보였다. Yoo와 Park (2015)은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부모의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사교육에 대한 지출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사교육 지출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다는 것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ung, J. Y. and Jeong, Y. W. (2015).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levels on the student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 73-93. 

  2. Diggle, P. J., Heagerty, P., Liang, K. Y. and Zeger, S. L. (2001). Analysis of longitudinal data, 2nd Ed., Oxford, New York. 

  3. Fan, J. and Gijbels, I. (1996). Local polynomial modelling and its applications, Chapman & Halls, London. 

  4. Jeon, J. Y. and Lee, K. (2014). Review and discussion of marginalized random effects mode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1263-1272. 

  5. Jo, J. and Chang, U. J. (2013).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at mass repeated measures data using mixed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303-310. 

  6. Kim, B. S., Kim, D., Ha, M. and Kwon, H. (2014). Derivation of benchmark dose lower limit of lead for ADHD based on a longitudinal cohort data set.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987-998. 

  7. Kim, K. H. (2010). Effect of family income levels on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 adolescents : With a special focus on comparisons between child's developmental stage. Studies on Korean Youth, 21, 35-65. 

  8. Kim, C. I. and Lee, K. Y. (2015). Original article :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achievementoriented parenting style,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s perceived by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 503-517. 

  9. Laird, N. (1988). Missing data in longitudinal studies. Statistics in Medicine, 7, 305-315. 

  10. Lim, S. and Baek, J. (2012). A credit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generalized additive models using factor scores of mixtures of common factor analyz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235-245. 

  11. Lindstrom, M. J. and Bates, D. M. (1988). Newton-Raphson and EM algorithms for linear mixed-effects models for repeated-measures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3, 1014-1022. 

  12. McCulloch, C. E., Searle, S. and Nuehaus, J. M. (2008). Generalized linear and mixed models, 2nd Ed., John Wiley & Sons, New Jersey. 

  13. Montgomery, D. S., Peck, E. A. and Vining, G. G. (2012). Introduction to linear models, 5th Ed., John Wiley & Sons, New Jersey. 

  14. Rubin, D. B. (1976). Inference and missing data. Biometrika, 63, 581-590. 

  15. Seol, K. O. and Jung, S. W. (2013). School belonging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parental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0, 41-58. 

  16. Shim, J., Kim, Y. and Hwang, C. (2013). Generalized kernel estimating equation for panel estimation of small area unemployment rat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1199-1210. 

  17. Verbeke, G. and Molenberghs, G. (2009). Linear mixed models for longitudinal data, Springer Verlag, New York. 

  18. Yoo, J. Y. and Park, C. S. (2015). The effects of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o the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23-139. 

  19. Yoon, Y. H. and Choi, B. (2012). Model selection method for categorical data with non-respons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627-641. 

  20. Zhang, L. and Baek, J. (2015). The local influence of LIU type estimator in linear mixed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465-4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